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사회과학원(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CASS)은 중국공산당 중앙직영으로 국무원 직속의 중국철학사회과학연구의 최고학술기관이자 종합연구센터로 1955년 설립됐다.
1977년 5월 7일 당 중앙의 승인을 거쳐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에 중국사회과학원을 정식으로 조직했다.당중앙이 중국사회과학원에 제시한 3대 위치는 마르크스주의의 강한 진지, 중국 철학사회과학연구의 최고 전당, 당중앙 국무원의 중요한 사상고와 싱크탱크다. [1-2]
2016년 11월 현재 중국사회과학원은 6대학부, 40개 연구원소, 10개 직능부문, 8개 직속기관, 2개 직속회사, 180여 개의 비실체연구센터를 거느리고 있으며 전국적인 학술 동아리 105개를 주관하고 있다.정원에는 2, 3학번 학과가 300개 가까이 있는데 이 중 국가중점학과가 120개다.전체 정원 4200여 명, 과학연구직 3200여 명으로 고급 전공자 1676명, 학부 위원 61명, 명예학부 위원 133명이다.대학원에는 재학생이 3100여 명이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가 발표한 2014 글로벌 싱크탱크 보고서에서 중국 사회과학원은 20위로 '글로벌 싱크탱크 50' [3]에 진입해 '아시아 최고 싱크탱크'를 제쳤다.2015년 1월 중국공판국판인 '중국 특색의 신형 싱크탱크 건설 강화에 관한 의견'은 "국가급 종합적인 첨단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의 강점을 살려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세계적 싱크탱크로 거듭나겠다"고 지적했다. [4] 2017년 12월 중국사회과학원 시진핑(習近平) 신세대 중국특화사회주의사상연구센터(원)가 설립됐다. [5]
중문명 중국사회과학원 외국어명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간칭사과원·CASS 설립시기 1977년 5월 7일 베이징 주무부서 중화인민공화국 기구 주소
카테고리
1 역사 연혁
▪중앙연구원 사회소,사어소 시기
▪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 시절
▪ 중국사회과학원 시절
2 조직체계
▪ 기구 개관
▪ 인원편성
▪ 국제 교류
3 과학연구
▪ 혁신 유닛
▪ 과학 연구 성과
▪ 학술적 자원
4 인재육성
▪ 교육건설
▪ 학과건설
5 혁신적인 문화
▪ 사회과학원 휘장
▪ 문화정신
6 리더 그룹
▪ 현직 지도자
▪ 원장 역임
역사 연혁
편집자
중앙연구원 사회소사어소 시기
1927년 11월 사회과학연구소를 마련하여 1928년 5월에 정식으로 설립하였으며, 산하에는 법제팀, 민족팀, 경제팀, 사회팀이 있으며, 앞의 두 그룹은 남경, 뒤의 두 그룹은 상해에 있다.
중연원 사회소 터 중연원 사회소 터
1928년 6월 9일 상하이에 설립된 국립중앙연구원(중연원라틴문역명 Academia Sinica)은 '중화민국 최고학술연구기관'으로 중국 역사상 최초의 국가이다.중연원은 중국 과학사 사원이 주축이 돼 설립 후 중국 과학사로부터 국제적으로 중국 과학계의 공식 대표로 자리를 물려받았다.
1934년 7월 중화교육문화기금 이사회의 북평사회조사소가 이곳에 병합되었다가 1945년 사회연구소로 개칭되었다.
1928년, 역사언어연구소(사어소)가 설립되었다.올해 초, 대학원 중앙연구원 준비위원인 푸스년은 채원배 대학원장에게 역사언어연구소 설치를 제안했다.중연원은 3월 광저우 중산대에 역사언어연구소를 설립해 푸쓰년, 颉강, 양진성 등 3명을 상무 준비원으로 영입했다.7월, 정식으로 설립되어 푸스 연대에서 소장직을 수행하였다.10월 22일 광주 백원으로 이사를 가면 독립된 장소가 있다가 의논을 거쳐 오늘로 소경 기념일이 된다.광저우에는 사료중국어문적고정민간문예한자고고고고인류학민물학돈황재료연구 등 8개 조로 나뉘어 있다.
1929년 원지는 북평으로 옮겨져 원래 설치되어 있던 8개 조를 3개 학술팀으로 통합하고, 하나는 역사학팀, 사학 및 문적고정에 종사하고, 2개는 언어학 및 민간예문에 종사하게 하였다.구일팔사변(1931) 후 북평에서 상해로 이주하다.
1934년 중연원은 난징에 건물을 속속 완공했고, 사어소도 상하이에서 난징으로 이전했다.
중연원 제1회 원사(일부) 합사 중연원 제1회 원사(일부) 사진
같은 해 5월에는 인류학팀을 증설하였다.중일 전쟁 동안, 사어소는 호남 창사(長云)를 먼저 옮겨 운난쿤밍(南昆明)으로 이어졌고, 마침내 쓰촨(坳川)난시(南溪)현 리좡(李。)의 판리)에 정착하였다.
1946년 난징으로 이전하여 여러 연구 작업을 계속 추진하였고, 북평동방문화연구소 및 근대과학도서관 도서를 접수하여 '북평도서 사료정리처'를 설립하였다. [7]
1948년 3월 연회를 열어 인문계열 원사가 28명으로 전체 정원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앙연구원 1기 원사 81명을 선출했다.1948년 중앙연구원이 선정한 제1회 원사 81명 가운데 인문계열 원사는 28명으로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 시절
1949년 9월 27일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제1차 전체회의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조직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이에 따라 정무원 산하에 과학원을 설치해 전국 과학연구사업을 관리하는 정부의 행정 기능을 수행한다.과학원과 문화부, 교육부, 위생부,
마오쩌둥 주석과 궈머뤄 원장 마오쩌둥 주석과 궈머뤄 원장
출판총서 등은 정무원 문화교육위원회의 지도를 받는다.중앙인민정부위원회 제3차 회의는 19일 중국과학원장에 문학자고고고고학자역사가곽말야오(。) 전 중앙연구원 원사를 임명했다.11월 1일, 중국과학원은 베이징에서 집무를 시작했습니다. [8] 설립 초 중국과학원도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아우른 종합연구기관이었다.
1949년 11월 5일 중국과학원은 화북인민정부고등교육위원회로부터 원북평연구원의 사학연구소와 옛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를 베이징 도서사료정리처에 설립했다.
중국과학원은 1950년 4월 6일 난징에서 옛 중앙연구원의 사회연구소를 인수한 것을 바탕으로 중국과학원 사회연구소를 설립해 난징에 처음 설립했다.5월에는 해방구에서 북평으로 이전한 화북대 연구부 역사연구실이 중국과학원에 편입됐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과학원 근대사연구소로 확대됐다.위의 고고학소, 언어소, 사회소, 근대사소는 중국과학원이 설립한 최초의 인문사회과학 연구기관이 되었다.
중국과학원 학부 설립대회 중국과학원 학부 설립대회
저우언라이(总理) 총리는 1954년 1월 28일 정무원 제204차 정무회의를 주재하고 중국과학원 학부(和學。) 설립과 학부위원제 시행을 결정하였다.중국과학원은 전국 과학기술교육산업계의 학자전문가를 조직하고 관련 기관의 추천을 받아 첫 위원을 선정했다. [9]
1956년에는 12개년 과학기술 발전 비전과 함께 철학사회과학 비전 초안(19561967)을 마련하여 산하 철학사회과학 연구기관의 발전을 추진하였고, 곧 몇 개의 새로운 연구소를 건립하였다.'문혁' 이전까지 철학사회과학부는 14개 연구기관으로 철학소, 경제소, 세계 경제소, 문학소, 외국문학소, 언어소, 역사소, 근대사소, 세계역사소, 고고소, 고고소를 포함했다.1957년 6월 반(反)우(反)우(反)투쟁이 시작되자 그해 7월 원당조는 당의 영도를 강화하기 위한 철학사회과학부분의 당조 구성을 제안했고, 이 학술사상의 문제점을 중국공산당 중앙선부가 직접 비판하고 8월중에 제시했다.정치 운동의 부에 따라서
민족소 창립대회 민족소 창립대회
단진화, 전원의 과학기술력 투톱 등 굵직한 과학기술에 투입되면서 철학사회학부가 중국과학원에서 분리됐다.
1960년 철학사회과학부는 중선부의 직접 지도로 분류되었다.
1961년 이후 학부 산하 연구소에는 더 이상 포함되지 않았다.그러나 철학사회과학부와 그 소속 기관은 여전히 중국과학원과 연계돼 있다.
1966년, 전국에서 "문혁"이 시작되자, 학부 근무는 멈춤 상태로 한정되었다.
1967년 1월 각 자연과학학부는 활동을 중단해야 했다.철학사회과학부는 문혁의 피해 지역이기도 하다.학부 내의 파벌이 심하여 억울한 사건이 무더기로 발생하여 몇몇 사람이 박해를 받아 사망하였다.중선부가 난파되면서 철학사회과학부는 오랫동안 무정부 상태였다.
1969년 이후, 대부분의 인원이 농촌으로 내려가 노동에 참가하였다.
1972년 저우 총리의 질문으로 원부(。)가 베이징(北京)으로 돌아와 점차 업무를 재개했고, 학부는 국무원과학부가 대행했다.
1975년 4기 전인대가 교육부로 복귀한 후 학부는 교육부가 대행하였다.
1975년 초 덩샤오핑(主持小平)은 국무부 업무를 주재하도록 지시받았고, 그는 과학사업을 전면적으로 재정비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파괴를 당한 철학사회과학의 회복에도 착수했다.덩샤오핑(。小平)은 신설된 국무원 정치연구실에서 학부 업무를 대행하고 학부의 정치와 행정은 국무원 정공조, 사무실이 담당하기로 했다.곽 교수는 16일 국무원이 발표한 학부 지도기관 명단에도 불구하고 학부장을 맡고, 학부 임시지도팀을 구성해 학부의 일상적인 업무를 담당했다.7월 하순부터 학부에 파견된 군선대, 공선대가 속속 철수하고, 부하가 농촌에 파견된 연구자가 소환되는 등 연구소의 연구 업무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
1975년 9월 국무원이 발표한 철학사회과학에 관한 몇 가지 사항(국발[1975]142호).통지문에는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가 "국무부의 지도를 직설적으로 받고 있으며, 그 지위는 과학원과 동일하며, 부위의 1급 단위에 해당한다"고 돼 있다.이 통지문은 별도의 사회과학원 건립 계획을 공식화했다.이 때문에 학부 행정의 격이 크게 높아졌지만 명칭은 그대로이고 해당 연구소는 명목상 중과원에 남아 있다.10월 4일, 후야오방은 덩샤오핑에 의해 중과원 "당"으로 임명되었다.
소평 동지와 호교목원장 소평 동지와 호교목원장
핵심 지도부인 '제1부팀장'에 이어 중과원 정비계획 수립에도 독자적인 중국사회과학원 설립을 위한 기획이 시작됐다.25일 정치국 회의에서 비판을 받은 덩샤오핑은 이른바 '우경전폭풍 반격' 운동에서 정연실이 한때 철거될 뻔했다.
1976년 1월 17일 덩샤오핑이 정치국 회의에서 비판받고 철학사회과학부를 더 이상 이끌지 않겠다고 선언함으로써 사회과학원 건설계획은 중단되었다.
1976년 가을 '4인방'이 산산조각 나면서 철학과 사회과학 문화사업이 혼란을 헤치고 되살아났다.
1977년 4월 5일, 중과원 철학사회과학부는 중앙에 '철학사회과학학부의 명칭변경에 관한 요청서'를 제출했다.중국과학원은 7일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를 '중국사회과학원'으로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학부 시절의 14개 연구소는 모두 과거로 돌아갔다.이로써 철학사회과학부는 중국과학원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독립하게 됐다.국무원이 수여하는 '중국사회과학원' 도장이 24일 공식 가동됐다.이어 중국사회과학원 초대 원장 겸 당 비서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정론가, 사회과학자,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 후교무 위원을 임명했다. [10]
중국사회과학원 시절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중국 사회 과학원 공업 경제 연구소를 설립해에 걸쳐 농촌 발전 연구소·.·재경 경제 연구소(현재의 재정과 무역 전략 연구원은 연구소(현 뉴스 ) 、원 전파 연구소 마르크스 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연구소(현 ) 、을 마르크스주의 연구원. 소셜 ) 、할 수 있다., 학연 구소연구소(현 인구와 노동 인구는 소수 민족 문학 연구소(현 경제 연구소는 ) 、 민족 문학 연구소와 세계 정치 연구소() 、 합병 세계 경제 세계 경제 연구소를 설립하고 있다.정치 연구소와, 일, 본 연구소 미국 연구소 ) 、 서구 유럽 연구소 연구소(현재, 중국), 중국 사회 과학, 사회 과학 출판사 잡지사이다.중국 사회 과학원과 대학원 등을 펴낸 저서 곽말약의 16개의 연구와 종로구 창성동 출판사가 있다.이 밖에 소련 동유럽 연구소(현재 러시아 동유럽 중앙아시아 연구소), 서아시아 아프리카 연구소, 라틴아메리카 연구소도 이 시기에 중국 사회과학원으로 편입됐다. [11]
2004년 1월 5일, 중국공산당 중앙은 철학적 사회과학을 더욱 번영시키는 것에 관한 의견이라는 책을 발간했다.
2005년 12월 26일 중국사회과학원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사상연구소를 기초로 중국사회과학원 마르크스주의연구원을 설립했다.
중국사회과학원 학부 설립대회 중국사회과학원 학부 설립대회
2006년 8월 3일, 중국사회과학원 학부는 원무회의 산하의 학술 지도, 학술 자문, 과학 연구 조정 기관으로 설립되었습니다.중국 사회과학부는 문학사학철학부(후에 문학철학부, 역사학부로 분립), 경제학부, 사회정법부, 국제연구학부, 마르크스주의 연구학부를 설립하여 제1기 학부를 선정하였다. [12]
2007년 5월 중국사회과학원이 개원 20주년을 맞았다. [13]
2011년 3월 중국사회과학원은 '철학사회과학창조사업'을 본격화했다.년 11월 30일,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설립된 최초의 복수전공으로 종합적이고 혁신적인 학술사상고와 새로운 연구구조인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아태 및 글로벌전략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사회전략연구원
중국사과원 설립 3대 전략연구원 중국사과원 설립 3대 전략연구원
아시아 태평양 연구소와 사회발전 연구소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14]
2012년 4월 26일 중국사회과학원 대학원 신캠퍼스가 베이징시 팡산구의 량샹(乡)고교(高。)단지에서 공식 출범했다.
2015년 1월 중국공산당중앙청사국무부 청사는 '중국 특색의 신형 싱크탱크 건설에 관한 의견'을 발간해 "국가급 종합적인 첨단 싱크탱크인 중국사회과학원의 강점을 살려 국제적으로 영향력 있는 세계적 싱크탱크로 자리매김하자"고 제안했다. [4]
2016년 11월 26일부터 29일까지 중국사회과학원장인 왕웨이광쥔(王伟光光) 학부 주석단(主席) 학부원 학술조사단이 산둥(山東) 칭다오(,島)를 찾아 칭다오(。島)시 정부와 중국사회과학원과 전략적 제휴 의향서를 체결했다. [15]
2017년 1월 7일 칭다오 시 정부는 중국 사회과학원과 베이징에서 포괄적인 전략협력 협정을 체결한다.합의에 따라 고등대학을 공동 건설하고 칭다오연구원을 공동 건설하며, 칭다오에서 국제적인 고위급 포럼을 공동 개최해 칭다오시의 중대 의사결정과 발전전략에 대한 자문논증을 제공하고 인재 교류와 육성에 전면 협력하기로 했다. [15]
조직 체계
기구 개관
2016년 12월 사과원 홈페이지 정보에 따르면 중국사회과학원은 6대학부, 근 40개 연구원소, 10대 직능부문, 8개 직속기관, 2개 직속회사, 180여 개의 비실체 연구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육대학부
문학철학부 사회정법학부 역사학부
경제학부 국제문제연구학부 마르크스주의연구학부
이 밖에 6대학부 위에 설치된 학부위원대회는 학부의 최고 조직 형식이며 폐회 기간의 상설 지도기구는 학부 주석단이다. [16]
직능 부문
2016년 12월 사회과학원 홈페이지 정보에 따르면 중국사회과학원 원부 직능 부서는 판공청, 과학연구국(학부공작국), 인사교육국, 국제협력국, 재무기건계획국, 이퇴직 간부 등이다. [17]
직속 기구
중국사회과학출판사사회과학문헌출판사중국사회과학잡지사중국사회과학대학원
중국사회과학원 도서관 중국사회과학원 서비스센터 중국사회과학원 문화발전추진센터 곽말약기념관
연구원소
산하 학부 연구원소
문철학부 중국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민족문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외국문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문화연구센터 포함)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종교연구소
역사학부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역사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변강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대만연구소
경제학부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공업경제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농촌발전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재경전략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금융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수량경제기술경제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인구노동경제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도시발전환경연구소
사회정법학부 중국사회과학원 법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국제법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정치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민족학과 인류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사회학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사회발전전략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신문 및 전파연구소
국제문제연구학부 중국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러시아 동유럽 중앙아시아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유럽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서아시아아프리카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아시아태평양 및 글로벌전략연구원
중국 사회 과학원 미국 연구소 중국 사회 과학원. 일 본 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평화발전연구소
마르크스주의 연구학부 중국사회과학원 마르크스주의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중국특화사회주의이론체계연구센터
당대 중국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정보정보연구원
학술 동아리를 주관하다
序号 | 学会名称 | 挂靠单位 | 成立时间 |
1 | 中国社会主义经济规律系统研究会 | 经济研究所 | 1984 |
2 | 中国经济史学会 | 经济研究所 | 1986.12 |
3 | 中国经济思想史学会 | 经济研究所 | 1980 |
4 | 中国《资本论》研究会 | 经济研究所 | 1981 |
5 | 中国比较经济学研究会 | 经济研究所 | 1986 |
6 | 孙冶方经济科学基金会 | 经济研究所 | 1983 |
7 | 中国城市发展研究会 | 经济研究所 | 1984.12 |
8 | 中国城市经济学会 | 经济研究所 | 1986.5 |
9 | 中国工业经济学会 | 工业经济研究所 | 1979 |
10 | 中国区域经济学会 | 工业经济研究所 | 1990.8 |
11 | 中国企业管理研究会 | 工业经济研究所 | 1981.3 |
12 | 中国生态经济学会 | 农村发展研究所 | 1984.2 |
13 | 中国林牧渔业经济学会 | 农村发展研究所 | 1979.5 |
14 | 中国县镇经济交流促进会 | 农村发展研究所 | 1992.11 |
15 | 中国国外农业经济研究会 | 农村发展研究所 | 1978.5 |
16 | 中国城郊经济研究会 | 农村发展研究所 | 1986.1 |
17 | 中国西部开发促进会 | 农村发展研究所 | 2006.3 |
18 | 中国成本研究会 | 财政与贸易经济研究所 | 1980.9 |
19 | 中国市场学会 | 财政与贸易经济研究所 | 1991.6 |
20 | 中国数量经济学会 | 数量经济与技术经济研究所 | 1979.3 |
21 | 中国考古学会 | 考古研究所 | 1979 |
22 | 中国明史学会 | 历史研究所 | 1989.8 |
23 | 中国殷商文化学会 | 历史研究所 | 1989.8 |
24 | 中国中外关系史学会 | 历史研究所 | 1981.5 |
25 | 中国魏晋南北朝史学会 | 历史研究所 | 1984 |
26 | 中国先秦史研究会 | 历史研究所 | 1982 |
27 | 中国秦汉史研究会 | 历史研究所 | 1983 |
28 | 中国孙中山研究会 | 近代史研究所 | 1984.1 |
29 | 中国现代文化学会 | 近代史研究所 | 1989.4 |
30 | 中国抗日战争史学会 | 近代史研究所 | 1991 |
31 | 中国中俄关系史研究会 | 近代史研究所 | 1979.7 |
32 | 中国史学会 | 近代史研究所 | 1949.11 |
33 | 中国国际文化书院 | 世界历史研究所 | 1989.3 |
34 | 中国中日关系史学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4.8 |
35 | 中国非洲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0 |
36 | 中国拉丁美洲史学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79 |
37 | 中国日本史学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0 |
38 | 中国美国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79 |
39 | 中国英国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0 |
40 | 中国第二次世界大战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0.6 |
41 | 中国世界古代中世纪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91 |
42 | 中国世界近现代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91 |
43 | 中国朝鲜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79 |
44 | 中国苏联东欧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5 |
45 | 中国法国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79 |
46 | 中国德国史研究会 | 世界历史研究所 | 1980 |
47 | 中国近代文学学会 | 文学研究所 | 1988.1 |
48 | 中华文学史料学学会 | 文学研究所 | 1990.1 |
49 | 中国中外文艺理论学会 | 文学研究所 | 1994.5 |
50 | 中国鲁迅研究会 | 文学研究所 | 1979.7 |
51 | 中国当代文学研究会 | 文学研究所 | 1978.11 |
52 | 中国现代文学研究会 | 文学研究所 | 1979 |
53 | 中国少数民族文学学会 | 民族文学研究所 | 1979 |
54 | 中国维吾尔历史文化研究会 | 民族文学研究所 | 1996.3 |
55 | 中国蒙古文学学会 | 民族文学研究所 | 1989.11 |
56 | 中国江格尔研究学会 | 民族文学研究所 | 1991.1 |
57 | 中国外国文学学会 | 外国文学研究所 | 1979 |
58 | 中国语言学会 | 语言研究所 | 1980.9 |
59 | 全国汉语方言学会 | 语言研究所 | 1981.11 |
60 | 中国历史唯物主义学会 | 马克思主义研究院 | 1981.1 |
61 | 中华外国经济学说研究会 | 马克思主义研究院 | 1979.9 |
62 | 中国无神论学会 | 马克思主义研究院 | 1978 |
63 | 中国逻辑学会 | 哲学研究所 | 1979.8 |
64 | 中国辩证唯物主义研究会 | 哲学研究所 | 1982.6 |
65 | 中国哲学史学会 | 哲学研究所 | 1979.1 |
66 | 中国马克思主义哲学史学会 | 哲学研究所 | 1979.1 |
67 | 中华美学学会 | 哲学研究所 | 1980.6 |
68 | 中国伦理学会 | 哲学研究所 | 1980.6 |
69 | 国际易学联合会 | 哲学研究所 | 2004.5 |
70 | 中华全国外国哲学史学会 | 哲学研究所 | 1980 |
71 | 中国现代外国哲学学会 | 哲学研究所 | 1979 |
72 | 中国宗教学会 | 世界宗教研究所 | 1989.3 |
73 | 中国法律史学会 | 法学研究所 | 1979.11 |
74 | 中国政治学会 | 政治学研究所 | 1980.12 |
75 | 中国政策科学研究会 | 政治学研究所 | 1994.5 |
76 | 中国民族研究团体联合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79 |
77 | 中国世界民族学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79 |
78 | 中国民族史学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83.4 |
79 | 中国突厥语研究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80.1 |
80 | 中国民族理论学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80.1 |
81 | 中国民族学学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80.1 |
82 | 中国民族语言学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79 |
83 | 中国民族古文字研究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80.8 |
84 | 中国西南民族研究会 | 民族学与人类学研究所 | 1989 |
85 | 中国社会学会 | 社会学研究所 | 1979 |
86 | 中国社会心理学会 | 社会学研究所 | 1982 |
87 | 中国世界经济学会 | 世界经济与政治研究所 | 1980.4 |
88 | 中国东欧中亚经济研究会 | 世界经济与政治研究所 | 1978.12 |
89 | 中国俄罗斯东欧中亚学会 | 俄罗斯东欧中亚研究所 | 1981.6 |
90 | 中国欧洲学会 | 欧洲研究所 | 1984.11 |
91 | 中国亚非学会 | 西亚非洲研究所 | 1962.4 |
92 | 中国中东学会 | 西亚非洲研究所 | 1982.7 |
93 | 中国拉丁美洲学会 | 拉丁美洲研究所 | 1984.5 |
94 | 中华美国学会 | 美国研究所 | 1988.12 |
95 | 中国亚洲太平洋学会 | 亚洲太平洋研究所 | 1994 |
96 | 中国南亚学会 | 亚洲太平洋研究所 | 1978 |
97 | 中华日本学会 | 日本研究所 | 1990.2 |
98 | 全国日本经济学会 | 日本研究所 | 1978.8 |
99 | 中国社会科学情报学会 | 中国社会科学院图书馆 | 1986.1 |
100 | 中国郭沫若研究会 | 郭沫若纪念馆 | 1983.5 |
101 | 中国地方志协会 | 中国地方志指导小组办公室 | 1981.8 |
102 | 中华人民共和国国史学会 | 当代中国研究所 | 1992.1 |
103 | 中国解放区文学研究会 | 当代中国研究所 | 1985.9 |
104 | 全国台湾研究会 | 台湾研究所 | 1988.8 |
직속기업사업소 : 중국인문과학발전공사(중국경제기술연구자문유한공사), 중국경영출판미디어그룹
위탁 기관: 중국 지방지 지도팀 사무실
인원 편성
중국 과학부 철학사회과학부 학부위원
1955年 | 艾思奇 · 包尔汉 · 陈伯达 · 陈翰笙 · 陈望道 · 陈寅恪 · 陈垣 · 邓拓 · 狄超白 · 丁声树 · 杜国庠 · 范文澜 · 冯定 · 冯友兰 · 冯至 · 郭大力 · 郭沫若 · 何其芳 · 侯外庐 · 胡乔木 · 胡绳 · 黄松龄 · 马叙伦 · 马寅初 · 季羡林 · 翦伯赞 · 金岳霖 · 黎锦熙 · 李达 · 李亚农 · 李俨 · 刘大年 · 罗常培 · 骆耕漠 · 吕叔湘 · 吕振羽 · 茅盾 · 潘梓年 · 千家驹 · 钱俊瑞 · 沈志远 · 汤用彤 · 陶孟和 · 王力 · 王学文 · 王亚南 · 魏建功 · 吴晗 · 吴玉章 · 夏鼐 · 向达 · 许涤新 · 薛暮桥 · 杨树达 · 杨献珍 · 尹达 · 于光远 · 张稼夫 · 张如心 · 郑振铎 · 周扬 |
1957年 |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
증서 수여 증서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과 명예학부위원은 중국사회과학원의 최고 학술칭호로 평생의 영예를 안았다.중국사회과학원 재직전문가는 학부위원에 추천되고 선출되며, 학부위원 요건에 부합하는 퇴직노전문가는 재직전문가 중 만 80세에 행정직이 아니라 학부위원 요건을 충족한다.1950년대 중국과학원 철학사회과학부의 학부위원 자리를 이어받은 것은 아니다.중국 사회과학원 원사 제도는 여건이 성숙돼 있지만 당장 원사 제도를 만들기가 쉽지 않은 만큼 먼저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학부위원 제도를 부활시켜 향후 원사 제도로 이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게 학자들의 의견이다.
2006년 중국 사회과학원 1진 47명, 명예학부 95명이 탄생했다.2011년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대회는 학부위원 10명, 명예학부위원 38명을 추가로 선출했다.2014년 7월 16일, 세 번째 학부 위원 4명이 추가되었다 [19].2018년 9월 25일, 유약진중의조정양풍시진성찬팽웨이谢푸젠甦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 61명
陈佳贵、江蓝生、刘国光、江流、冷溶、汝信、王伟光、蔡昉、靳辉明、李崇富、程恩富、杨义、朝戈金、李景源、叶秀山、沈家煊、魏道儒、黄宝生、刘庆柱、王巍、耿云志、张海鹏、陈祖武、林甘泉、陈高华、宋镇豪、王震中、廖学盛、刘树成、张卓元、朱玲、吕政、周叔莲、金碚、李扬、王国刚、张晓山、李京文、汪同三、杨圣明、高培勇、田雪原、景天魁、李培林、郑成思、王家福、梁慧星、王叔文、李林、郝时远、史金波、何星亮、张蕴岭、苏振兴、余永定、李静杰、裘元伦、周弘、黄长著、方克立
중국사회과학원 명예학부위원 133명
1차 95명
:丁伟志、丁守和、于光远、于祖尧、仇士华、孔繁、王仲殊、王庆成、王贵宸、王耕今、邓绍基、刘世德、刘海年、刘起吁、刘楠来、刘魁立、吕大吉、朱寨、朱大渭、朱绍文、何方、何乃维、何振一、何龄修、余绳武、余敦康、佟柱臣、吴元迈、吴宗济、吴承明、吴家竣、张炯、张长寿、张守一、张泽咸、张振鵾、张椿年、李琮、李奇(女)、李步云、李道揆、杜荣坤、杜继文、杨天石、杨季康(女)、杨曾文、汪海波、汪敬虞、谷源洋、邵荣芬、陆学艺、陈燊、陈之骅、陈乐民、陈启能、陈宝森、陈栋生、陈筠泉、陈毓罴、周定一、巫白慧、庞朴、金宜久、柳鸣九、胡庆钧、赵人伟、赵风歧、姚介厚、骆耕漠、徐葵、徐苹芳、徐崇温、浦寿昌、涂纪亮、贾芝、资中筠、郭松义、钱中文、高恒、高莽、高涤陈、梁存秀、黄心川、黄绍湘(女)、葛佶(女)、董衡巽、道布、照那思图、蔡美彪、樊亢(女)、樊骏、戴园晨、瞿同祖;
제2진 38명
马西沙、仁钦道尔吉、吴云贵、李文俊、李惠国、陈铁民、罗希文、郎樱、侯精一、郭宏安、王宇信、王曾瑜、卢钟锋、任式楠、吕一燃、余太山、张显清、张海涛、李瑚、黄展岳、王松霈、刘文璞、孙世铮、宓汝成、经君健、郑友敬、聂宝璋、马骧聪、白钢、刘尧汉、孙宏开、杨一凡、王金存、冯昭奎、陆南泉、徐世澄、陶文钊、项启源。
위 자료 출처: 사과원 홈페이지 위원 명단
국제 교류
중국사회과학원은 대외학술교류와 과제연구와 학과건설을 긴밀히 통합하고, 대외학술교류를 통해 중점연구프로그램과 학과발전을 촉진한다.교류 규모는 1978년 10여 건에서 1995년 1398건, 4100여 명으로 늘었다.중국 사회과학원은 세계 80여 개국에 걸쳐 해외 200여 개 사회과학 연구기관학술단체고등대학기금회정부 유관기관과 교류관계를 맺고 20여 개국과 교류를 체결했다.교류 대상에는 선진국도 있고 광범위한 개발도상국도 있다.많은 나라의 원수, 정부 총리, 내각 장관 및 정계, 학계의 저명인사가 중국사회과학원에 방문·강연, 주중 외국대사관 관리, 중국사회과학원의 대외교류를 초청하여, 상호 학자를 파견하여 시찰하고 협력한다. [21]
2015년 4월 16일 중국 사회 과학원 부원장을 만나 채 중국 방문을 시작하다 일본 무역 진흥 기구의 모 이사장이 돼. 스톤 감독 [22] 14일 폴란드 과학원 정치학연구소 청년학자 카이사 카오리(高力)가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역사연구소를 방문했다. [23]
2016년 1월 18~19일 양광 중국사회과학원 서아시아아프리카연구소장이 대표단을 이끌고 이란을 방문했다. [24]2월 1일 중국사회과학원 부원장, 당조 멤버 차이昉이 재경이 방문한 파키스탄 외교국무장관 경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연설하다
의덕타리크 파타미, 마수드 할리드 주중 파키스탄 대사 일행(25), 같은 달 장우옌 중국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장이 사우디아라비아에 본부를 둔 국제사회과학원 학술교류단 [26-27] ; 25일 중화인민공화국 상무부가 주최하고 중국사회과학원 대학원이 주관하는 2016년 아프리카 국가경제와 사회발전 대통령 고문 검토반이 경개반 [28] ; 7월, T20 무역과 투자WTO 무역대화 시리즈의 일부인 [29] ; 중국사회과학원의 차이昉 부원장이 26일 방문한 팬아메리칸 개발은행의 수석 경제학자, 연구부 사장인 호세 후안 고메스 박사 일행을 만났다. [31]
과학적 연구
혁신 부문
2016년 12월 사과원 연구국 홈페이지에 따르면, 사회과원 주관 연구 센터는 경제소 주관 5개, 공경소 주관 5개, 농발소 주관 2개, 재경원 주관 7개, 금융소 주관 4개 등 모두 88개이다. [32]
중국사회과학원 연구 센터 일람표
序号 | 中心名称 | 负责人 | 主管单位 | 成立时间 |
1 | 中国社会科学院民营经济研究中心 | 刘迎秋 | 经济所 | 1994 |
2 | 中国社会科学院欠发达经济研究中心 | 袁钢明 | 经济所 | 1994 |
3 | 中国社会科学院全球契约研究中心 | 成思危 王振中 | 经济所 | 2003 |
4 | 中国社会科学院中国现代经济史研究中心 | 刘国光 董志凯 | 经济所 | 1997 |
5 | 中国社会科学院上市公司研究中心 | 张卓元 | 经济所 | 1996 |
6 | 中国社会科学院管理科学研究中心 | 陈佳贵 黄速建 | 工经所 | 2000 |
7 | 中国社会科学院中国产业与企业竞争力研究中心 | 陈佳贵 金碚 | 工经所 | 2002 |
8 | 中国社会科学院中小企业研究中心 | 李平 罗仲伟 | 工经所 | 1994 |
9 | 中国社会科学院西部发展研究中心 | 魏后凯 | 工经所 | 1995 |
10 | 中国社会科学院食品药品产业发展与监管研究中心 | 张永建 | 工经所 | 2004 |
11 | 中国社会科学院生态环境经济研究中心 | 李周 | 农发所 | 1994 |
12 | 中国社会科学院贫困问题研究中心 | 王洛林 | 农发所 | 1996 |
13 | 中国社会科学院旅游研究中心 | 张广瑞 | 财经院 | 1999 |
14 | 中国社会科学院财政税收研究中心 | 高培勇 | 财经院 | 2002 |
15 | 中国社会科学院对外经贸国际金融研究中心 | 于立新 | 财经院 | 1992 |
16 | 中国社会科学院城市与竞争力研究中心 | 倪鹏飞 | 财经院 | 2010 |
17 | 中国社会科学院投融资研究中心 | 李扬 董裕平 | 金融所 | 1994 |
18 | 中国社会科学院保险与经济发展研究中心 | 王洛林 吴定富 李扬 | 金融所 | 2004 |
19 | 中国社会科学院金融政策研究中心 | 陈元等 何海峰 | 金融所 | 2004 |
20 | 中国社会科学院产业规制与竞争研究中心 | 张昕竹 | 数技经所 | 1999 |
21 | 中国社会科学院信息化研究中心 | 汪同三 汪向东 | 数技经所 | 2002 |
22 | 中国社会科学院中国经济社会综合集成与预测中心 | 汪同三 | 数技经所 | 1995 |
23 | 中国社会科学院环境与发展研究中心 | 郑玉歆 | 数技经所 | 1995 |
24 | 中国社会科学院技术创新与战略管理研究中心 | 汪同三 金周英 | 数技经所 | 1996 |
25 | 中国社会科学院中国循环经济与环境评估预测研究中心 | 汪同三 齐建国 | 数技经所 | 2005 |
26 | 中国社会科学院项目评估与战略规划研究咨询研究中心 | 李京文 钟学义 | 数技经所 | 1996 |
27 | 中国社会科学院人力资源研究中心 | 王洛林 蔡昉 | 人口所 | 2000 |
28 | 中国社会科学院劳动与社会保障研究中心 | 蔡昉 王延中 | 人口所 | 2003 |
29 | 中国社会科学院老年科学研究中心 | 张世生 | 人口所 | 2000 |
30 | 中国社会科学院可持续发展研究中心 | 腾藤 潘家华 | 城发所 | 1998 |
31 | 中国社会科学院科学与无神论研究中心 | 习五一 | 马研院 | 2010 |
32 | 中国社会科学院社会发展研究中心 | 孙伟平 | 哲学所 | 1993 |
33 | 中国社会科学院科学技术和社会研究中心 | 殷登祥 | 哲学所 | 1993 |
34 | 中国社会科学院应用伦理研究中心 | 孙春晨 | 哲学所 | 1995 |
35 | 中国社会科学院东方文化研究中心 | 孙晶 | 哲学所 | 1997 |
36 | 中国社会科学院世界文明比较研究中心 | 汝信 | 哲学所 | 1999 |
37 | 中国社会科学院文化研究中心 | 李景源 | 哲学所 | 2000 |
38 | 中国社会科学院道家与道教文化中心 | 卢国龙 | 宗教所 | 2000 |
39 | 中国社会科学院基督教研究中心 | 卓新平 | 宗教所 | 1998 |
40 | 中国社会科学院佛教研究中心 | 魏道儒 | 宗教所 | 1997 |
41 | 中国社会科学院邪教问题研究中心 | 高全立 | 宗教所 | 2002 |
42 | 中国社会科学院互联网发展研究中心 | 蒋颖 | 文献中心 | 2000 |
43 | 中国社会科学院国外中国学研究中心 | 汝信 黄长著 | 文献中心 | 2003 |
44 | 中国社会科学院文献计量与科学评价研究中心 | 杨沛超 | 文献中心 | 2007 |
45 | 中国社会科学院古代文明研究中心 | 李学勤 | 考古所 | 2000 |
46 | 中国社会科学院甲骨文殷商史研究中心 | 宋镇豪 | 历史所 | 1992 |
47 | 中国社会科学院徽学研究中心 | 万明 | 历史所 | 1995 |
48 | 中国社会科学院简帛研究中心 | 卜宪群 | 历史所 | 1995 |
49 | 中国社会科学院敦煌学研究中心 | 黄正建 | 历史所 | 1998 |
50 | 中国社会科学院台湾史研究中心 | 张海鹏 | 近代史所 | 2002 |
51 | 中国社会科学院加拿大研究中心 | 周荣耀 | 世界历史所 | 1993 |
52 | 中国社会科学院史学理论研究中心 | 朱佳木 于沛 | 世界历史所 | 2005 |
53 | 中国社会科学院新疆发展研究中心 | 马大正 | 边疆所 | 2000 |
54 | 中国社会科学院中国历史文化信息研究中心 | 马大正 | 边疆所 | 1998 |
55 | 中国社会科学院少数民族文化与语言文字研究中心 | 朝戈金 | 民文所 | 2011 |
56 | 中国社会科学院人权研究中心 | 王家福 刘海年 | 法学所 | 1991 |
57 | 中国社会科学院知识产权研究中心 | 李明德 | 法学所 | 1994 |
58 | 中国社会科学院文化法制研究中心 | 冯军 | 法学所 | 2003 |
59 | 中国社会科学院民主问题研究中心 | 李铁映 | 法学所 | 1998 |
60 | 中国社会科学院台湾、香港、澳门法律研究中心 | 邵波 | 法学所 | 1996 |
61 | 中国社会科学院蒙古学研究中心 | 郝时远 乌兰 | 民族所 | 2002 |
62 | 中国社会科学院藏族历史与文化研究中心 | 郝时远 | 民族所 | 2003 |
63 | 中国社会科学院西夏文化研究中心 | 史金波 | 民族所 | 1997 |
64 | 中国社会科学院海外华人研究中心 | 郝时远 | 民族所 | 2002 |
65 | 中国社会科学院少数民族语言研究中心 | 黄行 | 民族所 | 1993 |
66 | 中国社会科学院中国私营企业主群体研究中心 | 张厚义 陈光金 | 社会学所 | 1999 |
67 | 中国社会科学院社会政策研究中心 | 朱锦昌 | 社会学所 | 2003 |
68 | 中国社会科学院国情调查研究中心 | 陆学艺 | 社会学所 | 1995 |
69 | 中国社会科学院第三世界研究中心 | 谈世中 | 世经政所 | 1989 |
70 | 中国社会科学院俄罗斯研究中心 | 李静杰 | 俄欧亚所 | 1994 |
71 | 中国社会科学院上海合作组织研究中心 | 邢广程 | 俄欧亚所 | 2002 |
72 | 中国社会科学院中德合作研究中心 | 周弘 | 欧洲所 | 1994 |
73 | 中国社会科学院欧洲问题研究中心 | 周弘 | 欧洲所 | 1985 |
74 | 中国社会科学院西班牙研究中心 | 周弘 | 欧洲所 | 2002 |
75 | 中国社会科学院海湾研究中心 | 杨光 | 西亚非所 | 1995 |
76 | 中国社会科学院世界社会保障制度与理论研究中心 | 郑秉文 | 拉美所 | 2010 |
77 | 中国社会科学院澳大利亚、新西兰与南太平洋研究中心 | 韩锋 | 亚太所 | 1994 |
78 | 中国社会科学院南亚研究中心 | 孙世海 | 亚太所 | 1988 |
79 | 中国社会科学院地区安全研究中心 | 张蕴岭 | 亚太所 | 2002 |
80 | 中国社会科学院亚太经合组织与东亚合作研究中心 | 张蕴岭 | 亚太所 | 1995 |
81 | 中国社会科学院国际政治研究中心 | 张蕴领 黄平 | 美国所 | 2001 |
82 | 中国社会科学院年青人文社会科学研究中心 | 张冠梓 | 直属机关党委 | 2001 |
83 | 中国社会科学院中日历史研究中心 | 王忍之 王正 | 科研局 | 1998 |
84 | 中国社会科学院世界社会主义研究中心 | 李慎明 | 科研局 | 2000 |
85 | 中国社会科学院梵文研究中心 | 黄宝生 | 科研局 | 2010 |
86 | 中国社会科学院韩国研究中心 | 汝信 | 国际合作局 | 1993 |
87 | 中国社会科学院廉政研究中心 | 李秋芳 孙壮志 | 监察局 | 2009 |
88 | 中国社会科学院妇女/性别研究中心 | 李秋芳 | 院妇工委 | 1995 |
注:不含各研究所所属的非实体研究中心 |
과학 연구 성과
성과를 종합하여 서술하다.
중국사회과학원은 학술저작, 과학논문, 조사연구보고서, 자료번역과 문헌정리 등의 형태로 사회 각계에 과학연구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2016년 11월 현재 학술저작 출간
사과원 출판 서적 사과원 출판 서적
4293권, 과학논문 54517편, 조사보고서, 연구보고서 7268권, 번역저작 2787권, 번역논문 16108편, 그리고 상당량의 고적정리, 교감, 주석, 각종 도구책과 보급을 작성하였다.연평균 학술저작 300권, 과학논문 3890여 종, 연구보고서 510여 편을 펴냈다. [21]
1993년 9월 중국사회과학원이 개원한 이래(19771991) 우수한 성과평가 활동으로 경제학과 6개 연구소에 21종의 전문 저서, 17편의 학술논문, 10편의 연구보고서, 4종의 학술서가 있다. [33]
2014년 12월까지 3년간 사회과대학에서 실시한 이노베이션 공정으로 인문 기초연구에 있어서는 학자가 전저 1,000여편, 논문 1만여편, 연구보고서 5000여점, 학술자료, 고서적 정리, 번역, 보급을 완료하였다. [34]
중대한 성과 개관
●
중대한 과제인 '중국경제 개혁 개방 30년 역사 경험 연구'는 이론적인 관점에서 개혁개방의 성공 경험과 문제점을 포괄적이고 깊이 있게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발전과 보완에 중요한 이론적 참고를 제공했다. [35]
●
2014년 《중국 반부패 제창 보고서 No.4》에서는 6개 방면에서 2014년도 당풍 염정과 반부패 작업의 실천과 효과를 총괄하였다. [36]
●
2013년 혁신적인 연구 성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역사지도집》, 《동양철학사》(인민출판사)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학술 전문 저서가 포함되었으며, 신장온천 아돈카오루 초기 청동 유적도 포함되어 있다. [37]
●
2014년도 이노베이션 프로젝트의 중대한 인문 기반 연구 성과가 발표된 인문 기반 연구 성과는 '신대중 철학', '간명 세계사 독본', '범어불경독본', '외국문학 학술사 연구공정' 등 모두 10건이다. [34]
●
2014년도 중대이론과 현실문제 연구 성과는 총 19건이며, 전문저작, 논문, 특집보고서 등을 포함하여 중대이론과 현실문제 응용대책류를 주로 연구하고 주목하였다. [38]
●
2015년도 이노베이션 프로젝트 싱크탱크 연구의 중대한 성과 중, 병원 관련 싱크탱크는 "4개의 전면" 전략 배치, "2개의 100년" 전략 구상, "13,5" 계획, 국가 안보 전략, 글로벌 거버넌스 등의 분야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이론을 수립하였다.18가지 성과를 완성해 발표했다. [39]
●
2015년도 기초연구의 큰 성과 중 중국 사회과학원은 중국사회과학원 인문기초학과 연구 수준을 대표하여 중국 철학사회과학 발전의 첨단을 반영할 수 있는 저서를 발표했다. [40]
●
2015년도 혁신사업 기초연구의 중대성과는 '마르크스주의 중국화의 당대이론성과', '시진핑 총서기 시리즈의 중요담화정신을 배우자' 등 총 12개 항목이다. [41]
학술 자원
소장 자원
중국사회과학원 도서관은 국가급 철학사회과학도서정보기관이다.2016년 12월 현재 도서관은 소장도서 180만 권, 중문기간지 2218여 종(함강대 저널 89종), 외국어 저널 953종, 전자출판물 600여 종이다. [42] 문헌자료의 축적과 활용은 각 학과의 연구 작업의 기본 요건이다.중국사회과학원은 종합적인 도서관을 두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소는 전문성 있는 도서관을 두고 있으며, 동서고금의 기본 문헌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선본전적, 희귀본 도서도 상당수 포함됐다.중국 사회과학원 도서관문헌정보센터와 각 연구소는 국내외 과학연구기관과 도서자료 교환관계를 맺고 각종 동태성, 자료성 간행물문헌제록, 논문색인 등의 정보재체를 통해 과학연구에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21]
학술지
2016년 12월 현재 원내에는 '중국 사회과학' '역사연구' '고고' '철학연구' '경제연구' '법학연구' '문학평론' '세계경제' 등 90개에 가까운 학술지가 있어 중국 사회과학 연구의 최신 성과와 성과를 비교적 집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학술저작을 출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국 사회과학출판사·사과문헌출판사·경제관리출판사도 대량의 사회과학 연구저작을 출판하여, 중국 사회과학 사업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经济研究》(月刊) | 《中国哲学年鉴》(年刊) | 《外国文学动态》(双月刊) | 《日本学刊》(双月刊) |
《中国经济史研究》(季刊) | 《世界哲学》(双月刊) | 《中国语文》(双月刊) | 《欧洲研究》(双月刊) |
《经济学动态》(月刊) | 《中国哲学史》(季刊) | 《当代语言学》(季刊) | 《西亚非洲》(月刊) |
《财智生活》(月刊) | 《马克思主义研究》(月刊) | 《方言》(季刊) | 《拉丁美洲研究》(双月刊) |
《中国城市年鉴》(英文版)(年刊) | 《科学与无神论》(双月刊) | 《政治学研究》(双月刊) | 《当代亚太》(双月刊刊) |
《中国城市年鉴》(年刊) | 《世界宗教文化》(双月刊) | 《法学研究》(双月刊) | 《南亚研究》(季刊) |
《中国城市经济》(月刊) | 《世界宗教研究》(双月刊) | 《环球法律评论》(双月刊) | 《台湾研究》(双月刊) |
《经济管理》(月刊) | 《考古》(月刊) | 《民族语文》(双月刊) | 《当代中国史研究》(双月刊) |
《中国工业经济》(月刊) | 《考古学报》(季刊) | 《民族研究》(双月刊) | 《今日中国论坛》(月刊) |
《中国经营报》(周双) | 《中国史研究》(季刊) | 《世界民族》(双月刊) | 《中国社会科学院研究生院学报》(双月刊) |
《精品购物指南》(周双) | 《中国史研究动态》(月刊) | 《世界华商经济年鉴》(年刊) | 《环球市场信息导报》(月刊) |
《商学院》(月刊) | 《近代史研究》(双月刊) | 《社会学研究》(双月刊) | 《国外社会科学》(双月刊) |
《职场》(月刊) | 《抗日战争研究》(季刊) | 《青年研究》(月刊) | 《第欧根尼》(半年刊) |
《China Economist》(双月刊) | 《世界历史》(双月刊) | 《新闻与传播研究》(双月刊刊) | 《程序员》(半月刊) |
《风尚志》(半月刊) | 《史学理论研究》(季刊) | 《中国新闻年鉴》(年刊) | 《当代韩国》(季刊) |
《中国农村经济》(月刊) | 《中国地方志》(月刊) | 《世界经济》(月刊) | 《中国社会科学》(双月刊) |
《中国农村观察》(双月刊) | 《中国地方志年鉴》(年刊) | 《世界经济与政治》(月刊) | 《历史研究》(双月刊) |
《财贸经济》(月刊) | 《中国边疆史地研究》(季刊) | 《世界经济与中国》(英文版)(双月刊) | 《中国社会科学》(英文版)(季刊) |
《数量经济技术经济研究》(月刊) | 《文学评论》(双月刊) | 《世界经济年鉴》(年刊) | 《中国社会科学文摘》(双月刊) |
《中国人口科学》(双月刊) | 《文学遗产》(双月刊刊) | 《国际经济评论》(双月刊) | 《国际社会科学》(季刊) |
《中国人口年鉴》(年刊) | 《中国文学年鉴》(年刊) | 《美国研究》(季刊) | 《中国社会科学院院报》(周双) |
《哲学研究》(月刊) | 《民族文学研究》(季刊) | 《商业评论》(月刊) | 《社会科学管理与评论》(季刊) |
《哲学动态》(月刊) | 《外国文学评论》(季刊) | 《俄罗斯中亚东欧研究》(双月刊) | 《俄罗斯中亚东欧市场》(月刊) |
《世界文学》(双月刊) | |||
注:期刊统计截至2010年6月 |
인재 양성
편집자
교육 건설
학교 운영 모델
집중 개원=중국 사회과학원은 대학원 한 곳을 집중 설립해 획일적인 모집단위학위 수여 단위로 통합하는 캠퍼스를 만든다.
학부별로는 대학원 교과가 중국사회과학원 각 연구원에 의해 설치되고 학과장은 원칙적으로 소장이 겸임하며 학과 지도교수는 부고급 이상 연구자 중에서 선발, 초빙한다.
편가르기=학문에 따라 몇몇 학부가 하나의 학부(학부)를 구성해 학과별로 개설하거나 같은 전공의 대학원생이 공동 필수로 하는 학부를 구성한다.
통합관리=대학원은 사상정치이론, 외국어 등 교육부가 정한 공공필수 과목을 담당하며 학생모집, 교무, 후근, 외사 등을 통합 관리한다.공공필수과목, 학부전공기초과, 박사과정의 제한적인 복수학문 필수과목은 일반적으로 1학년에 대학원에서 공부하도록 안배되어 있다.박사과정 학생과 학술석사생의 학과 전공 기초 과목은 보통 2학년 때 대학원이나 각 대학원에서 공부하도록 배정된다.전공석사생의 공공수업, 전공수업은 일반적으로 대학원 구내에 배치되어 있다. [44]
학제 학위
2017년 대학원은 전일제와 비전일제별로 석사대학원을 모집하도록 교육부 정책에 따라 배정됐다.모든 모집 학과는 전일제 대학원생을 계속 모집하고 있으며, 비전일제 대학원생은 법률석사, 공공관리석사를 다룬다.
대학원은 학술형 석사와 전문학위 석사를 모집한다.매년 모집하는 대학원생은 전국 대학원생 모집 프로그램에 포함되며, 학력 교육에 해당하며, 과정 시험과 논문 답변을 거쳐 졸업 증서, 학위 증서를 수여한다. [45]
교수 성과
2016년 6월까지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3100여 명 가운데 홍콩아카데미 지역 유학대학원생 52명, 외국 유학대학원생 48명 등 박사학위 4771명, 학력교육 석사학위 10053명(이 전공 석사학위 3891명)이 수여 명이다. [46]
학과 건설
대학원은 2016년 6월까지 박사학위 1급 학과 15개, 석사학위 1급 학과 17개, 박사학위 2급 학과 103개(자주 설치된 박사학위 2급 학과 13개 포함), 석사학위 2급 학과 109개(자율 13개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북경시 중점학과 5개를 보유하고 있다. [47]
1급 학과 석사점: 철학, 이론경제학, 응용경제학, 응용경제학, 법학, 정치학, 사회학, 민족학, 마르크스주의 이론, 중국 언어문학, 외국언어문학, 고고학, 중국사, 세계사, 경영, 경영
2급 학과 석사학점: 마르크스주의 철학, 중국철학, 외국철학, 논리학, 윤리학, 미학, 종교학, 과학기술 철학, 정치경제학, 경제사상사, 경제사, 서양경제학, 세계 경제, 인구지속가능발전경제학(자주설치), 발전경제학(자주설치), 도시경제학(자주설치), 미디어정보법학(자주설치), 지적재산권법학(자주설치), 중국민간문학(자주설치), 언론언어학(설치)
1급 학과 박사점: 철학, 이론경제학, 응용경제학, 법학, 정치학, 사회학, 민족학, 마르크스주의 이론, 중국 언어문학, 고고학, 중국사, 세계사, 경영, 농림경제 관리
2급학과 박사점: 마르크스주의 철학, 중국철학, 외국철학, 논리학, 윤리학, 미학, 종교학, 과학기술 철학, 정치경제학, 경제사상사, 경제사, 서양경제학, 세계 경제, 인구지속가능발전경제학(자주설치), 발전경제학(자주설치), 도시경제학(자주설치), 미디어정보법학(자주설치), 지적재산권법학(자주설치), 중국민간문학(자주설치), 언론언어학(설치)
전공학위 석사점 : 공공관리, 경영, 사회근무, 법률, 금융, 세무, 문화재 및 박물관
베이징시 중점학과: 인구자원과 환경경제학, 민상법학, 중국철학, 마르크스주의 중국화 연구, 고고학과 박물관학 [47]
새로운 문화
편집자
사회과학원 휘장
중국사회과학원 원휘는 사체 'A'를 밑줄로 하고, 가운데는 사체홍록청삼색 'S'가 꿰고, 우측에는
사과원휘사과원휘
'중국사회과학원'의 흰색 글씨체가 있고, 중국어 글씨체 아래에 담박화된 영문명이 있다. [11]
문화 정신
《사회과학송》.
국운이 창창하고 문운이 흥하다.천하가 태평하면 학문은 융성한다.부사회과학자는 인류사회의 모든 현상을 통찰한다.천인의 시기를 살펴 고금의 변을 캐다.학리 정신은 도의 호호호이며 근원을 탐구하는 것은 고대 그리스의 이성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천 년의 변천을 거쳐 근세에 현혁한 학과가 되었다.우리 중국의 사회과학도 천 년 동안 계속 변하여 민족 흥망성쇠와 함께 기복하였다.지금 중화가 부상하여 백가쟁명하다.모든 사회 과학 제현은 마르크스주의의 규례를 따르고, 민족 부흥의 대업을 도모하며, 필봉을 연마하며, 현가를 멈추지 않는다.배워서 활용하다.비바람이 어찌 두려워서 대대로 불을 지피랴.
중국 사회과학원에는 군현들이 몰려 북적였다.학과가 완비되어 있고 자원이 풍부하다.유가 상제하고, 현재의 복고를 취하여 후세 사람을 자극하고, 격물은 성의 바른 마음을 알게 하며, 하늘과 땅을 위하여 마음을 세우고, 백성을 낳는 데 목숨을 걸고, 과거의 성계 절학을 위하여 태평을 베풀었다.국가 과학 발전 기획의 중책을 맡아 학계의 인문 조예를 선도하다.정요는 사람들의 명성을 듣고 와서 대외 교류가 전 세계에 미치다.예:고유한림예문기요서유지고참의중추.이 시대가 바뀔 때, 우리 세대는 심혈을 기울여 국가의 민생을 위해 방략을 공헌하고 진리를 위해 논문을 다스렸다.사회과학원 대학원까지는 영재 양성을 위한 기관이다.학풍이 돈후하여,스스로 성대하다.재덕을 겸비하여 해외에 명파하다.개문 30여 년 동안 훌륭한 스승이 제지하고 복숭아와 자두꽃이 향기롭다는 말을 듣고서야 비로소 도가 있고 영화가 정원에 가득하다.차부, 태평성세에 다시 영광을 창조하다니, 우리 대대로 사람 흉내를 내니, 얼마나 다행이겠는가! [2]
지도 집단
현직 지도자
职务 | 姓名 |
---|---|
党组书记、院长、学部主席团主席 | 谢伏瞻 [48] |
党组副书记、副院长 | 王京清 |
党组副书记、副院长 | 高培勇 |
党组成员、副院长 | 蔡昉、高翔 |
党组成员、纪检组组长 | 邓中华 |
원장을 역임하다
任届 | 任期 | 姓名 |
---|---|---|
中国科学院院长兼哲学社会科学部主任 | 1949-1977 | 郭沫若 |
中国科学院考古研究所 | 1949-1954 | 郑振铎 |
中国科学院语言研究所 | 1949-1954 | 罗常培 |
中国科学院社会研究所 | 1949-1954 | --- |
中国科学院近代史研究所 | 1949-1952 | 范文澜 |
1952-1954 | 陶孟和 | |
第一届 | 1977-1982 | 胡乔木 |
第二届 | 1982-1985 | 马洪 |
第三届 | 1985-1988 | 胡绳 |
第四届 | 1988-1993 | |
第五届 | 1993-1998 | |
第六届 | 1998-2003 | 李铁映 |
第七届 | 2003-2013 | 陈奎元 |
第八届 | 2013-2018 | 王伟光 |
第九届 | 2018- | 谢伏瞻 [48] |
표제어 뒤의 지식을 해독하다
곽시량 재경논설위원, 재경작가
사과원이 다시 주식시장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A주에 영향을 미치는가?
중국사회과학원(2015-12-16)은 최근 '2016 경제청서' 발표에서 2016년 상하이종합지수나 3200~4000선에서 요동칠 것으로 예상하는 '슬로바우'가 주가를 거론했다.사회과학원에서는 일찍이 몇 번이나 신예측을 한 적이 있습니까? 사과원의 보고는 어느 정도 정부의 태도를 대변하는 것으로, 지난 2년간은 '신예측'이 있었다. 2016...
2016-12-109 읽기 615
참고자료 1. 중국사회과학원 2014년도 부서결산-주요 직책 . 중국사회과학원 홈페이지 [인용일자 2015-10-11]
2. 중국사회과학원 개황 . 중국사회과학망 [인용일자 2015-02-06]
3. 홍콩 중매 : 글로벌 싱크탱크 순위에서 중국의 3개 싱크탱크가 50강에 올랐다.참고 소식망 [인용일자 2015-02-06]
4.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국무원판공청은 '중국 특색의 신형 싱크탱크 건설 강화에 관한 의견'을 발간한다. 중국 정부망[인용일자 2015-02-06]
5.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사상연구센터 10개소 설립. 팽배한 뉴스[인용일자 2017-12-14]
6. 셰보젠(出任) 중국사과원장은 허난성 당서기를 지냈다.중국청년망.2018-03-22[인용일자 2018-03-22]
7.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 역사 .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 홈페이지 [인용일자 2015-02-06]
8. 중국과학원 설립 . 중국과학원 원경망 [인용일자 2015-02-06]
9. 중국과학원 학부 설립 . 중국과학원 원경망 [인용일자 2015-02-06]
10. 철학사회과학부 독립시말 .화문망(원제 사이언스 타임스) [인용일자 2015-02-06]
중국 바이두 백과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