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07월 02일.
내연산 삼지봉(710m)산행.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산행코스 : 하옥리 향로교 주차장 - 향로봉 갈림길 - 삼지봉 - 조피등 -
청하골 - 비하대 - 관음폭포 - 상생폭포 - 보경사 - 보경사 주차장.
산행거리 : 약12.7km.
산행시작 : 하옥리 향로교 09시 45분.
하산완료 : 보경사 주차장 15시 39분.
산행소요 : 5시간 54분 소요(점심 및 촬영. 휴식포함).
09 : 38 하옥리 향로교 도착.
09 : 45 스트레칭후 산행시작.
11 : 27 향로봉 갈림길.
12 : 59 삼지봉 정상.
13 : 15 거무나리코스 이정표.
13 : 55 청하골.
14 : 20 비하대.
14 : 23 관음폭포.
14 : 40 상생폭포.
15 : 20 보경사.
15 : 39 보경사 주차장 산행완료.
17 : 11 법촌 매운탕 하산주.
▲ 05시 53분 : 칠성교 위에서 바라본 신천동로.
협력산악회인 대구솔잎산악회의 정기산행인
포항 내연산을 따라가기위해 지하철 역으로 가다가...
▲ 멋진 왜가리 아지매의 요상한 유혹(?)을
과감하게 뿌리치고,,
▲ 09시38분 : 포항시 죽장면 하옥리 향로교.
▲ 등산지도상에는 향로교로 되어 있어나
다리명판에는 <하옥교>라 되어 있다.
▲ 하옥리 내연산 들머리에서.
▲ 바로 위쪽의 넓은 공터에서
스트레칭을 하고..
▲ 09시 45분 :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되는데..
처음부터 급경사에 오랜 가뭄으로
바싹 마른 흙먼지가 폴폴이다..
▲ 약 15분 가량의 된비알을 치고 오르면..
능선으로 올라서고 길은 완만해 지지만.....
한번 샘솟기 시작한 땀샘은 이미 등줄기가 축축하다.
▲ 큰까치수염.
▲ 11시 27분 : 향로봉 갈림길.
향로교에서
1시간 43분 소요 되었다.
이정표상의 소요시간이 향로교에서 1시간 45분이니..
아주 표준적인 소요시간이다.
ㅎㅎㅎ~
▲ 11시 46분 : 시명리 갈림길..
▲ 오랜 가뭄에 시들시들..
생기가 없다.
▲ 13시 00분 : 삼지봉 인증샷,
▲ 미역줄나무.
▲ 문수봉 방향으로..
▲ 13시 15분 : 약 13 ~4분 정도 내려 와서..
거무나리코스(은폭포)로 하산..
▲ 그런데 이상하다..
길은 계곡으로 빠지지 않고 계속 능선으로만 이어진다.
나중에 여러 블로그의 글들을 검색해보니
잘못된 이정표다.
▲ 거무나리골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없고
조피등으로 이어지는 잘못된 이정표인 것이다.
▲ 다른 블로그에 의하면
조금전 지나왔던 삼지봉 정상에서
문수봉 방향으로 조금 내려 오면 좌측으로 동대산 갈림길을 보았는데
거무나리골은 동대산 갈림길 맞은편에
이정표는 없고 시그널 몇개만 걸려있는 곳으로
하산해야 거무나리골로 하산하게 된다.
▲ 조피등 하산길이 가파르고
조금은 거친 편이다.
▲ 13시 55분 : 청하골,,
은폭포로 가려면 약130m 정도
위로(시명리빙향) 올라 가야 만난다.
▲ 천령산(우척봉) 갈림길.
▲ 비박하기 좋은 곳.
▲ 비가 오지 않아서 말라가고 있다.
▲ 14시 20분 : 선일대 가는 길..
올라가보고 싶은데..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 비하대(飛下臺).
비하대에서 내려다보는 연산 관음폭포가 절경인데..
올라갈까 하다가 역시나,, 날씨가 이상한 낌새를 보인다.
▲ 오르지 못한 아쉬움에
2011년 8월 21일의 사진 한컷으로 대신 한다..
비하대에서 내려다 본 관음폭포,,
관음폭포 일대는 1933년 대구일보에 의해.
진남교반(문경), 문경새재(문경), 주왕산(청송), 금오산(구미), 청량산(봉화),
희방폭포(영주), 빙계계곡(의성) 등과 함께 경북팔경에 선정된 곳이다.
▲ 수상한 낌새가 끝내 현실이 된다.
우루루쾅!~~
장대같은 게릴라성 소나기가 내리 퍼붓는다.
▲ 워낙 강한 장대비에 다리건너
연산폭포는 패스다.
움푹 파인 굴은
수도승들이 기도처로 이용하던 관음굴이다.
▲ 아쉬움에 2011년의 연산 폭포.
연산폭포는 청하골 열두폭포 가운데 30미터로
가장 높고 아름답다.
▲ 빗속의 선일대.
아침에는 7색 무지개가 학소대(鶴巢臺) 발치에 깔리고 때로는
벼랑따라 피어오르는 운무(雲霧)가 선경(仙境)을 도출하기도 한다는데.
옛날 한 신선이 학을 타고 비하대로 내려와 삼용추의 절경을 굽어보다가
선일대(仙逸臺)로 오르더니 선경에 취하여 내려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기다리던 학도 이 벼랑에 아예 둥지를 틀고 살았다는
전설이 나그네의 가슴을 시원하게 적셔 준다.
▲ 보현폭포.
보현암 아래
감춰진듯.. 부끄러운듯 숨어 있다..
▲ 상생폭포.
쌍생폭(雙生瀑)으로도 불리지만
상생(相生)이란 말이 더 정답게 보인다...
▲ 비는 소강상태를 보이고.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해 보이는 계곡이지만..
안으로는 수많은 기암절경과 신비감의 전설을 감추고 있는 보경사 계곡이다..
▲ 내연산 산왕대신 지위 와,, 고모당신 지위..
예로부터 내연산의 산신은 여신(女神)으로 전해 오는데.
여신 이름이 ‘할무당’인데, ‘할머니’의 지방 사투리인 ‘할무이’에서 비롯된 듯 하다.
박씨 성을 가진 보경사의 큰보살이 죽어서 산신이 되었다고 한다.
등산로 옆에 오른쪽의
‘고모당신지위(姑母堂神之位)’라고 쓴 돌위패가 할무당의 것이며
원래의 위치는 산 정상부에 있었으나..관리가 안되어 주민들이 이곳으로 옮기고
외로운 할무당에게 할배산신을 모셔와서 둘이 짝을 지어 주었다고 한다.
▲ 서운암 가는길.
두세 차례 세차게 내리던 단비는 숲에 여과되고
바람도 미풍으로 변하여
우람한 솔숲에는 촉촉함이 가득하다.
▲ 본디 깨끗했던 솔숲길은 촉촉히 젖어서 더욱 정갈해 졌다,
미인의 피부 같은 보습 산길을 따라
잠시 서운암을 둘러 보고.
▲ 극락교를 넘어,, 사바의 세계로...
▲ 15시 20분 : 보경사 5층석탑과 적광전.
▲ 대웅전.
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신라 지명법사가 진평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자신이 진나라의 도인에게 받은 팔명보경을 묻고
그 위에 불당을 세우면 왜구의 침입을 막고, 이웃 나라의 침입도 받지 않으며
삼국을 통일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진평왕이 지명법사와 함께 내연산 아래에 있는 큰 못에
팔면보경을 묻고 못을 메워 금당을 건립하고 보경사라고 했다고 한다.
경내에는 보경사원진국사비(보물 252)와 보경사부도(보물 430)가 있으며
조선 숙종의 친필 각판 및 5층석탑 등이 있다.
그후, 745년(경덕왕 4)에는 철민(哲敏)이 중창하고,
1214년에는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승방 4동과 정문 등을 중수했다고 한다.
-- 다음백과 --
▲ 보경사 보호수 반송..
▲ 해탈문도 지나고,,
▲ 일주문도 지나면,,
▲ 기미 3.1독립의거 기념비..
보경사주차장으로 가는 길가에 있는.. 이 기념비는
이 지역 출신으로 1919년 3.1운동이 있기 1년 앞서.
제주도에서 일어났던 무오 법정사(戊午 法井寺) 항일운동을 일으킨
주역 중의 한 사람인 <정구룡> 선생의 기념비 인데..
무관심 속에 쓸쓸해 보여서 한컷 해 본다..
참고 : 법정사의 의거는 불교계가 중심이 되어 일으킨 제주 최초 최대의
무장 항일운동으로 1919년 ‘3.1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는 사건 이다.
-- 다음백과 --
▲ 15시 39분 : 보경사 주차장 하산완료.
▲ 17시 11분 : 범촌 매운탕,,,
▲ 하산주 안주를 겸한 매운탕 차림상..
,
,
,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단비님을..
저 높은 곳의 그 님께오서
내연산 청하골 12폭치마에 고이 담아
흩뿌려 주시니..
비록 짧은 인연으로 지나가는 만남이었지만
초목은 생기롭고...
폭포는 힘찬 굉음을 되 찾으니..
대구솔잎산악회의 만백성은
기쁜 마음에 온몸으로 흔쾌히 맞이 하였나이다.
이렇듯
솔잎의 정성이 하늘에 닿으시니..
어찌..
솔잎과 함께하지 않으리요..
멋진 산행이었습니다..
|
첫댓글 함께 했어 너무 행복했습니다
환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솔잎을 아껴주시고 사랑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언제나 회장님과 길벗산우님 더불어 함께해서 더욱더겁고^&^
뜻깊은 산행이 됩니다
힘들때
뒤돌아 보아주시고
격려의 밀씀 주시니 용기 백배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