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줄 데 없는 주문 ’시무등등주‘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上呪 是無等等呪
”가장 신비한 주문이며, 가장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반야심경》
《반야심경》의 경문에서 이 대목 바로 앞에 총결분(總結分)이 시작되는 '고지 반야바라밀다'를 설하고 있다. 앞의 부분에서 반야의 공관이야말로 궁극의 진리에 도달하는 깨달음의 경지인 반야바라밀다를 밝혀 왔다.
그러므로 지혜의 완성으로 얻어지는 열반과 정각의 경지인 반야바라밀다, 즉 지혜의 완성 그 자체를 하나의 주문으로 보아버리는 것이다. 반야바라밀다, 즉 지혜의 완성은 일반적인 언어로서는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주문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주(呪)'는 범어로 만트라(Mantra 曼陀羅) 또는 주문(Dhāraṇī 呪文)의 뜻이 된다. ’주문‘은 일반적으로 장구(長句)로 된 긴 것을 ‘다라니’, 몇 구절로 된 짧은 것을 ‘진언’, 한 두 자 등으로 된 것을 ‘주(呪)’라고 하는 것이 통례다. 주문 속에는 수 많은 뜻이 갈무리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뜻을 번역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반야심경》의 내용은 너무 깊고 오묘해서 하나의 주문으로 밖에 표현할 수 없다는 점도 담겨있다. 반야 지혜의 완성은 중생의 번뇌 망상을 말끔히 치료해 주는 신비로운 양약이 되는 것이기에 무지(無知)를 깨뜨리는 지고(至高)한 주문이 되는 것이다.
반야바라밀의 비밀을 설하고자 하는 주문은 '대신주'요, '대명주'요, '무상주'요, '무등등주'이다. 다시 말하면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은 크게 신비로운 주문이며, 크게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최상의 주문이며, 어떤 것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란 의미이다.
《반야심경》에서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은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이다. 진언 주문은 보통 번역하지 않지만, 굳이 해석하면 “가세 가세, 저 언덕으로 가세, 우리 함께 저 언덕으로 가세, 깨달음 이뤄 행복하여지이다.”의 의미가 있다.
[출처] 견줄 데 없는 주문 ’시무등등주‘|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