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4년 3월 전국 따르면, 아파트 및 연립주택은 모든 규모 구분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전국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는 하락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단독주택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는 102㎡초과 - 135㎡이하규모에서 가장 크게 하락했고, 연립주택은 85㎡초과 규모에서 가장 크게 하락했다.
단독주택은 상승세를 지속했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99㎡ & 대지면적 231㎡ 규모에서 가장 크게 상승했다.
한편, 지역별 주택 전세 가격은 수도권이 0.09% 상승, 서울이 0.08% 상승, 지방이 0.03% 하락, 5대 광역시는 0.02% 하락, 세종은 0.24% 하락, 8개도는 0.03% 하락한 가운데 전국 주택유형별 전세가격은 아파트가 0.03%, 연립주택이 0.01%, 단독주택이 0.03% 상승했다.
서울은 주택 유형에 관계없이 주거환경이 양호한 역세권, 대단지, 소형 규모 위주로 전세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며 상승 된 거래가격으로 체결되어 매물 부족 현상 보이는 등 상승세를 지속했다.
아파트 : 규모1(40㎡이하), 규모2(40㎡초과~60㎡이하), 규모3(60㎡초과~85㎡이하), 규모4(85㎡초과~102㎡이하), 규모5(102㎡초과~135㎡이하), 규모6(135㎡초과)
연립주택 : 규모1(40㎡이하), 규모2(40㎡초과~60㎡이하), 규모3(60㎡초과~85㎡이하), 규모4(85㎡초과)
단독주택 : 규모2(전용면적 99㎡ & 대지면적 231㎡이하), 규모3(전용면적 99㎡초과 331㎡이하 & 대지면적 662㎡이하, 또는 전용면적 99㎡이하 & 대지면적 231㎡초과 662㎡이하),
규모4(전용면적 331㎡초과 또는 대지면적 662㎡초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4년 3월 전국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아파트 및 연립주택은 모든 규모 구분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는 102m2초과 - 135m2이하 규모에서 가장 크게 하락했고, 연립주택은 85m2초과 규모에서 가장 크게 하락했다.
단독주택은 상승세를 지속했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99m2 & 대지면적 231m2이하 규모에서 가장 크게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는 하락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