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1201-1300)
1201. 약합부절 (若合符節) 꼭 들어맞아 조금도 틀리지 않는다. 부절은 옥(玉)으로 만든 부신으로 글자를 새겨 양분하여 두 사람이 하나씩 나누어 가졌다가 나중에 신표(信表)로 사용하였음
1202. 양금택목 (良禽擇木)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앉는다는 뜻. → (사람도 사귀고 의지할 친구는 덕 있는 사람으로 택하여 한다.)
1203. 양두구육 (羊頭狗肉) 양의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다. 겉은 훌륭하나 속은 변변치 못함.ꁍ 구밀복검(口蜜腹劍), 면종복배(面從腹背), 표리부동(表裏不同)
1204. 양상군자 (梁上君子) 들보 위에 있는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미화(美化)한 말
1205. 양수겸장 (兩手兼將) 하나의 표적에 대하여 두 방향에서 공격해 들어감
1206. 양약고어구이어병 (良藥苦於口而於病)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 치료에 이롭다.
1207. 양질호피 (羊質虎皮) 알맹이는 양이고 가죽은 호랑이. 거죽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음을 일컫는 말(후한서-後漢書)
1208. 양포지구 (楊布之狗) 겉모습이 변한 것을 보고, 속까지 변해버렸다고 판단하는 사람
1209. 양호유환 (養虎遺患) 호랑이를 길러 근심을 남김. 스스로 화를 자초했다는 뜻
1210. 어동육서 (魚東肉西) 제사 음식을 진설할 때, 어찬(魚饌)은 동쪽에 육찬(肉饌)은 서쪽에 놓는 순서
1211. 어두육미 (魚頭肉尾) 물고기는 머리 부분이, 짐승은 꼬리가 맛있다는 뜻.
1212. 어로불변 (魚魯不辨) “어(魚)”자와 “로(魯)”자를 구별하지 못함. 매우 무식함.
1213. 어부지리 (漁父之利)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다가 둘 다 물리어 서로 다투고 있을 때 어부가 와서 둘을 잡아갔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 ꁍ 견토지쟁(犬兎之爭), 방휼지쟁(蚌鷸之爭)
1214. 어불성설 (語不成說) 말이 이치에 맞지 않음.
1215. 어유부중 (魚遊釜中) 고기가 솥 속에서 논다 함이니 목숨이 붙어 있다 할지라도 오래 가지 못할 것을 비유하는 말
1216. 어이아이 (於異阿異) 같은 말이라도 표현하는 데 따라서 그 맛이 전혀 다르다. → 어 다르고 아 다르다.
1217. 억강부약 (抑强扶弱) 강한 자를 억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준다는 뜻.
1218. 억조창생 (億兆蒼生) 수많은 백성. 수많은 세상사람.
1219. 억하심장 (抑何心腸) 무슨 생각만으로 일을 미루어 생각하는 일
1220. 언문일치 (言文一致) 실제로 쓰는 말과 글이 꼭 같음.
1221. 언어도단 (言語道斷) 어처구니가 없어 할 말이 없음
1222. 언유재이 (言猶在耳) 들은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는 뜻으로 여러 가지 들은 말을 귓속에 담아두고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말
1223. 언중유골 (言中有骨) 예사로운 말속에 깊은 뜻이 있는 것을 말함
1224. 언즉시야 (言則是也) 말이 사리에 맞음.
1225. 언행일치 (言行一致) 말과 행동이 일치함.
1226. 엄동설한 (嚴冬雪寒) 눈이 오는 몹시 추운 겨울.
1227. 엄목포작 (掩目捕雀) 무슨 일 에나 성실을 다해서 해야지 얕은 수를 써서는 안 된다는 뜻
1228. 엄이도령 (掩耳盜鈴)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다 드러난 것을 얕은 수로 속이고자 함의 비유
1229. 여광여취 (如狂如醉) 매우 기쁘거나 감격하여 미친 듯도 하고 취한 듯도 함.
1230. 여단수족 (如斷手足) 손발이 끊어진 것처럼 의지할 곳이 없음
1231. 여도지죄 (餘桃之罪) 먹던 복숭아를 드린 죄. 사랑을 받는 것은 죄를 받게 되는 원인도 된다는 뜻.
1232. 여리박빙 (如履薄氷) 엷은 얼음을 밟는 듯 매우 위험한 것을 뜻함
1233. 여림심천 (如臨深泉) 깊은 샘가에 있는 것처럼 조심해야 함을 뜻함.
1234. 여민동락 (與民同樂) 임금과 백성이 함께 즐김.
1235. 여 반 장 (如 反 掌) 손바닥을 뒤집는 것. 매우 쉬운 일
1236. 여발통치 (如拔痛齒)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시원하게 고민거리를 벗어났다는 뜻.
1237. 여산진면 (廬山眞面) 사물의 진상이나 사람의 속셈을 잘 알 길이 없다는 말.
1238. 여세추이 (如世推移) 세상이 변하는 대로 따라 변함.
1239. 여실일비 (與失一臂) 한쪽 팔을 잃었다는 뜻이니 가장 믿고 힘이 되는 사람을 잃은 것을 비유하는 말
1240. 여일월쟁광 (如日月爭光) 도덕과 공적이 높아 일월(日月)의 빛과 대등(對等)하다는 것
1241. 여탈폐사 (如脫弊屣) 헌신짝 버리듯 아주 초연한 태도로 아낌없이 버림을 이르는 말
1242. 역려과객 (逆旅過客) ① 지나가는 나그네와 같이 관계가 없는 사람 ② 세상은 여관과 같고 인생은 이 여관에서 잠시 머무는 나그네와 같다는 뜻
1243. 역 린 (逆 鱗) 용의 턱에 아래 거슬려 난 비늘. 군주의 노여움에 비유함.
1244. 역발산기개세 (力拔山氣蓋世) 산을 뽑고 세상을 덮을 만한 웅대한 기운
1245. 역자교지 (易子敎之) 나의 자식과 남의 자식을 바꾸어 교육함으로, 부자(父子)의 사이는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는 뜻.
1246. 역지개연 (易地皆然) 사람은 있는 곳에 따라서 행동이 달라지니 그 환경을 서로 바꾸면 누구나 다 똑같아진다는 뜻,
1247. 역지사지 (易地思之) 처지를 바꾸어 생각함
1248. 연도일할 (鉛刀一割) ① 납을 가지고 만든 칼도 역시 힘이 있다는 뜻에서 자기 힘이 미약하다고 겸손하게 하는 말 ② 소인(小人)도 한 번은 착한 일을 할 수 있으나 두 번은 계속해서 할 수 없다는 뜻.
1249. 연모지정 (戀慕之情)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
1250. 연목구어 (緣木求魚) 나무에 올라가 고기를 구함. 불가능한 일을 하고자 할 때를 비유
1251. 연안대비 (燕雁代飛) 제비가 올 때 기러기는 떠나듯이 인사(人事)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
1252. 연작안지홍곡지지 (燕雀安知鴻鵠之志) 제비나 참새 따위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큰 뜻을 알겠는가. 소인은 대인의 뜻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뜻
1253. 연저지인 (吮疽之仁) 종기를 입으로 빠는 사랑.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면적인 사랑을 뜻함
1254. 연전연승 (連戰連勝) 싸울 때마다 번번이 이김
1255. 연옹연치 (吮癰吮痔) 등창을 빨고 치질을 핥아준다는 뜻으로 전하여 남에게 천하게 아첨하면서도 부끄러운 줄 모른다는 뜻.
1256. 연하고질 (煙霞痼疾)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 ꁍ 연하벽(煙霞癖)
1257. 연하일휘 (煙霞日輝) 안개와 놀과 빛나는 햇살, 곧 아름다운 자연.
1258. 연홍지탄 (燕鴻之歎) 서로 상치되어 만나지 못함을 이름. 제비는 봄에 와서 가을에 돌아가고 기러기는 가을에 와서 봄에 돌아감을 이르는 말
1259. 염념불망 (念念不忘) 언제나 생각하여 잊지 못함 ꁍ 염념재자(念念在玆), 염자재자(念玆在玆)
1260. 염량세태 (炎凉世態) 권세가 있을 때는 아첨하여 좇고, 권세가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속의 인심
1261. 염불위괴 (恬不爲愧) 올바르지 못한 짓을 하고도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조금도 없음
1262. 염화미소 (拈華微笑)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ꁍ 拈華示衆(염화시중)
1263. 염화시중 (拈華示衆)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함
1264. 영고성쇠 (榮枯盛衰) 사람의 일생이 성(盛)하기도 하고 쇠(衰)하기도 한다는 뜻
1265. 영만지구 (盈滿之咎) 차면 기운다는 이치로 만사가 다 이루어졌을 때에는 도리어 화를 가져옴을 비유.
1266. 오 감 (五 感) 시(視), 청(聽), 후(嗅), 미(味]), 촉(觸) 등의 다섯 가지 감각
1267. 오 고 (五 苦) 인생의 다섯 가지 괴로움.(생, 늙음, 병, 죽음, 사랑의 이별)
1268. 오 곡 (五 穀) 다섯 가지 곡식. (쌀, 보리, 조, 콩, 기장)
1269. 오 과 (五 果) 핵과(核果) 부과(膚果) 각과(角果) 회과(檜果) 각과(殼果)
1270. 오 관 (五 官) 오감을 낳는 다섯 감각 기관 눈(시각), 귀(청각), 코(후각), 피부(촉각), 혀(미각)
1271. 오 교 (五 敎) 오륜의 가르침, 충(忠), 효(孝), 의(義), 용(勇), 인(仁)
1272. 오 금 (五 金) 금(황), 은(백), 철(흑), 동(적), 석(청)의 다섯 가지 금속
1273. 오 기 (五 氣) 비오고 볕나고, 덥고, 춥고 바람 부는 다섯 가지 날씨. 동, 서, 남, 북 , 중앙 오방의 기. 온(溫), 량(凉), 한(寒), 조(燥), 습(濕)
1274. 오 덕 (五 德) 병가의 다섯 가지 덕(知, 信, 仁, 嚴, 勇). 유교에서는 온화, 양순, 검소, 공손, 겸양
1275. 오 력 (五 力) 심신을 닦는데 필요한 다섯 가지 힘.(信, 念, 定, 慧, 精進)
1276. 오리무중 (五里霧中) 오리나 되는 안개 속과 같이 희미하고 애매하여 길을 찾기 어려움의 비유
1277. 오매불망 (寤寐不忘) 밤낮으로 자나 깨나 잊지 못함.
1278. 오 미 (五 味) 신맛, 쓴맛, 매운맛, 단맛, 짠맛
1279. 오 미 (五 美) 다섯 가지의 아름다운 덕, 남에게 은혜를 베풀되 낭비하지 않고, 수고하되 원망하지 않고 욕심을 갖되 탐하지 않고, 태연하되 교만하지 않고, 위세가 있되 사납지 않는 일
1280. 오 복 (五 福) 수(壽), 부(副),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1281. 오불관언 (吾不關焉) 나는 상관하지 아니함
1282. 오비삼척 (吾鼻三尺) 자기 사정이 다급하여 남에게 신경 쓸 여유가 없다. → 내 코가 석자다
1283. 오비이락 (烏飛梨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우연의 일치로 남의 의심을 받는 것.
1284. 오 사 (五 事) 사람이 타고난 다섯 가지 바탕 [모(貌), 언(言), 사(思), 시(視), 청(聽)] 절제하여야할 중요한 다섯 가지[심(心), 신(身), 식(息), 면(眠), 식(食)]
1285. 오 상(五 常) 부의(父義), 모자(母慈), 형우(兄友), 제공(弟恭), 자효(子孝), 의 일컬음.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1286. 오상고절 (傲霜孤節) 서릿발 날리는 추위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 국화를 말함
1287. 오 성 (五 性) 기쁨, 노여움, 욕심, 두려움, 근심. 폭성(暴性), 사성(奢性), 혹성(酷性), 적성(賊性), 음성(淫性)
1288. 오 성 (五 星)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
1289. 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 양자간에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 같다는 뜻
1290. 오 악 (五 嶽) 불가에서 살생, 투도, 사음, 망어, 음주
1291. 오 안 (五 眼) 육(肉)안, 천(天)안, 법(法)안, 혜(慧)안, 불(佛)안, 불타의 다섯 눈
1292. 오 욕 (五 慾)재(財), 색(色), 식(食), 명(名), 수(睡)의 다섯 가지에 대한 욕심
1293. 오언장성 (五言長城) 오언시를 잘 지음을 뜻함. 장성(長成)은 만리장성을 말함. 보통사람으로서는 바랄 수 없는 일을 뜻함.
1294. 오 욕 (五 欲) 이목구비(耳目口鼻)의 욕(欲)과 마음에서 우러나는 욕(欲). 또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의 다섯 가지 정욕. 또, 재욕(財欲), 색욕(色欲), 음욕(飮欲), 명욕(名欲), 수면욕(睡眠欲)
1295. 오 우 (五 友) 다섯 종류의 벗 삼을 만한 사물을 이름. ① 유병의 고사 ② 다섯 종류의 절조(節操)있는 식물로서 대, 매화, 난초, 국화, 연꽃을 말함
1296. 오우천월 (吳牛喘月) 오나라 소가 달을 보고 헐떡거린다는 말. 우리 속담의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1297. 오운지진 (烏雲之陣) 까마귀가 흩어지는 거소가 같고 구름이 모이는 것과 같이 집산이 그지없으며 변화가 많은 진법
1298. 오월동주 (吳越同舟)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한 배를 탐. 사이가 좋지 못한 사람끼리도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는 행동을 같이 함
1299. 오 음 (五 音)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