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日時 : 2022년 12월 11일(日曜日) 07시 30분.
♥ 場所 : 부산 해파랑깅 1코스 어울마당, 농바위 이기대 자연마당, 장자산 트레킹.
☞ 가는 길 : 07:30(삼천포 힌솔약국 앞 출발) → 08:19(사천 IC진입) → 09:10(진영휴게소) → 09:35(북부산 IC 나옴) → 10:35(부산광역시 남구 용호3동 5-6 고개 도착).
☞ 이기대 해안 산책로 둘레길 : 어울마당(해파랑길 1코스) → 솔밭 쉼터 → 전망대 → 치마바위 → 밭골새 → 농바위 → 용호중대 삼거리 → 이기대 자연마당 → 큰고개쉼터 → 장자산 장산봉 → 관해정 → 용호체육공원 → 공원관리 사무소 주차장(약 7.8km. 3시간 15분 소요).
☞ 세부산행
10:35 : 용호 3동 5-6 용호체육공원 입구 고개 삼거리,
10:40 : 갈맷길 0.3km 이정표와 화장실이 있는 삼거리.
10:45 : 어울마당, 이정표(→ 동생말1.2km. 해파랑길/← 해안길 0.4km, 해안선 산책로 0.7km).해파랑길 1코스.
10:49 : 전망대, 해운대 동백섬과 광안대교 조망.
10:53 : 솔밭쉼터, 약수터.
11:01 : 순환도로 이정표(→ 순환도로 0.3km/↘ 어울마당).
11:04 : 치마바위 들머리(→치마바위 0.45km, 농바위1.35km/↘어울마당 0.75km).
11:07 : 군사시설 출입금지 구역.
11:09 : 해파랑길 이정표(→ 동생말 2.1km. 어울마당 0.8km/→ 오륙도 해맞이공원 2.8km, 농바위 1.3km).
11:16-21 : 치마바위.
11:28 : 밭골새(→치마바위 0.3km/← 농바위 0.4km/↖ 큰고게쉼터 0.5km).
11:47-50 : 농바위
12:10 : 용호중대 삼거리 점심(12:15-50).
12:54 : 이기대 자연마당. 이정표(→ 해안산책로 3.42km/← 전망대 223m, 해맞이공원 386m,
12:58 : 이기대 자연마당 유전자원증식장.
13:00 : 순환도로 이정표(↑ 순환도로 0.3km/↓오륙도 해맞이공원 0.3km/→ 농바위 0.7km), 순환도로행.
13:15 ; 큰고개 쉼터, 유하정정자, 철쭉군락지.
13:20 : 기체조장(→ 큰고개쉼터 210m/← 장자산약수터 470m).
13:27 : 장자산 장산봉, 넓은 핼기장.
13:36 : 관해정(觀海停, → 큰고개쉼터 880m/← 관리사무소 800m).
13:43 : 용호체육공원. 장자산숲길 이정표.
13:50 ; 공원관리 사무소 주차장 도착, 트레킹 종료.
13:55-14:20 : 백련사 산책.
☞ 오는 길 : 14:25(부산광역시 남구 용호3동 12 백련사 입구 출발) → 15:20(부산진구 개금3동 백양산 입구) → 16:02-17:00(진영휴게소 후식) → 17:48(문산휴게소) → 18:00(사천 IC나옴) → 18:50(삼천포 도착).
♥ 이웃한 봉우리 : 백양산(612m).
♥ 산행 위치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 특기사항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에 있는 장자산(해발 225.3m) 자락이 동쪽 바다와 접한 곳에 위치한 이기대(二妓臺) 도시 자연공원은 바다와 산 해안절벽이 잘 어우러진 대표적인 관광지로 장산봉, 오륙도, 구름다리, 해안 산책로, 어울 마당, 솔밭 쉼터, 약수터, 큰고개 쉼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파랑길과 남파랑길의 시작구간이다. 이름의 유래는, 임진왜란때 왜군이 수영성을 함락시킨 후 경치 좋은 곳을 골라 축하 잔치를 열었는데 그때 기녀가 왜장을 술에 취하게 한 후 왜장을 끌어안고 물속에 떨어져 죽어 그 기녀를 기리기 위해 '의기대'로 부르다가 나중에 '이기대'가 되었다는 설과 두 기생의 무덤이 있어서 '이기대'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 07시 30분 삼천포 축협(힌솔약국) 앞에서 대형버스 43명 탑승하여 출발, 08시 19분 사천 IC, 남해안 고속국도 진입, 09시 10분 진영휴게소에 도착하여 바람을 쐬이면서 10여분 휴식.
▲ 09시 35분 북부산 IC로 나와.
▲ 백양산행할 회원 12명은 백양산 입구에서 하차.
▲ 나머지 회원은 이기대 해안둘레길 트레킹을 위해 오륙도 해맞이 공원 주차장으로 이동.
▲ 10시 35분 하차하여 보니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3동 5-6 용호체육공원 입구 고개 삼거리이다.
▲ 갈맷길 0.3km 이정표를 확인. 왼쪽 내리막길로 내려가니 되돌아 오라고 한다. 6명은 그대로 진행.
▲ 10시 45분 어울마당 도착하니 넓은 해안광장 해파랑길 1코스 구간으로 남해바다가 시원스럽게 펼쳐진다.
▲ 어울마당은 영화 해운대와 더킹, 영원한 군주 등을 촬영한 유명한 조망처로 해운대, 동백섬과 광안대교, 뒤로 장산이 우뚝 솟아있고.
▲ 해파랑길 이정표(→ 동생말1.2km/← 해안길 0.4km, 해안선 산책로 0.7km)를 확인하고 부산 갈맷길 278㎞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파랑길 1코스 트레킹 시작.
▲ 해안으로 안전을 위해 나무데크가 설치되어 있고 많은 분들이 오가고 있다.
▲ 10시 49분 나무데크 전망대 도착.
▲ 첫 데크 전망대에서 기념사진.
▲ 첫 데크 전망대 조망 : 어울마당에서 본 장산과 해운대, 동백섬과 광안대교가 활짝 펼쳐진다.
▲ 첫 데크 전망대 조망 : 가야할 기묘하게 생긴 해안 암반의 해파랑길 코스.
▲ 10시 53분에 도착한 솔밭쉼터와 약수터 ▼
▲ 편하게 트레킹할수 있도록 잘 가꾼 산책로.
▲ 해풍도 불지 않아 따뜻한 해안 산책로를 거닐면서 멋진 경치를 만끽!!!
▲ 기암이 즐비한 지나온 코스를 되돌아 보며 멋진 경치에 감탄하는 해파랑길 1코스,
▲ 기암이 즐비한 해안계곡.
▲ 해안트레킹코스는 이기대 해안 산책로 4.7km와 이기대 순환도로 5.8km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다.
▲ 11시 04분 인명피해 우려지역 안네판 옆의 치마바위 들머리 이정표(→치마바위 0.45km, 농바위1.35km/↘어울마당 0.75km).
▲ 11시 07분 군사시설 출입금지 구역.
1997년 이전에는 군부대에서 간첩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해안 경계용 철책을 설치해 두었고, 민간인 출입 또한 통제되었던 곳으로 군사시설 보호구역 해제 조치로 인해 지금은 누구나 이기대의 해안 절경을 즐길 수 있다.
▲ 11시 09분에 만난 해파랑길 1코스 이정표(→ 동생말 2.1km. 어울마당 0.8km/→ 오륙도 해맞이공원 2.8km, 농바위 1.3km).
▲ 11시 16분 내려다 보이는 치마를 펼친 듯한 절벽의 치마바위, 바위끝에 많은 사람들이 앉아 있다.
▲ 치마바위 입구에 오니 내려가지 않고 간식을 먹고 있는 팀들이 서너팀 있다.
▲ 치마바위로 내려가 되돌아 본 입구.
▲ 치마바위 조망 : 부산해운대와 동백섬, 아파트가 동쪽으로 계속 이어져 있다.
▲ 치마바위 조망 : 치마바위가 웅장하고 멋있게 서 있는데 역광이라 아쉽지만 입구로 되돌아 온다.
▲ 11시 28분 밭골새 이정표(→치마바위 0.3km/← 농바위 0.4km/↖ 큰고게쉼터 0.5km). 큰고개아래에 경사가 완만하여 옛날에 밭농사를 지었는가 보다. 큰고개 쉼터는 돌아 올때 들리기로 하고 농바위 행.
▲ 해안산책로의 데크길. 멀리 전망대가 보인다.
▲ 전망대에서 되돌아 본 치마바위 해안.
▲ 11시 47분 농바위 전망대에서 바라 본 오륙도와 농바위.
▲ 당겨본 오륙도와 농바위.
▲ 농바위
▲ 전망대에 있는 농(蘢)바위 안내도,
농(蘢)이란 버들채나 싸리채 따위로 함(궤)을 만들어 옷따위를 넣어두는 가구를 말하며 이 층이나 삼 층으로 포개어 놓은 '농'을 닮았다 해서 농바위로 불렸다고 전해지는데, 2001년 발간된 '남구의 민속과 문화'에는 부처가 아기를 가슴에 안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돌부처상 바위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 전망대 아래 계곡.
▲ 계곡에 솟아 있는 웅장하고 멋진 바위.
▲ 12시 10분 용호중대 삼거리 이정표.
▲용호중대 삼거리 이정표 뒤의 넓은 평지에서 맛있게 산상뷔페(12:15-50).
▲ 12사 54분 이기대 자연마당 도착하니 종합안내도. 남구트레킹 노선안내도. 이정표가 있고 조망이 펼쳐진다.
▲ 남구 트레킹 노선 안내도
★ 이기대 해안 산책로 : 동생말- 어울마당 - 농바위 - 오륙도 선착장 4.7km.
★ 이기대 순환도로 : 동생말 - 공원관리사무소 - 큰고개 쉼터 - 오륙도 삼거리 - 오륙도 해맞이공원 5.8km,
★ 장지산 임도 : 용호체육공원 - 장자산 정상 - 큰고개 쉼터 2.1km와 ★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다
▲ 이기대 자연마당 이정표(→ 해안산책로 3.42km/← 전망대 223m, 해맞이공원 386m, 오륙도 스카이워크 784m, 역사숲길 322m),
▲ 이기대 자연마당 조망 : 바다에 떠있는 오륙도와 스카이워크, 해맞이공원. SK뷰아파트. 수변공원.
오륙도(五六島, 명승 제24호)는 육지 가까이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으로 늘어서 있는데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섬의 수가 다섯 개, 때로는 여섯 개로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방패섬과 솔섬의 아래 부분이 거의 붙어 있어 썰물 때에는 흔히 우삭도라 불리는 하나의 섬으로 보이지만, 밀물 시에는 두 개의 섬으로 보인다 해서 오륙도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전해지는 이야기이다.
▲ 이기대 자연마당 조망 : 당겨본 오륙도, 해맞이공원과 수변공원.
해맞이 공원으로 가고싶건만 공원관리 사무소 주차장에 도착할 예약된 시간이 14시 20분이기에 생략하고 장자산 정상을 오르기 위해 순환도로로 진행할 예정.
▲ 12시 58분 이기대 자연마당 유전자원증식장 ▼
▲ 이기대 자연마당 서식식물인 나무는 곰솔, 돈나무, 떡갈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다정큼나무, 후피향나무, 소사나무와 이기대 자연마당 봄꽃은 각시붓꽃, 갯뫼꽃, 갯완두, 장구, 갯장대, 구슬붕이, 멱쇠채, 조개나물, 모래지치, 반디치지, 솜나물, 현호색 등 수십종이 서식하고 있다.
▲ 꽃부릇.
▲ 13시 순환도로 삼거리 이정표(↑ 순환도로 0.3km/↓ 해맞이공원 0.3km/→ 농바위 0.7km), 순환도로행. 오솔길로 가니 넓은 포장도로가 나타나 진입.
▲ 13시 15분 아주 넓은 공원인 큰고개 쉼터 도착하니 유하정자가 있고 시민들의 쉼터.
▲ 큰고개 쉼터의 유하정자 안.
▲ 큰고개 쉼터의 철쭉군락지.
▲ 큰고개 쉼터의 氣체조장.
▲ 13시 24분에 만난 이정표(장자산 정상 장산봉 120m).
▲ 13시 27분 장자산 정상 장산봉(225.3m)에 도착하니 넓은 봉우리인 헬기장으로 새천년 해맞이 기념비, 삼각점, 체육시설물이 있고 건너편에 산불감시초소가 있다.
▲ 장자산 정상 장산봉에 있는 2000년 1월 1일 세운 새천년 해맞이 기념비,
▲ 장자산 정상 장산봉에 있는 체육시설.
▲ 건너편에 산불감시초소.
▲ 장자산 정상 장산봉에서 관해정으로 내려가는 이기대 순환도로.
▲ 13시 36분 관해정 입구 남구트레킹 노선 안내도와 이정표(→ 큰고개쉼터 880m/← 관리사무소 800m).
▲ 조망이 뛰어난 관해정 육각정자.
▲ 넓은 바다를 바라보며 마음을 내려놓고 자신을 가다듬는 정자라는 뜻의 관해정(觀海停).
아래 내려다 보이는 이기대(二妓臺)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수영성을 함락시킨 후 경치 좋은 곳을 골라 축하 잔치를 열었는데 그때 기녀가 왜장을 술에 취하게 한 후 왜장을 끌어안고 물속에 떨어져 죽어 그 기녀를 기리기 위해 '의기대(義妓臺)'로 부르다가 나중에 '이기대'가 되었다는 설과 두 기생의 무덤이 있어서 '이기대'가 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정자에 올라서면 동해바다와 맑은날에는 대마도가 보인다고 한다.
▲ 관해정 조망 : 해운대, 광안대교, 장산, 황령산 등 멋진 경관, 부산 불꽃놀이축제가 있을 때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룬다고 한다.
▲ 소나무의 뿌리가 붙어있는 연리근.
뜨거운 볕과 매서운 바람을 견디며 견고하게 서 있는 부부 소나무의 금슬이 너무 좋아 사랑을 시작하는 연인들과 자녀를 갖기 원하는 부부들에게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평안암을 얻어가는 힐링 명소라고 한다.
▲ 13시 43분 용호체육공원 통과.
▲ 13시 50분 이기대 공원관리 사무소 주차장 도착, 트레킹 종료.
▲ 이기대 공원관리 사무소 옆의 먼지털이장. 먼지를 털고 버스승차를 하였다가 30분의 여유시간이 있어 .
▲ 백련사 산책(13:55-14:15). 백련사 입구의 석상들.
▲ 백련사 금당과 대장전.
▲ 백련사 금당 내부.
▲ 백련사에서 내려다 본 절경인 광안대교. 해운대, 장산.
▲ 14시 25분 버스가 주차해 있는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3동 12 백련사 입구 출발.
▲ 버스를 타고 가면서 본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1동 무슨 건물인지?
▲ 15시 20분 부산진구 개금3동 백양산 입구에서 백양산 산행 회원 12명 승차.
▲ 15시 37분 부산 사상구 낙동강.
▲ 김해시 장유면 신문리 어린이 놀이터?
▲ 16시 02분 진영휴게소 도착.
▲ 진영휴게소에서 맛있게 후식하고 17시 출발.
▲ 17시 48분 문산휴게소에서 10여분 휴식하고 18시 사천 IC로 나와 18시 45분 삼천포 도착. 전회원 무사고 산행행사를 접는다.
☞ 동행 : 사천 삼천포 일요산악회원 43명.
첫댓글 즐거움 가득하니 보기가 좋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