우수(雨水)절기 정보
2월 19일은 대동강물이 풀린다는 우수입니다.
추운 겨울은 우수 뒤의 얼음 녹듯 녹아서
새봄은 시작되고 있습니다.
우수 초후(初候)는 수달이 물고기를 잡고,
중후(中候)는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고,
말후(末候)는 풀과 나무에 싹이 튼다고 하였습니다.
산과 들에는 새싹이 돋아나고 동물들도
동면에서 깨어나고 있습니다.
옛글에 "입춘이 지나면 동해 동풍이라
차가운 북풍이 걷히고 동풍이 불면서
얼었던 강물이 녹기 시작한다" 했습니다.
우수는 눈이 비로 바뀌면서 얼었던 땅이 녹고,
따뜻한 봄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절기를 말합니다.
겨울 추위가 가시고 봄기운이 온 산천에 가득하니,
산과 들에는 새싹이 돋아나고
동물들도 동면에서 깨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겨울 동장군은 선뜻 물러나지 않겠다는 듯
아직은 꽤 나 쌀쌀하고 추운 바람이 붑니다.
꽃샘추위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는 말도 있습니다.
이때 주고받는 인사말은
“꽃샘추위에 집안이 두루 강녕하십니까”라며 인사말을 나눕니다.
이때는 바람이 많이 불고 차가운데,
이것을 영등할매 시샘이라 합니다.
원래 영등할매는 음력 2월에 오는데 금년은 절호가 조금 빠른가 봅니다.
영등할매가 딸을 데리고 오는 해는 바람이 순조롭고
며느리를 데리고 오는 해에는 바람이 몹시 거칠다고 합니다.
꽃샘추위를 한자 말로 화투연(花妬姸)이라 합니다.
꽃 피는 것을 시샘하여 아양을 피운다는 뜻입니다.
행복도시 회원님들 화투연 지절에
환절기 건강관리 유념하시고
행복도시 회원님들 가정마다 환희의 갑진년
식구 늘고 재산 늘고 건강도 너는
갑진 한 해 되시길 기원합니다.
=====
정월 대보름에 대하여!
2024년 2월 24일은 정월 대보름입니다.
꽁꽁 언 대지는 아직도 적막한데
하얀 생명의 새싹들은 이미 동토에서
얼음을 깨부수고 기지개를 켜고 있는 듯합니다.
중국은 좀생이별을 보고 농사를 짓고,
한국은 달을 보고 농사를 지었습니다.
설날은 가족적인 명절이라면
대보름은 마을공동체의 풍년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음력 14일(양력 2월 23일)은 저녁밥 일찍 먹는 날입니다.
밥 아홉 그릇 먹고 아홉 차례 행하는 날입니다.
남자는 나무 아홉 차례 부인은 빨래 아홉 차례
학생은 책 아홉 차례 읽고 세 성 바지 집밥을 먹어야 좋답니다.
이날은 부잣집 부엌의 흙을 파다가 내 집 부엌을 바르면
나도 부자가 된답니다.
그런데 요즘은 개량 부엌이라 의미없는 말이 되었습니다.
정월 보름날은 뭐니 뭐니 해도 귀밝이 술입니다.
아침에 찬 청주를 드시는 것입니다.
좋은 소리를 많이 들어라는 의미입니다.
오곡밥을 먹고, 생선과 두부를 먹어야
얼굴에 버짐이 안 생기고,
김치를 먹으면 몸에 두드러기 생기고,
보름날은 마당을 쓸지 않습니다.
만약 쓸 일이 생기면 바깥에서 안으로 썰어야 하고,
빨래도 하지 않는 날입니다.
보름 전에 쌀을 집 밖으로 반출하면 복이 나간답니다.
달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이며,
출산력을 가졌다 해서 달을 보고 소원을 빌면 효험이 있습니다.
특히 출산에 특별한 효험이 있다고 합니다.
정월 열 여셋날을 귀신의 날입니다.
달나라를 여행하는 시대에 귀신이라니 하시겠지만
갑오경장 이전까지는 무당이 민간사회를 지배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당시에는 가장 카리스마적이고
가장 큰 지도자가 무당이었답니다.
이날은 귀신이 동하는 날이라,
남녀를 막론하고 외출을 삼갑니다.
만약 남자가 외출하면 우환이 생기고,
여성이 외출하면 이승에서 과부가 안 되면
저승에서 과부가 된답니다.
ㅎㅎㅎ~~~
믿거나 말거나입니다.
정월 대보름날을 오기일(烏忌日)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게 제사 지내는 날이라는 뜻입니다.
신라시대부터 전해지는 풍습입니다.
긴 글 읽어주시어 감사합니다.
행복도시 회장 김판출 올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