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분석] 집권 여당 국힘의힘 7.23 전당대회 관전 포인트 넷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이번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인단은
모두 84만3천292명입니다.
지난해 3·8 전당대회 선거인단(83만9천569명) 때와 비교하면
3천723명 늘었는데요.
지역별로는 보수 텃밭인 영남권이 40.3%로 가장 많았고,
수도권이 37%에 달했답니다.
영남권은 물론 수도권 당심도
전당대회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차기 당대표는 선거인단 투표 80%,
일반국민 여론조사 20% 비율을 반영해
선출합니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책임당원 79만430명,
일반당원 4만3천422명,
대의원 9천440명으로 선거인단이 구성됐는데요.
시도별로는 경기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14.3% 경북 13.4%, 경남 9.4%,
대구 7.2%, 부산 6.6% 순이었답니다.
나이별로는 60대 이상이 45.8%로 가장 많았답니다.
지난 전당대회도 마찬가지였지만
당원 숫자가 많아지면서 현역 의원들이
접촉하기 어려운 당원들이 적지 않아,
당원들의 표심이 어디로 갈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당원들 사이에서 대통령과 당대표가
원팀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는 반면,
당의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잖다.
대통령의 말이 얼마나 영향력이 있을까를 보면
총선 이후 많이 달라진 측면도 있다.”
이는 당원들의 표심이 어디로 갈지
예측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되는 대목입니다.
이런 가운데 한동훈 후보는 일단
‘비윤’ 후보로 지목됐는데요.
한 후보는 독자적으로
‘한풍’을 일으켜야 하는 위치가 됐답니다.
한때 윤석열 대통령의 황태자로 불렸던 한 후보는
법무부 장관,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대선 후보군으로 급성장했습니다.
그러나 총선 전후로 한 후보와
윤석열 대통령 관계는 멀어졌답니다.
‘한풍’ 앞에 ‘윤심’이라는
초대형 폭풍이 있는 셈입니다.
한 후보로서는 걸림돌인데요.
친윤 성향 의원들은 물론 경쟁 후보들 역시
‘비윤 후보가 당대표에 오르면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서
큰 혼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논리를 내세우며
한 후보를 공격하고 있답니다.
당·정·대가 엇박자로 인해
국정 운영에 걷잡을 없는 혼란이 계속되면
여권이 혼란에 빠질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실제 한 후보자가 제3자 채상병 특검법을 주장하자
경쟁 후보들은 ‘배신자 프레임’을 들고 나오기도 했답니다.
배신은 보수 지지층의 표심을 흔들만합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이 유승민 원내대표를 향해
‘배신의 정치’라는 표현을 사용한 바 있답니다.
당시 ‘배신의 정치’로 상징되는 당정갈등은
박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이어졌고,
이것이 보수의 분열로 이어졌다는 게
정치권의 평가입니다.
이후 유 전 대표는 대구·경북의
전통적인 강성 지지층에게 배신자로 낙인.
일련의 과정을 익히 알고 있는
나경원·원희룡·윤상현 의원은 한 후보를 향한
배신 프레임을 전당대회 끝까지
끌고 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한 후보가 쉽게 밀리지는 않는 양상입니다.
핵심 보수층은 윤 대통령에게 실망하고,
그 대안으로 한 후보를 생각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핵심 보수층에 윤 대통령과 한 후보의 관계는
‘보완재’이기도 하지만, ‘대체재’ 성격이 더 강한 셈.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가 앞서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입니다.
실제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1~2일 양일 간에 걸쳐
‘국민의힘 당대표 적합도’ 조사를 한 결과,
한 후보가 3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원 후보 11.3%, 나 후보 9.8%,
윤 후보 5.2% 순이었다. 없다(33.4%)’,
‘잘 모르겠다(5.2%)’ 등 무응답층은 38.6%였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 37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한동훈 후보가 62.9%로
절반이 넘는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이어 원 후보 17.9%, 나 후보 8.1%,
윤 후보 2.7% 순으로 이어졌으며
무응답층은 8.2%에 불과했답니다.
한 후보는 특히 ‘윤심’에 정면으로 맞서는 충돌이 아닌
우회 전략을 세우고 있는데요.
수평적 당정 관계를 내세우고 있답니다.
한 후보는 “윤석열 정부가 성공하지 않으면
제 미래가 있겠느냐. 대통령과 저는
정치적 목적이 같다”며
“제가 당대표가 되면 오히려 당정관계가
훨씬 더 실용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답니다..
다만 한 후보에 맞서는 나경원,
원희룡, 윤상현 후보가 ‘윤풍’을
일으킬 가능성도 남아 있는데요.
당원 80%, 여론조사 20% 비율이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A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B 후보보다 20% 차이가 나더라도
당원투표에서 5%만 앞서면
두 후보 격차는 사라집니다.
이 때문에 여의도 안팎에서는
여론조사는 한 후보가 앞서지만
결과는 열어봐야 알 수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
‘어대한’ 분위기는 존재하지만
결과를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것입니다.
여권 한 관계자는 “특정 후보의 우세가 확실할 경우
여론조사 20~30%는 큰 의미가 없다”면서
“팽팽한 두 후보의 경합이 아니라면
당심이 기우는 쪽이
승기를 잡을 확률이 높다”고 말했답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가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당원 표심’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2021년 당대표 경선 당시 나경원 후보는
민심에서는 이준석 후보에게 크게 뒤졌지만
당심에서 앞섰던 전례가 있는데요.
나·원·윤 후보도 이 점을 노리고 있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실망한 당원들이라고 하지만
새 당대표가 임기 절반도 넘기지 않은 대통령과
계속 충돌하는 상황을 지켜보지는 않을 것이라고
믿고 있답니다.
캠프 한 관계자도
“여론조사와 당원 표심은 분명 다르다”며
“여론조사는 화제성이 높은 후보 쪽으로
일방적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지만,
당심은 당의 미래,
현 정부의 성공을 바라는 마음이 크기 때문에
분명 차이가 있다”라고 말했답니다.
이로 인해 결선투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위기도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는데요.
결선투표에서 ‘반한동훈 연대’의
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답니다.
결선 투표에서 나·원·윤 후보가 한 후보를 제외한
특정후보를 지지한다면 승부가 뒤집힐 수도 있다는 것.
정치권에서도 나·원·윤 후보의 표가
한 후보에게는 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지난 전당대회에서 김기현 대표가
당대표로 선출됐던 3·8전당대회(100% 당원투표) 역시
윤심이 곧 당선으로 작용한 예라 할 수 있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