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 준공(10.31)이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7년에 걸친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17~‘24)를 차질없이 마무리하기 위해 4단계 사업의 건설 및 운영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인천공항공사를 비롯하여 세관·출입국·검역 기관(CIQ), 항공사, 조업사, 건설사 등 유관기관의 역량 결집을 당부했다.
□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개항 이래로 단계적 개발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확장 사업을 진행 중이며, 2017년부터 제4활주로 신설, 제2여객터미널(이하 ‘T2’) 확장을 포함한 4단계 사업(‘17.11~‘24.10)을 추진 중이다.
* 단계별 주요사업: (1단계, ’92~‘01) 1여객터미널(T1), 1·2활주로 / (2단계, ’02~‘08) 탑승동, 3활주로 / (3단계, ’09~‘17) T2 / (4단계, ’17~‘24) T2 확장, 4활주로
ㅇ 4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인천공항의 연간 여객 수용량(국제선 기준)은 1억 6백만명(기존 7,700만명, +29백만명)으로 늘어나 동북아 1위, 세계 3위 규모*의 공항 인프라를 확보하게 된다.
* 2024년 국제선 용량 : ①이스탄불(1.5억명), ②두바이(1.18억명), ③인천(1.06억명)
□ 4단계 사업의 공정률은 97%(‘24년 6월말 기준)로 제4활주로는 이미 건설완료(‘21.6)하여 운영 중이고, T2 확장사업의 경우 건설공사를 마무리하고 현재 시설 운영을 준비 중*이다.
* △건설공사 △운영 △종합시운전 △오픈 준비 평가의 4개 분야, 254개 추진과제, 3,827개의 실행과제로 구성된 운영준비 계획을 수립 및 이행 중
ㅇ 국토부와 인천공항공사는 CIQ 기관, 항공사, 조업사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하며 지난 5월부터 운영 설비 및 시스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 중(종합시운전)으로, 관숙화 훈련, 운영준비 평가 등을 거쳐 연내 새로운 제2여객터미널을 선보일 예정이다.
□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4단계 사업 운영준비 점검회의*에서 “관계기관이 함께 긴밀히 협력하여 올해 10월까지 사업을 마무리하고 연내 새단장한 제2여객터미널을 국민들께 선보일 수 있도록 꼼꼼하게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 (시간/참석) ‘24. 7. 23.(화) 10:30 / 국토부, 인천공사, CIQ 기관, 항공사, 조업사, 건설사 등
ㅇ 이어, 주 실장은 “인천공항은 4단계 사업을 통해 ‘01년 개항 당시부터 목표했던 여객 1억명 시대를 드디어 열게 됐다”며, “명실상부 글로벌 허브공항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최고의 서비스로 보답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와 운영준비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강조했다.
담당 부서 | 공항정책관 공항정책과 | 책임자 | 과 장 | 배석주 | (044-201-4328) |
담당자 | 사무관 | 최대경 | (044-201-4264) |
주무관 | 한준수 | (044-201-4351) |
유관기관 | 인천국제공항공사 4단계운영준비단 | 책임자 | 단 장 | 김종현 | (032-741-5259) |
담당자 | 팀 장 | 김종훈 | (032-741-5448) |
인천국제공항공사 건설기획처 | 책임자 | 처 장 | 조규혁 | (032-741-5310) |
담당자 | 팀 장 | 권대숙 | (032-741-5254) |
□ 4단계 사업개요
ㅇ (기간/비용) ’17. 11 ∼ ‘24. 10 / 4조 8,405억원(공사 자체조달)
ㅇ (사업내용) 제2여객터미널 확장(+2,900만명), 활주로 1본(제4활주로, 3,750m), 계류장(여객 62개소, 화물 13개소), 진입도로 확장 등
ㅇ (처리능력) 연간 여객 1.06억명(77+29), 화물 630만톤(500+130)
<인천공항 단계별 및 4단계 건설사업 개요>
구분 | 1·2단계 | 3단계 | 4단계 | 비고(누계) |
사업기간 | ‘92.6 ∼ ‘08.6 | ‘09.6∼‘18.1 | ‘17.11∼‘24.10 | |
사 업 비 | 8.6조원 | 4.6조원 | 4.8조원 | 18조원 |
여객터미널 | T1, 탑승동 | T2 | T2 확장 | |
활 주 로 | 1∼3활주로 | - | 제4활주로 | 4본 |
계 류 장 | 145개소 | 65개소 | 75개소 | 285개소 |
수용능력 | 여객 | 54백만명 | 23백만명 | 29백만명 | 106백만명 |
화물 | 450만톤 | 50만톤 | 130만톤 | 630만톤 |
운항 | 50만회 | - | 10만회 | 60만회 |
참고 2 | | 인천공항 T2 확장사업 참고자료 ※ 대용량 파일 별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