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깔라마 경(A3:65)
Kālāma-sutta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bhagava)께서 꼬살라에서 유행을 하시다가 많은 비구상가(saṅgha)와 함께 께사뿟따라는 깔라마들의 성읍에 도착하셨다.
께사뿟따에 사는 깔라마들은 들었다. ‘존자(bhonto)들이여, 사꺄의 후예인 사문(samaṇa) 고따마가 사꺄 가문으로부터 출가하여 께사뿟따에 도착하셨습니다.
그분 고따마 존자(bhonto)께는 이러한 좋은 명성이 따릅니다.
‘이런 [이유로] 그분 세존(bhagava)께서는 아라한[應供]이시며, 완전히 깨달은 분[正等覺]이시며, 영지와 실천이 구족한 분[明行足]이시며, 피안으로 잘 가신 분[善逝]이시며, 세간을 잘 아고 계신 분[世間解]이시며, 가장 높은 분[無上士]이시며, 사람을 잘 길들이는 분[調御丈夫]이시며, 하늘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이시며, 깨달은 분[佛]이시며, 세존(bhagava)(世尊)이시다.’라고. 그는 신을 포함하고 마라를 포함하고 범천을 포함하고 사문(samaṇa)ㆍ바라문(brāhmaṇa)을 포함하고 신과 인간을 포함한 이 세상을 스스로 수승한 지혜(신통지, abhiñña)로 알고 실현하여 드러냅니다. 그는 법을 설합니다. 그는 시작도 훌륭하고 중간도 훌륭하고 끝도 훌륭하며, 의미와 표현을 구족하여 법을 설하여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하고 지극히 청정한 범행을 설합니다. 참으로 그러한 아라한을 뵙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라고.
그때 께사뿟따의 깔라마들은 세존(bhagava)께 다가갔다. 어떤 사람들은 세존(bhagava)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어떤 사람들은 세존(bhagava)과 함께 환담을 나누고 유쾌하고 기억할 만한 이야기로 서로 담소를 나누고 한 곁에 앉았다.
어떤 사람들은 세존(bhagava)께 합장하여 인사드리고서 한 곁에 앉았다. 어떤 사람들은 세존(bhagava)의 앞에서 이름과 성을 말씀드리고 한 곁에 앉았다.
어떤 사람들은 조용히 한 곁에 앉았다. 이렇게 한 곁에 앉은 께사뿟따의 깔라마들은 세존(bhagava)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2. “세존(bhagava)이시여, 어떤 사문(samaṇa)ㆍ바라문(brāhmaṇa)들이 께사뿟따에 옵니다. 그들은 각자 자기의 주장을 설명하고 칭찬합니다. 다른 사람의 주장은 매도하고 욕하고 업신여기고 경멸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다른 사문(samaṇa)ㆍ바라문(brāhmaṇa)들 또한 께사뿟따에 옵니다. 그들도 각자 자기의 주장을 설명하고 칭찬합니다. 다른 사람의 주장은 매도하고 욕하고 업신여기고 경멸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이런 존경하는 사문(samaṇa)들 가운데 누가 진실을 얘기하고 누가 거짓을 말하는지 그들에 대해서 저희들은 미덥지 못하고 의심(위찌낏차, vicikicchā) 스럽습니다.”
3.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당연히 미덥지 못하고 의심(위찌낏차, vicikicchā) 스러울 것이다. 미덥지 못한 곳에 의심(위찌낏차, vicikicchā) 이 일어난다. 깔라마들이여, 소문으로 들었다고 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온다고 해서, ‘그렇다 하더라.’고 해서, [우리의] 성전에 써 있다고 해서, 논리적이라고 해서, 추론에 의해서, 이유가 적절하다고 해서, 우리가 사색하여 얻은 견해와 일치한다고 해서, 유력한 사람이 한 말이라고 해서, 혹은 ‘이 사문(samaṇa)은 우리의 스승이시다.’라는 생각 때문에 [진실이라고 받아들이지 말라.]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참으로 스스로가 ‘이러한 법들은 해로운 것이고, 이러한 법들은 비난받아 마땅하고, 이런 법들은 지자들의 비난을 받을 것이고, 이러한 법들을 전적으로 받들어 행하면 손해와 괴로움이 있게 된다.’라고 알게 되면 그때 그것들을 버리도록 하라.”
4.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의 내면에서 탐욕(로바, lobha) 이 일어나면 그것은 그에게 이익이 되겠는가, 손해가 되겠는가?”
“손해가 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깔라마들이여, 심한 탐욕(로바, lobha) 을 가진 사람은 탐욕(로바, lobha) 에 사로잡히고 그것에 얼이 빠져 생명을 죽이고, 주지 않은 것을 갖고, 남의 아내에게 접근하고, 거짓말(musāvāda)을 하게 된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면 이것은 오랜 세월을 그에게 손해와 괴로움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5.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의 내면에서 성냄(도사, dosa) 이 일어나면 그것은 그에게 이익이 되겠는가, 손해가 되겠는가?”
“손해가 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깔라마들이여, 포악한 사람은 성냄(도사, dosa) 에 사로잡히고 그것에 얼이 빠져 생명을 죽이고, 주지 않은 것을 갖고, 남의 아내에게 접근하고, 거짓말(musāvāda)을 하게 된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면 이것은 오랜 세월을 그에게 손해와 괴로움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6.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의 내면에서 어리석음(모하, moha) 이 일어나면 그것은 그에게 이익이 되겠는가, 손해가 되겠는가?”
“손해가 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깔라마들이여, 멍청한 사람은 어리석음(모하, moha) 에 사로잡히고 그것에 얼이 빠져 생명을 죽이고, 주지 않은 것을 갖고, 남의 아내에게 접근하고, 거짓말(musāvāda)을 하게 된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면 이것은 오랜 세월을 그에게 손해와 괴로움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7.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러한 법들은 유익한 것인가 해로운 것인가?”
“해로운 것입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비난받아 마땅한 것인가, 그렇지 않은 것인가?”
“비난받아 마땅한 것입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지자에 의해 비난받을 일인가, 칭찬받을 일인가?”
8. “깔라마들이여, 그래서 우리는 이와 같이 말했던 것이다.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소문으로 들었다고 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온다고 해서, ‘그렇다 하더라.’고 해서, [우리의] 성전에 써 있다고 해서, 논리적이라고 해서, 추론에 의해서, 이유가 적절하다고 해서, 우리가 사색하여 얻은 견해와 일치한다고 해서, 유력한 사람이 한 말이라고 해서, 혹은 ‘이 사문(samaṇa)은 우리의 스승이시다.’라는 생각 때문에 [진실이라고 받아들이지 말라.]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참으로 스스로가 ‘이러한 법들은 해로운 것이고, 이러한 법들은 비난받아 마땅하고, 이런 법들은 지자들의 비난을 받을 일이고, 이러한 법들을 전적으로 받들어 행하면 손해와 괴로움이 있게 된다.’라고 알게 되면 그때 그것들을 버리도록 하라.’라고. 이렇게 말한 것은 이것을 반연하여 말한 것이다.”
9.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소문으로 들었다고 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온다고 해서, ‘그렇다 하더라.’고 해서, [우리의] 성전에 써 있다고 해서, 추측이 그렇다고 해서, 논리적이라고 해서, 추론에 의해서, 이유가 적절하다고 해서, 우리가 사색하여 얻은 견해와 일치한다고 해서, 유력한 사람이 한 말이라고 해서, 혹은 ‘이 사문(samaṇa)은 우리의 스승이시다.’라는 생각 때문에 [진실이라고 받아들이지 말라.]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참으로 스스로가 ‘이러한 법들은 유익한 것이고, 이러한 법들은 비난받지 않을 것이며, 이런 법들은 지자들의 비난을 받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법들을 전적으로 받들어 행하면 이익과 행복이 있게 된다.’라고 알게 되면, 그것들을 구족하여 머물러라.”
10.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의 내면에서 탐욕(로바, lobha) 없음이 일어나면 그에게 이익이 되겠는가, 손해가 되겠는가?”
“이익이 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깔라마들이여, 심한 탐욕(로바, lobha) 을 가지지 않은 사람은 탐욕(로바, lobha) 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것에 얼이 빠지지 않아서 생명을 죽이지 않고, 주지 않은 것을 갖지 않고, 남의 아내에게 접근하지 않고, 거짓말(musāvāda)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격려한다. 그러면 이것은 오랜 세월을 그에게 이익과 행복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11.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의 내면에서 성냄(도사, dosa) 없음이 일어나면 그것은 그에게 이익이 되겠는가, 손해가 되겠는가?”
“이익이 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깔라마들이여, 성내지 않는 사람은 성냄(도사, dosa) 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것에 얼이 빠지지 않아서 생명을 죽이지 않고, 주지 않은 것을 갖지 않고, 남의 아내에게 접근하지 않고, 거짓말(musāvāda)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격려한다. 그러면 이것은 오랜 세월을 그에게 이익과 행복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12.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사람의 내면에서 어리석음(모하, moha) 없음이 일어나면 그것은 그에게 이익이 되겠는가, 손해가 되겠는가?”
“이익이 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깔라마들이여, 영민한 사람은 어리석음(모하, moha) 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것에 얼이 빠지지 않아서 생명을 죽이지 않고, 주지 않은 것을 갖지 않고, 남의 아내에게 접근하지 않고, 거짓말(musāvāda)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격려한다. 그러면 이것은 오랜 세월을 그에게 이익과 행복이 되지 않겠는가?”
“그렇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13. “깔라마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러한 법들은 유익한 것인가, 해로운 것인가?”
“유익한 것입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비난받아 마땅한 것인가, 그렇지 않을 일인가?”
“비난받지 않을 일입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지자에 의해 비난받을 일인가, 칭찬받을 일인가?”
“칭찬받을 일입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전적으로 받들어 행하면 이익이 있고 행복하게 되는가, 아닌가? 그대들의 생각에는 어떠한가?”
“세존(bhagava)이시여, 전적으로 받들어 행하면 이익이 있고 행복하게 됩니다. 저희들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14. “깔라마들이여, 그래서 우리는 이와 같이 말한 것이다. ‘깔라마들이여, 그대들은 소문으로 들었다고 해서, 대대로 전승되어 온다고 해서, ‘그렇다 하더라.’고 해서, [우리의] 성전에 써 있다고 해서, 추측이 그렇다고 해서, 논리적이라고 해서, 추론에 의해서, 이유가 적절하다고 해서, 우리가 사색하여 얻은 견해와 일치한다고 해서, 유력한 사람이 한 말이라고 해서, 혹은 ‘이 사문(samaṇa)은 우리의 스승이시다.’라는 생각 때문에 [진실이라고 받아들이지 말라.] 깔라마들이여, 그대는 참으로 스스로가 ‘이러한 법들은 유익한 것이고, 이러한 법들은 비난받지 않을 것이며, 이런 법들은 지자들의 비난을 받지 않을 것이고, 이러한 법들을 전적으로 받들어 행하면 이익과 행복이 있게 된다.’고 알게 되면, 그것들을 구족하여 머물러라.’라고. 이렇게 말한 것은 이것을 반연하여 말한 것이다.”
15. “깔라마들이여, 성스러운 제자(antevāsī)는 이와 같이 탐욕(로바, lobha) 이 없고 악의가 없고 현혹됨이 없이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citta)챙긴다. 그는 자애가 함께한 마음(citta)으로… 연민(까루나, karuṇā) 이 함께한 마음(citta)으로… 더불어 기뻐함이 함께한 마음(citta)으로… 평온이 함께한 마음(citta)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문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주위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악의 없는 평온이 함께한 마음(citta)으로 가득 채우고 머문다.
깔라마들이여, 성스러운 제자(antevāsī)는 이와 같이 마음(citta)에 원한이 없고, 마음(citta)에 악의가 없고, 마음(citta)이 오염되지 않고, 마음(citta)이 청정하여 금생에 네 가지 위안을 얻는다.”
16. “만약 다음 세상이 있고, 선행과 악행의 업들에 대한 결실과 과보가 있다면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善處], 천상세계에 태어날 것이다.’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첫 번째 위안이다.
‘만약 다음 세상이 없고 선행과 악행의 업들에 대한 결실과 과보도 없다면 나는 금생에 원한 없고 악의 없고 고통 없이 행복하게 살 것이다.’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두 번째 위안이다.
‘만약 어떤 이가 행하면서 나쁜 행을 하더라도 내가 다른 이에게 악을 저지르도록 교사하지 않았고 내 스스로도 악업을 짓지 않았거늘 어떻게 내가 괴로움과 마주치겠는가?’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세 번째 위안이다.
‘만약 어떤 이가 행하면서 나쁜 행을 하지 않으면 나는 양면으로 청정한 나를 볼 것이다. 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네 번째 위안이다.
깔라마들이여, 성스러운 제자(antevāsī)는 이와 같이 마음(citta)에 원한이 없고, 마음(citta)에 악의가 없고, 마음(citta)이 오염되지 않고, 마음(citta)이 청정하여 금생에 네 가지 위안을 얻는다.”
17. “세존(bhagava)이시여, 그러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참으로 그러합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성스러운 제자(antevāsī)는 이와 같이 마음(citta)에 원한이 없고, 마음(citta)에 악의가 없고, 마음(citta)이 오염되지 않고, 마음(citta)이 청정하여 금생에 네 가지 위안을 얻습니다.
‘만약 다음 세상이 있고, 선행과 악행의 업들에 대한 결실과 과보가 있다면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善處], 천상세계에 태어 날 것이다.’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첫 번째 위안입니다.
‘만약 다음 세상이 없고 선행과 악행의 업들에 대한 결실과 과보도 없다면 나는 금생에 원한 없고 악의 없고 고통 없이 행복하게 살 것이다.’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두 번째 위안입니다.
‘만약 어떤 이가 행하면서 나쁜 행을 하더라도 내가 다른 이에게 악을 저지르도록 교사하지 않았고 내 스스로도 악업을 짓지 않았거늘 어떻게 내가 고통과 마주치겠는가?’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세 번째 위안입니다.
‘만약 어떤 이가 행하면서 나쁜 행을 하지 않으면 나는 양면으로 청정한 나를 볼 것이다.’라고. 이것이 그가 얻는 네 번째 위안입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성스러운 제자(antevāsī)는 이와 같이 마음(citta)에 원한이 없고, 마음(citta)에 악의가 없고, 마음(citta)이 오염되지 않고, 마음(citta)이 청정하여 금생에 네 가지 위안을 얻습니다.
경이롭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경이롭습니다, 세존(bhagava)이시여. 마치 넘어진 자를 일으켜 세우시듯, 덮여있는 것을 걷어내 보이시듯, [방향을] 잃어버린 자에게 길을 가리켜주시듯, 눈 있는 자 형상을 보라고 어둠속에서 등불을 비춰주시듯, 세존(bhagava)께서는 여러 가지 방편으로 법을 설해주셨습니다. 저희들은 이제 세존(bhagava)께 귀의하옵고 법과 비구상가(saṅgha)에 귀의합니다. 세존(bhagava)께서는 저희들을 재가신자로 받아주소서. 오늘부터 목숨이 붙어 있는 그날까지 귀의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