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명명리를 만들면서 년월은 양, 일시는 음으로 음양을 같이 추리하여야 한다고 하여 년은 신살과 납음을 보고, 일은 십성으로 추리하다고 정리하였는데 고대의 법에도 이와 같이 년과 일 두 개를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
현대의 오직 일만을 가지고 사주를 추리한 다는 것과는 배치되는 내용입니다.
또 생왕고사절로써 오행의 강약왕쇠를 본다는 것도 일맥상통합니다.
【五行妙旨】 自甲至癸,十干爲天,自子至亥,十二支爲地,以干合支,然後爲人,凡命須要求之以天地,而斷之以人,如甲用辛爲官,乃看辛下得何支,用寅爲祿,乃看寅上得何干,遂合支干名爲納音,定其五行之或死或生,或旺或衰,吉凶自見,貴人驛馬准此。又以年爲主,以日爲本,蓋遁月從年,遁時從日,以主推之,五行衰死,未必凶爲凶,以本推之,則生旺類,但發【遲】耳。常以主配父母,本配己身,本吉主凶,當由自立,主勝於本,多出資蔭,主本皆強,此名最上。人命年、月、日、時、胎五位,宜有情,又不可專執祿馬爲貴,刑殺爲賤,全要圓機,探其妙旨。(李虛中書)
오행묘지五行妙旨 오행의 오묘한 뜻
甲에서 癸까지의 십간은 天이 되고, 子부터 亥까지는 12支의 地기 된다.
干과 支가 합한 연후에 사람이 된다.
무릇 命은 반드시 천지로써 필요한 것을 구하여 어떤 사람인가 판단하게 된다.
甲은 辛이 官이 되는데 곧 辛의 下가 어떠한 支가 있는 가 살펴야 한다.
寅을 祿이 되고, 寅위에 어떤 干이 있는 가 살펴야한다.
支干 합은 납음을 말한 것이다.
오행의 사死, 생生, 왕旺, 쇠衰에 의해서 길흉이 스스로 나타나게 된다.
貴人, 역마도 이것 사死, 생生, 왕旺, 쇠衰에 준한다.
또 년은 主가 되고, 일은 本이 된다.
무릇 둔월遁月은 년을 따르고, 둔시遁時는 일을 따른다.
主로 미루어 추단하면 오행의 쇠衰, 사死가 반드시 흉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本으로 미루어 추단하면 생왕의 류는 오직 늦게 드러날 뿐이다.
보통 主는 부모가 되고, 本는 자기 자신이 된다.
本이 길하고, 主는 흉하면 자립을 꾀하는 것이 마땅하고, 主가 本을 이기면 조상의 음덕이 많게 된다.
主와 本 모두 강하면 최상이 된다.
사주의 년、월、일、시、태 5개의 위치는 유정有情하게 되어야 마땅하다.
또 오로지 녹과 역마에 집착하여 벼슬을 하는 것으로 보면 안 되고, 형살은 천하다고 하면 안된다.
전체의 징조를 두루 관찰하여 오행의 오묘한 뜻을 찾아야 한다. (리허중)
첫댓글 여려번 반복으로 보고 또 보았습니다
사주로 운명을 추리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추리의 방향성을 말한 것으로 보면 될 듯합니다.
추리 방향을 잘 못 잡으면 평생 공부하여도 답을 찾지 못할 수 있지 않나 합니다.
현재 유행하는 억부법 격국법은 잘못된 방향이 분명합니다.
잘못된 방향이 분명히 있어요
마방진도면에 16수27. 38. 49. 510. 낙서수 9 2. 이. 원리를 알아야. 하는데
이부분을 놓치고 있어요 전 이 원리를. 알아요. 중요한. 포인트 인데요. 이론이 필요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