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語 助 辭
(별다른 뜻이 없이 다른 글자를 補助하여 주거나 文章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주는 역할)
※ 장음[:] / 장음과 단음이 漢字語에 따라 다른 것[(:)] / 단음인 것은 表示 없음.
也: : 야, 이 주로 語助辭.
잇기 야/어조사 야, 대야 이/이것 이
부수 乚 [乙,乛,⺄] (새을3, 1획) 모양자 乜(사팔뜨기 먀) + 丨(뚫을 곤) /
1. (잇기 야/어조사 야)
a. 잇기(한곳에 대어 잇거나 한곳에 닿아서 붙는 일)
b. 어조사(語助辭), ~이다, ~느냐?, ~도다, ~구나
c. 발어사(發語辭)
d. 또한, 역시(亦是)
e. 딴, 다른
2. (대야 이/이것 이)
a. 대야(둥글넓적한 그릇)
b. 이것
✽ 及其也(급기야) 及 미칠 급 其 그 기 也 잇기 야 /1. 마침내. 필경에는. 마지막에는
✽ 也無妨(야무방) 也 잇기 야 無 없을 무 妨 방해할 방 /1. 별로 해로울 것 없음. : 유의어 也自不妨(야자불방)
✽ 言則是也(언즉시야) 言 말씀 언 則 법칙 칙 是 이 시 也 잇기 야 /1. 「말인즉 옳다.」는 뜻으로, 말하는 것이 사리(事理)에 맞는다는 뜻.
✽ 初也(초야) 初 처음 초 也 잇기 야 /1. 애초(-初). 맨 처음.
✽ 必也(필야) 必 반드시 필 也 잇기 야 / 유의어 必然(필연)
✽ 獨也靑靑(독야청청) 獨 홀로 독 也 잇기 야 靑 푸를 청 /1. 「홀로 푸르다.」는 뜻으로, 홀로 높은 절개(節槪ㆍ節介)를 지켜 늘 변(變)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유의어 落落長松(낙락장송) 傲霜孤節(오상고절)
✽ 是:也非也(시야비야) 是 이 시 也 잇기 야 非 아닐 비 /1. 옳으니 그르니 하고 시비(是非)를 제대로 판단(判斷)하지 못하는 일. /출전 사기(史記) /유의어 曰是曰非(왈시왈비)
耶: : 야, 사[邪와 동자] 語助辭
어조사 야, 간사할 사
부수 耳 (귀이, 6획)
모양자 耳(귀 이) + ⻏(우부방 읍)
1. (어조사 야)
a. 어조사(語助辭)
b. 그런가
c. 아버지(≒爺)
d. 예수, 야소교(耶蘇敎)
2. (간사할 사)
a.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邪)
b.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邪 : 사, 야, 여, 서
간사할 사, 그런가 야, 나머지 여, 느릿할 서
부수 ⻏ [邑] (우부방, 3획)
모양자 牙(어금니 아) + ⻏(우부방 읍)
1. (간사할 사)
a.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b. 사악하다(邪惡--)
c. 기울다, 비스듬하다
d. 바르지 아니하다
e. 사사롭다(私私--)
f. 사기(邪氣)
g. 품행(品行)이 부정(不正)한 사람
h. 사사(私私)로운 마음
2. (그런가 야)
a. 그런가
b. 어여차
c. 어조사(語助辭)
d. 땅의 이름
3. (나머지 여)
a. 나머지
4. (느릿할 서)
a. 느릿하다
유의어 奸(간사할 간) 慝(사특할 특, 숨길 닉(익)) 𨚌(간사할 사) / 반의어 忠(충성 충) 正(바를 정/정월 정)
✽ 千耶萬耶(천야만야) 千 일천 천 耶 어조사 야 萬 일 만 만 /1. 썩 높거나 깊어서 천 길이나 만 길이 되는 듯함.
✽ 有:耶無耶(유야무야) 有 있을 유 耶 어조사 야 無 없을 무 /1. 있는지 없는지 흐리멍덩한 모양(模樣), 흐지부지한 모양(模樣).
於 : 어, 오 / 처소격(~에, ~에게, ~으로, ~로부터), 목적격(~를), 비교격(~보다)조사, 감탄사
어조사 어, 탄식할 오
부수 方 (모방, 4획)
모양자 方(모 방) + 仒(구결자 어)
1. (어조사 어)
a. 어조사(語助辭)(~에, ~에서)
b. 기대다, 의지하다(依支--)
c. 따르다
d. 가다
e. 있다, 존재하다(存在--)
2. (탄식할 오)
a. 탄식하다(歎息ㆍ嘆息--)
b. 아아(감탄사)
c. 까마귀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苛 가혹할 가 政 정사 정 猛 사나울 맹 於 어조사 어 虎 범 호
「가혹(苛酷)한 정치(政治)는 호랑이 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苛酷)한 정치(政治)의 폐해(弊害)를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 출전 예기(禮記) /유의어 苛斂誅求(가렴주구)
✽ 受命於天(수명어천) 受 받을 수 命 목숨 명 於 어조사 어 天 하늘 천
「왕위(王位)에 오름」을 일컫는 말. /유의어 受命于天(수명우천)
✽ 勝於父(승어부) 勝 이길 승 於 어조사 어 父 아버지 부 / 아비보다 나음.
✽ 於中間(어중간) 於 어조사 어 中 가운데 중 間 사이 간 / 거의 중간쯤(中間-) 되는데.
✽ 於此彼(어차피) 於 어조사 어 此 이 차 彼 저 피 / 어차어피(於此於彼)의 준말-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거나 어쨌든.
✽ 遊於藝(유어예) 遊 놀 유 於 어조사 어 藝 재주 예 /육예(六藝)를 배움. /유의어 遊藝(유예)
✽ 靑出於藍(청출어람)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 藍 쪽 람(남)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 출전 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 / 유의어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出藍(출람) 出藍之譽(출람지예) 出藍之才(출람지재) 後生角高(후생각고)
✽ 於戲(오희) 於 탄식할 오 戲 놀이 희 / 글에 쓰이어, 감탄(感歎)하거나 탄미할 때 「아」 또는 「어허」의 뜻으로 내는 소리.
焉 : 언, 이 / 문장 종결, 대명사, 앞에 올 때 ‘어찌’ 의문부사 / 𤇟(동자), 𩾏(동자)
어찌 언, 오랑캐 이
부수 灬 [火] (연화발, 4획)
모양자 正(바를 정) + 𠀁(일곱 칠) + 灬(연화발 화)
1. (어찌 언)
a. 어찌, 어떻게
b. 어디, 어디에
c. 보다, ~보다 더
d. 이에, 그래서
e. 이(지시 대명사)
f. ~느냐?
g. ~도다!
h. 그러하다, ~와 같다
2. (오랑캐 이)
a. 오랑캐
유의어 豈(어찌 기, 개가 개)
✽ 缺焉(결언) 缺 이지러질 결 焉 어찌 언 /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모자람. / 유의어 闕焉(궐언)
✽ 少焉(소언)
✽ 於焉(어언) 於 어조사 어 焉 어찌 언 / 벌써, 어느새. / 유의어 於焉之間(어언지간)
✽ 吾不關焉(오불관언) 吾 나 오 不 아닐 부 關 관계할 관 焉 어찌 언
나는 그 일에 상관(相關)하지 아니함. 또는 그런 태도(態度). 유의어 馬耳東風(마이동풍) 袖手傍觀(수수방관)
✽ 終焉(종언) 終 마칠 종 焉 어찌 언 / 죽거나 없어져서 존재(存在)가 끝남을 이르는 말.
✽ 焉敢生心(언감생심) 焉 어찌 언 敢 감히 감 生 날 생 心 마음 심
「어찌 감(敢)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있으랴.」의 뜻으로, 감히 하지 못하는 일을 가리킬 때 쓰는 표현(表現). / 유의어 敢不生心(감불생심) 安敢生心(안감생심) 不敢生意(불감생의)
于 : 우, 어 / 처소격(~에, ~에게, ~으로, ~로부터), 목적격(~를), 비교격(~보다) 조사
어조사 우, 어조사 어
부수 二 (두이, 2획)
모양자 二(두 이) + 亅(갈고리 궐)
1. (어조사 우)
a. 어조사(語助辭)(~에서, ~부터, ~까지, ~에게)
b. 향하여 가다
c. 동작(動作)을 하다, 행하다(行--)
d. 구하다(求--), 가지다
e. 굽다, 굽히다
f. 크다, 광대하다(廣大--)
g. 비슷하다, 닮다
h. 광대(廣大)한 모양
I. 성(姓)의 하나
j. 이, 이것
k. 아!(감탄사)
2. (어조사 어)
a. 어조사(語助辭)
✽ 當日于歸(당일우귀) 當 마땅 당 日 날 일 于 어조사 우 歸 돌아갈 귀
전통(傳統) 혼례(婚禮)에서, 결혼(結婚)한 그날 바로 신부(新婦)가 시집(媤-)으로 들어가는 일.
✽ 與:隋將于仲文詩(여:수장우중문시) 與 더불 여 隋 수나라 수 將 장수 장 于 어조사 우 仲 버금 중 文 글월 문 詩 시 시
고구려(高句麗)의 명장(名將)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지은 한시(漢詩). 중국(中國) 수(隋)나라 장수(將帥) 우중문(于仲文)에게 지어 보낸 것으로, 현전(現傳) 최고(最古)의 한시(漢詩).
✽ 于先(우선) 于 어조사 우 先 먼저 선 / 무엇보다도 먼저.
✽ 至于今(지우금) 至 이를 지 于 어조사 우 今 이제 금 / 여태까지. / 유의어 今來(금래) 尙今(상금) 于今(우금) 至今(지금) 至于今日(지우금일) 迄今(흘금)
矣(:) : 의 / 문장의 종결.
어조사 의
부수 矢 (화살시, 5획)
모양자 矢(화살 시) + 厶(사사 사)
1. 어조사(語助辭)
2. ~었다
3. ~리라
4. ~이다
5. ~뿐이다
6. ~도다!
7. ~느냐?
8. ~여라
✽ 萬:事休矣(만:사휴의) 萬 일 만 만 事 일 사 休 쉴 휴 矣 어조사 의
「만 가지 일이 끝장」이라는 뜻으로, 모든 일이 전혀 가망(可望)이 없는 절망(絕望)과 체념(諦念)의 상태(狀態)임을 이르는 말. /유의어 勞而無功(노이무공)
✽ 已:矣勿論(이:의물론) 已 이미 이 矣 어조사 의 勿 말 물 論 논할 론(논)
이미 지나간 일은 다시 논(論)하지 아니함.
✽ 足且足矣(족차족의) 足 발 족 且 또 차 矣 어조사 의
흡족하게 아주 넉넉함. / 유의어 喫着不盡(끽착부진) 足足有餘(족족유여)
如 : 여, 이 / 대개 ‘같다’의 뜻, 글자 뒤에 오면 然(그러할 연)과 마찬가지로 ‘~한 듯함, ~같음, ~함’의 뜻. 앞 글자의 뜻을 강조.
같을 여, 말 이을 이
부수 女 (여자 녀, 3획)
모양자 女(여자 녀(여)) + 口(입 구)
1. (같을 여)
a. 같다, 같게 하다
b. 어떠하다
c.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닿다
d. 좇다, 따르다
e. 가다,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f. 당연히 ~하여야 한다
g. 맞서다, 대항하다(對抗--)
h. 비슷하다
I. 어찌
j. 가령(假令), 만일(萬一)
k. 마땅히
l. 곧, 이것이
m. ~과, ~와 함께
n. 보다, ~보다 더
o. 이에, 그래서
2. (말 이을 이)
a. 말을 잇다(≒而)
유의어 肖(닮을 초/같을 초, 꺼질 소) 若(같을 약, 반야 야)
반의어 他(다를 타) 別(나눌 별/다를 별) 差(다를 차, 매길 치, 조금 채) 殊(다를 수) 異(다를 이(리))
✽ 古:如今(고:여금) 古 옛 고 如 같을 여 今 이제 금
예나 지금이나 변(變)함이 없음. / 유의어 古如是今如是(고여시금여시)
✽ 事:不如意(사:불여의) 事 일 사 不 아닐 부 如 같을 여 意 뜻 의
일이 뜻대로 안됨.
✽ 事:人如天(사:인여천) 事 일 사 人 사람 인 如 같을 여 天 하늘 천
천도교(天道敎)에서, 한울님을 공경(恭敬)하듯이 사람도 그와 같이 공경(恭敬)하여 서로의 인격(人格)과 예의(禮儀)를 존중(尊重)하는 윤리(倫理) 행위(行爲).
✽ 歲:月如流(세:월여류) 歲 해 세 月 달 월 如 같을 여 流 흐를 류(유)
「세월(歲月)이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세월(歲月)의 지나감이 몹시 빠르다는 말.
✽ 如山若海(여산약해) 如 같을 여 山 메 산 若 같을 약 海 바다 해 / 산과 같고 바다와 같이 매우 크고 많음.
✽ 如意珠(여의주) 如 같을 여 意 뜻 의 珠 구슬 주
1. 영묘(靈妙)한 구슬. 이것에 빌면 만사(萬事)가 뜻대로 된다고 하며, 여의륜 관음은 이 구슬을 두 손에 가지고 있다 함.
2. 용의 턱 아래에 있다는 구슬. 사람이 얻으면 갖은 조화(造化)를 부린다고 함.
유의어 寶珠(보주) 如意摩尼(여의마니) 如意寶珠(여의보주) 驪珠(이주)
✽ 如何(여하) 如 같을 여 何 어찌 하
어떻게 하는가 하는 것. 또는 어떠한가 하는 것. 명사(名詞)의 뒤에 놓여, 일의 귀추가 앞 말이 나타내는 것을 어떻게 하느냐 또는 앞 말이 나타내는 것이 어떠한가에 달려 있음을 나타내는 말임.
유의어 若何(약하)
✽ 缺如(결여) 缺 이지러질 결 如 같을 여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모자람.
유의어 闕焉(굴언) 闕焉(궐언) 闕如(궐여)
✽ 何如(하여) 何 어찌 하 如 같을 여 / 어떠함.
✽ 或如(혹여) 或 혹 혹 如 같을 여 / 혹시, 설혹. / 유의어 設或(설혹)
與: : 여 / ‘주다, 참여하다, 그렇다’ 등의 뜻, ‘~와 더불어’의 뜻, ‘~와, ~과’의 뜻
더불 여/줄 여
부수 𦥑 [臼] (절구구변, 7획)
모양자 𦥑(깍지 낄 국) + 与(더불 여) + 一(한 일) + 八(여덟 팔)
1. 더불다(둘 이상의 사람이 함께하다)
2. 같이하다
3. 참여하다(參與--), 참여하다
4. 주다, 베풀어주다
5. 허락하다(許諾--), 인정하다
6. 간여하다(干與--), 간섭하다(干涉--)
7. 돕다, 협조하다
8. 기리다, 찬양하다(讚揚--)
9. 기뻐하다
10. 기록하다, 등재하다
11. 좇다(남의 말이나 뜻을 따르다), 따르다
12. 친하다(親--)
13. 의심하다
14. 만일(萬一), 가령(假令)
15. 미리, 앞서
16. 위하여
17. 및
18. ~보다는
19. 어조사
20.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유의어 供(이바지할 공) 俱(함께 구/갖출 구) 偕(함께 해) 參(참여할 참, 석 삼) 授(줄 수) 給(줄 급) 贈(줄 증) 關(관계할 관, 당길 완, 당길 만)
반의어 受(받을 수) 野(들 야)
✽ 與:民同樂(여:민동락) 與 더불 여 民 백성 민 同 한가지 동 樂 노래 악
왕이 백성(百姓)과 더불어 낙을 같이 나눔. / 출전 맹자(孟子) / 유의어 與民偕樂(여민해락)
✽ 唯佛與佛(유불여불) 唯 오직 유 佛 부처 불 與 더불 여
「오직 부처님과 부처님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깨달음의 경지(境地)는 오직 부처만이 알며 인위(因位)의 보살(菩薩) 따위는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
✽ 子與孫(자여손) 子 아들 자 與 더불 여 孫 손자 손 / 아들과 손자(孫子).
✽ 子與姪(자여질) 子 아들 자 與 더불 여 姪 조카 질 / 아들과 조카.
然 : 연 / ‘그렇다, 그러하다’의 뜻. 접속부사 ‘그러나’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그럴 연/불탈 연
부수 灬 [火] (연화발, 4획)
모양자 灬(연화발 화) + 夕(저녁 석) + 犬(개 견) + 丶(점 주)
1. 그러하다, 틀림이 없다
2. 그러하게 하다
3. 명백하다(明白--), 분명하다(分明--)
4. 그러하다고 하다
5. ~이다
6. 듯하다
7. 허락하다(許諾--), 동의하다(同意--)
8. 불타다, 불태우다
9. 밝다
10. 그런데, 드디어
11. 그러하면, 그리하여
12. 그렇다면, 그러면
13. 그러고 나서, 연후(然後)에
14. 그러나, 그렇지만
15. 그런데도, 그렇기는 하지만
16. 상태를 나타내는 접미사(接尾辭)
17. 원숭이의 일종(一種)
반의어 否(아닐 부, 막힐 비)
✽ 蓋:然(개:연) 蓋 덮을 개 然 그럴 연
확실(確實)하지 못하나 그럴 것 같은 모양(模樣). 반의어 必然(필연)
✽ 固然(고연) 固 굳을 고 然 그럴 연 / 본래(本來)부터 그러함. 원래(原來) 그러함.
✽ 舊:態依然(구:태의연) 舊 예 구 態 모습 태 依 의지할 의 然 그럴 연 / 옛 모양(模樣) 그대로임.
✽ 當然(당연) 當 마땅 당 然 그럴 연 / 도리상(道理上) 마땅히 해야 할 일. / 유의어 應然(응연) 正當(정당)
✽ 然否(연부) 然 그럴 연 否 아닐 부 / 그러함과 그렇지 아니함. / 유의어 與否(여부)
✽ 연이나(然--)
✽ 然則(연즉) 然 그럴 연 則 법칙 칙 / 그런즉. 그러면.
以: : 이: / 수단, 방법, 자격, 이유 등의 뜻을 가지고 문장을 연결. ~로써, 그로써, ~를 가지고, ~로서, ~에, ~ 때문에, ~하여, ~를 거느리고 등
써 이
부수 人 [亻] (사람인, 2획)
모양자 丨(뚫을 곤) + 一(한 일) + 人(사람 인) + 丶(점 주)
1. ~써, ~로, ~를 가지고, ~를 근거(根據)로
2. ~에 따라, ~에 의해서, ~대로
3. ~때문에, ~까닭에, ~로 인하여
4. ~부터
5. ~하여, ~함으로써, ~하기 위하여
6. ~을 ~로 하다
7. ~에게 ~을 주다
8. ~라 여기다
9. 말다
10. 거느리다
11. 닮다
12. 이유(理由), 까닭
13. (시간, 장소, 방향, 수량의)한계(限界)를 나타냄
✽ 可:以東可以西(가:이동가이서) 可 옳을 가 以 써 이 東 동녘 동 西 서녘 서
이렇게 할 만도 하고 저렇게 할 만도 함. / 유의어 可東可西(가동가서)
✽ 交友以信(교우이신) 交 사귈 교 友 벗 우 以 써 이 信 믿을 신 / 벗을 사귐에 신의(信義)으로써 사귐.
✽ 未:生以前(미:생이전) 未 아닐 미 生 날 생 以 써 이 前 앞 전
1. 아직 태어나기 전(前).
2. 부모(父母)로부터 태어나지 않은 이전(以前)의 모습. 상대(相對)를 초월(超越)한 절대(絕對) 무차별(無差別)의 경지(境地).
✽ 所:以然(소:이연) 所 바 소 以 써 이 然 그럴 연 / 그렇게 된 까닭.
✽ 以:民爲天(이:민위천) 以 써 이 民 백성 민 爲 할 위 天 하늘 천
「백성(百姓)을 생각하기를 하늘같이 여긴다.」는 뜻으로, 백성(百姓)을 소중(所重)히 여겨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根本)으로 삼음. / 출전 사기(史記)
✽ 以:夷制夷(이:이제이) 以 써 이 夷 오랑캐 이 制 절제할 제
「오랑캐를 이용하여 다른 오랑캐를 제어(制御ㆍ制馭)한다.」라는 뜻으로, 적(敵)을 이용(利用)하여 다른 적(敵)을 통제(統制)하고 부림. / 출전 후한서(後漢書) / 유의어 以夷攻夷(이이공이) 以夷伐夷(이이벌이) 以毒制毒(이독제독)
✽ 自古以來(자고이래) 自 스스로 자 古 옛 고 以 써 이 來 올 래(내) / 옛날부터 지금까지. / 유의어 古來(고래) 自來(자래)
己 : 기 / 앞에 오면 대개 ‘이미’, 뒤에 오면 대개 ‘말다, 그만두다’의 뜻. 而己, 而己矣 등을 ‘뿐이다’로 번역.
몸 기
부수 己 [巳] (몸기, 3획)
모양자 己(몸 기)
1. 몸
2. 자기(自己), 자아(自我)
3. 여섯째 천간(天干)
4. 사욕(私慾)
5. 어조사(語助辭)
6. 다스리다
7. 몸기(-己: 부수(部首)의 하나)
유의어 𢀒(몸 기) 自(스스로 자) 身(몸 신, 나라 이름 건) 躬(몸 궁) 軀(몸 구)
✽ 已:決(이:결) 已 이미 이 決 결단할 결 / 이미 결정(決定)했거나 결정(決定)됨.
✽ 已:往(이:왕) 已 이미 이 往 갈 왕
1. 오래 전(前).
2. 그전(-前).
유의어 以前(이전) 旣往(기왕)
✽ 已:然之事(이:연지사) 已 이미 이 然 그럴 연 之 갈 지 事 일 사 / 이미 그렇게 된 일.
✽ 不得已(부득이) 不 아닐 부 得 얻을 득 已 이미 이
1. 마지못하여. 2. 하는 수 없이. 3. 어쩔 수 없이.
유의어 不可不得(불가부득)
✽ 必死乃已(필사내이) 必 반드시 필 死 죽을 사 乃 이에 내 已 이미 이 / 반드시 죽고야 맒.
而 : 이, 능 / 말을 연결하여 주는 역할. 접속사로서 ‘그리고, 그러나’의 뜻.
말 이을 이, 능히 능
부수 而 (말이을이, 6획)
모양자 一(한 일) + 𦓐(-)
1. (말 이을 이)
a. 말을 잇다
b. 같다
c. 너, 자네, 그대
d. 구레나룻(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e. 만약(萬若), 만일(萬一)
f. 뿐, 따름
g. 그리고
h. ~로서, ~에
I. ~하면서
j. 그러나, 그런데도
k. 말이을이(---而: 부수(部首)의 하나)
2. (능히 능)
a. 능(能)히(≒能)
b. 재능(才能), 능력(能力)
통자 能(능할 능, 견딜 내)
✽ 困:而知之(곤:이지지) 困 곤할 곤 而 말 이을 이 知 알 지 之 갈 지
애써 고생(苦生)하며 공부(工夫)한 끝에 앎. 노력하여 얻은 지식(知識)이나 실력(實力)을 이르는 말.
유의어 困知(곤지)
✽ 具體而微(구체이미) 具 갖출 구 體 몸 체 而 말 이을 이 微 작을 미 / 형체(形體)는 갖추었으나 보잘것없음.
✽ 似:而非(사:이비) 似 닮을 사 而 말 이을 이 非 아닐 비 /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듯하지만 근본적(根本的)으로는 아주 다른 것. 출전 맹자(孟子)
유의어 口蜜腹劍(구밀복검) 口有蜜腹有劒(구유밀복유검) 同床各夢(동상각몽) 同床異夢(동상이몽) 面從腹背(면종복배) 似是而非(사시이비) 似而非者(사이비자) 笑裏藏刀(소리장도) 笑面虎(소면호) 笑中有劍(소중유검) 羊頭狗肉(양두구육) 陽奉陰違(양봉음위) 羊質虎皮(양질호피) 表裏不同(표리부동)
✽ 而今以後(이금이후) 而 말 이을 이 今 이제 금 以 써 이 後 뒤 후 / 이로부터 앞으로 차후(此後).
유의어 自今以後(자금이후)
✽ 自勞而得(자로이득) 自 스스로 자 勞 일할 로(노) 而 말 이을 이 得 얻을 득 / 혼자의 힘으로 일을 끝마침.
✽ 聽而不聞(청이불문) 聽 들을 청 而 말 이을 이 不 아닐 부 聞 들을 문
1. 아무리 귀를 기울이고 들어도 들리지 않음.
2. 듣고도 못 들은 체함.
유의어 聽若不聞(청약불문)
耳: : 이, 잉 / ‘귀’의 뜻. ‘而己’, 而己矣‘와 같이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의 종결사로 쓰임.
귀 이, 잉손 잉
부수 耳 (귀이, 6획)
모양자 耳(귀 이)
1. (귀 이)
a. 귀, 오관(五官)의 하나
b. 성(盛)한 모양
c. 뿐(따름)
d. (귀에)익다, 듣다
e. (곡식이)싹나다
f. 귀이(-耳: 부수(部首)의 하나)
2. (잉손 잉)
a. 잉손(仍孫: 7대손)
통자 仍(인할 잉)
✽ 訓民正音 序文에 ’…欲使人人아로 便於日用耳니라‘
將(:) : 장 / 장수나 장차의 뜻. ’~를 가지고, ~로써, ~로서‘로 以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장수 장/장차 장
부수 寸 (마디촌, 3획)
모양자 爿(나뭇조각 장) + 𪧷(-) + 丶(점 주)
1. 장수(將帥), 인솔자(引率者)
2. 장차(將次)
3. 문득
4. 청컨대
5. 무릇, 대저(大抵: 대체로 보아서)
6. 만일(萬一), 만약(萬若),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7. 또한, 한편
8. 거의, 대부분(大部分)
9. 그리고, 그리하여
10. 오히려
11. 원하건대, 바라건대
12. 어찌
13. 거느리다, 인솔하다(引率--)
14. 기르다, 양육하다(養育--)
15. 동반하다(同伴--)
16. 행하다(行--), 행동(行動)으로 옮기다
17. 나아가다, 발전하다(發展--)
18. 가지다, 취하다(取--)
19. 받들다
20. 지키다
유의어 帅(장수 수, 거느릴 솔) 帥(장수 수, 거느릴 솔)
반의어 兵(병사 병) 卒(마칠 졸, 버금 쉬) 士(선비 사)
✽ 將:計就計(장:계취계) 將 장수 장 計 셀 계 就 나아갈 취 / 저편의 계략(計略)을 미리 알고 이를 이용(利用)하는 계교(計巧).
✽ 將功贖罪(장공속죄) 將 장수 장 功 공 공 贖 속죄할 속 罪 허물 죄 / 죄지은 사람이 공(功)을 세워 그 대가(代價)로 죄(罪)를 면(免)함.
✽ 將功折罪(장공절죄) 將 장수 장 功 공 공 折 꺾을 절 罪 허물 죄
“將功贖罪”와 같다. 《續大典 5, 刑典, 禁制, 注》 犯越地界守令․邊將, 徒三年定配. 座首․兵房軍官, 島配. 守令․邊將自爲捕納者, 將功折罪.
✽ 將:功切罪(장:공절죄) 將 장수 장 功 공 공 切 끊을 절 罪 허물 죄 / 쌍은 공적(功績)과 지은 죄(罪)를 절충(折衷)하여 죄(罪)를 정(定)하던 일.
哉 : 재 / 감탄형 종결사.
비롯할 재/어조사 재
부수 口 (입구, 3획)
모양자 口(입 구) + 𢦏(다칠 재)
1. 비롯하다
2. 어조사(語助辭)
3. 처음
4. 재난(災難)
5. 재앙(災殃)
통자 才(재주 재) 烖(재앙 재)
✽ 善:哉(선:재) 善 착할 선 哉 비롯할 재 / 좋다 좋구나의 뜻.
✽ 哀哉(애재) 哀 슬플 애 哉 비롯할 재 / 한문투(漢文套)로, 「슬프도다.」의 뜻.
✽ 壯:哉(장:재) 壯 장할 장 哉 비롯할 재 / 굉장(宏壯)함을 탄상(歎賞)하는 말.
✽ 快哉(쾌재) 快 쾌할 쾌 哉 비롯할 재 / 마음먹은 대로 잘되어 만족(滿足)스럽게 여김. 「통쾌(痛快)하다」고 하는 말.
的 : 적 / 중국어 ’~의‘ 소유격 조사. 우리나라 특수하게 가치평가 담긴 말(예 歷史的 事實).
과녁 적/밝을 적
부수 白 (흰백, 5획)
모양자 白(흰 백) + 勺(구기 작)
1. 과녁
2. 참, 진실(眞實)
3. 목표(目標), 표준(標準)
4. 맏아들(≒嫡)
5. 정통(正統: 적장(嫡長)의 혈통)
6. 연지(臙脂: 입술이나 뺨에 찍는 붉은 빛깔의 염료)
7. 이마가 흰말
8. 뾰족한 봉우리
9. 연밥(蓮-: 연꽃의 열매)
10. 도대체(都大體), 대관절(大關節)
11. 어조사(~의, ~한 상태로 되는, ~할 수 있다)
12. 밝다, 선명하다(鮮明--)
13. 적실하다(的實--: 틀림이 없이 확실하다)
14. 분명하다(分明--)
15. 곱다
16. 희다
✽ 可:及的(가:급적) 可 옳을 가 及 미칠 급 的 과녁 적 / 될 수 있는 대로, 되도록.
✽ 基礎的(기초적) 基 터 기 礎 주춧돌 초 的 과녁 적 / 1. 기초(基礎)로 되는. 2. 기초(基礎)로 되는 것.
✽ 多目的(다목적) 多 많을 다 目 눈 목 的 과녁 적 / 여러 목적(目的)이 있음. 여러 가지 목적(目的)을 겸(兼)함.
✽ 反:社會的(반:사회적) 反 돌이킬 반 社 모일 사 會 모일 회 的 과녁 적 / 사회(社會)의 진보(進步), 발전(發展)에 반대(反對)되는 성질(性質)을 띤.
✽ 絕對的(절대적) 絕 끊을 절 對 대할 대 的 과녁 적
1. 아무런 조건(條件)이나 제약(制約)이 따르지 않는. 또는 그런 것.
2. 비교(比較)나 상대(相對)될 만한 것이 없는. 또는 그런 것.
반의어 相對的(상대적)
✽ 創:造的(창:조적) 創 비롯할 창 造 지을 조 的 과녁 적 / 창조(創造)하는 특성(特性)이 있는. 또는 그런 것.
諸 : 제, 저 / ’모두‘의 뜻. 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一言而可以興邦, 有諸처럼 之於와 之乎의 뜻(종결사)
모두 제, 김치 저/어조사 저
부수 言 [訁,讠] (말씀언, 7획)
모양자 言(말씀 언) + 者(놈 자)
1. (모두 제)
a. 모두
b. 모든
c. 무릇
d. 여러
e. 딴, 기타의
f. 만약(萬若) ~한다면
g. 이, 저(대명사)
h. 지차(之次: 맏이 이외의 자식들)
I. 말을 잘하다
2. (김치 저/어조사 저)
a. 김치(소금에 절인 배추나 무 따위를 양념에 버무린 뒤 발효를 시킨 음식)
b. 장아찌
c. 절임
d.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e. ~에, ~에서(어조사)
✽ 居諸(거저) 居 살 거 諸 모두 제
유의어 日居月諸(일거월저) 1. 쉬지 아니하고 가는 세월(歲月). 2. 일월(日月). 거(居)와 저(諸)는 조사(助辭). / 출전 시경(詩經)
✽ 忽諸(홀저) 忽 갑자기 홀 諸 모두 제 / 급작스럽고 소홀(疏忽)함.
之 : 지 / ’가다‘의 뜻은 적고, 소유격 조사 ’의‘의 뜻으로 많이 쓰임. 대명사, 종결사로도 쓰임.
갈 지
부수 丿 (삐침별, 1획)
모양자 之(갈 지)
1. 가다
2. (영향을)끼치다
3. 쓰다, 사용하다
4.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5. 어조사(語助辭)
6. 가, 이(≒是)
7. ~의
8. 에, ~에 있어서
9. 와, ~과
10. 이에, 이곳에
11. 을
12. 그리고
13. 만일(萬一), 만약(萬若)
유의어 去(갈 거)
반의어 來[올 래(내)]
✽ 之南之北(지남지북) 之 갈 지 南 남녘 남 北 북녘 북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는 뜻으로, 곧, 어떤 일에 주견(主見)이 없이 갈팡질팡함을 이르는 말. 유의어 指東指西(지동지서)
✽ 感:之德之(감:지덕지) 感 느낄 감 之 갈 지 德 클 덕
「이를 감사(感謝)하게 생각하고 이를 덕(德)으로 생각한다.」는 뜻으로, 분에 넘치는 듯싶어 대단히 고맙게 여김.
✽ 見:而知之(견:이지지) 見 볼 견 而 말 이을 이 知 알 지 之 갈지 / 실지(實地)로 보고서 앎.
✽ 敬:而遠之(경:이원지) 敬 공경 경 而 말 이을 이 遠 멀 원 之 갈 지
1. 「귀신(鬼神)은 공경(恭敬)하되 멀리하는 것이다.」라는 뜻으로,
a. 공경(恭敬)하되 가까이하지는 아니함.
b. 겉으로는 공경(恭敬)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꺼리어 멀리함.
출전 논어(論語)의 옹야편(雍也篇)
유의어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 敬遠(경원)
유래 공자(孔子)의 제자(弟子) 번지(樊遲)가 지(知)에 대하여 묻자, 공자(孔子)는 「자기(自己) 자신(自身)이 해야 할 일에 힘쓰고, 귀(鬼)나 신(神)은 공경(恭敬)하되 멀리하는 것이 지(知)라 할 수 있다.(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고 말했다 한다. 또 「자공(子貢)아. 죽은 사람에게 지각(知覺)이 있는지 없는지 알고 싶거든, 기다렸다가 죽으면 저절로 알게 되리니 그래도 늦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다.
✽ 可:居之地(가:거지지) 可 옳을 가 居 살 거 之 갈 지 地 땅 지 / 1. 머물러 살 만한 곳. 2. 살기 좋은 곳.
✽ 亡國之恨(망국지한) 亡 망할 망 國 나라 국 之 갈 지 恨 한 한 / 나라가 망(亡)함을 탄식(歎息)함.
유의어 亡國之歎(망국지탄) 麥秀之嘆(맥수지탄) 麥秀之歎(맥수지탄)
✽ 逆耳之言(역이지언) 逆 거스를 역 耳 귀 이 之 갈 지 言 말씀 언 / 귀에 거슬리는 말. 곧, 신랄(辛辣)한 충고(忠告)의 말.
乎 : 호 / 의문이나 감탄형 종결사, 비교격이나 처소격 조사 등.
어조사 호
부수 丿 (삐침별, 1획)
모양자 乊(구결자 호) + 一(한 일) + 亅(갈고리 궐)
1. 어조사(語助辭)
2. ~느냐?
3. ~랴!
4. ~지?, ~겠지?
5. ~도다
6. ~에, ~보다(≒於, 于)
7. 그런가
8. 아!, 감탄사(≒呼)
통자 虖(울부짖을 호/어조사 호)
✽ 斷:乎(단:호) 斷 끊을 단 乎 어조사 호 / 일단 결심(決心)한 것을 과단성(果斷性) 있게 처리(處理)하는 모양(模樣). 유의어 斷然(단연)
✽ 於是乎(어시호) 於 어조사 어 是 이 시 乎 어조사 호 / 이제야, 여기에 있어.
✽ 嗟乎(차호) 嗟 탄식할 차 乎 어조사 호 / 슬프다의 뜻. 슬퍼서 탄식(歎息)할 때에 쓰는 말.
✽ 煥乎(환호) 煥 불꽃 환 乎 어조사 호 / 조선 유문(有文)의 자(字).
✽ 國之語音, 異乎中國
|
첫댓글 어려운 문법 자세한 설명 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