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사 신규 레포트 5>
디스플레이 - OLED, NAND: 빅사이클 초기 국면 - [현대증권]
삼성, OLED와 NAND 투자 주도
향후 3년간 ('16~18년) 글로벌 Flexible OLED와 3D NAND 투자는 각각 40조원 규모로 추정되어 이들 설비투자는 슈퍼사이클에 진입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OLED와 NAND 설비투자 사이클은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주도로 시작되며 내년부터는 중국, 일본, 미국업체 등이 투자를 본격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8년까지 모바일, SSD, 자동차 분야에서 Flexible OLED와 3D NAND의 수요가 공급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삼성의 선제적 투자 의도: 공급부족 대비 & 경쟁격차 확대
2016년 2분기 현재 Flexible OLED와 3D NAND의 양산성이 검증되어 생산라인을 보유한 업체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유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적 공급구조에서도 글로벌 세트업체들은 ① 모바일 폼팩터 변화와 자동차의 곡면 스크린 구현을 위해 플렉서블 OLED를 요구하고 있으며, ② PC, 서버 등에서도 SSD 채택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 특히 애플은 ① 아이폰7에서 [삼성전자]의 256GB 3D NAND 적용이 추정되고, ② 2017년 아이폰7S에는 플렉서블 OLED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OLED와 NAND 수급에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삼성 밸류체인의 큰 기회
당사는 삼성 밸류체인 (장비, 소재, 부품)에 큰 투자기회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① 과거 사례를 볼 때 [삼성전자] 레벨 업 후 관련 밸류체인의 주가 동조화가 예상되고, ② 애플과 같은 세트업체로의 핵심부품 독과점적 공급은 삼성 밸류체인의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으며, ③ 향후 3년간 대규모 투자 고려 시 ‘16년은 빅사이클시작에 불과해 향후 상승여력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최선호주로 [삼성전자]를 제시하고 장비 ([원익IPS], [테라세미콘], [AP시스템], [테스]), 소재 ([SK머티리얼즈], [한솔케미칼], [솔브레인], [원익]머티리얼즈), 부품업체 ([삼성전기], [한솔테크닉스])를 선호한다. 특히 [한솔케미칼], [테라세미콘]은 Flexible OLED와 3D NAND를 동시에 충족하는 업체로 판단된다
전기차 - 앞으로도 핫할 리튬 생산기업 - [신영증권]
지난 1년간 핫했던 리튬. 앞으로도 핫하다
지난 1년 동안 리튬 가격이 3배 이상 오르면서 리튬을 생산하는 기업 주가도 큰 폭으로 상승. 그러나 강한 리튬 수요와 주요 기업의 생산 능력 확충 계획을 고려할 때 주가 상승은 이제 시작이라고 판단
빠른 리튬 수요 증가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
리튬이온전지의 성장 전망은 밝음. 아직도 리튬이온전지 전체 수요 중 80% 가량이 IT기기에 들어감. 향후 전기차용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전체 리튬이온전지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 2020년경에는 전기차용 수요와 IT용 수요가 비슷해질 것으로 예상. 배터리업체의 생산 능력은 2020년까지 네 배 가까이 늘어날 계획
리튬 생산기업들의 생산 능력 확충이 대규모로 진행 중
지난 몇 년 동안 리튬 가격이 낮은 수준에 머물면서 리튬 기업의 생산 능력 확충이 지지부진했음. 빠르게 늘어난 수요에 공급이 대응하지 못해 최근 리튬 가격이 급등. 그러나 주요 기업들이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서면서 수요 증가를 향유할 것. 수요의 빠른 증가를 고려할 때 리튬 가격이 예전의 낮은 수준으로 돌아가지는 않을 전망
눈여겨볼 만한 7개 기업 제시
리튬 수요 확대의 수혜를 볼 수 있는 7개 기업을 소개함. 기존 시장 장악력이 높은 기업, 새롭게 생산 능력을 큰 폭으로 확충한 기업, 눈 부시게 성장하는 중국 기업 등 7개임.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리튬 기업 ETF도 소개함. 전체 리튬 밸류체인을 포괄하면서도 리튬 가격 움직임에 민감한 ETF임
유통 - 위로가전(안마의자) 열풍 - BNK투자
2015년 3,500억원 규모의 안마의자 시장 연평균 43% 성장중
2015년 전체 안마의자 시장 규모는 3,500억원으로 추정되며,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43%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안마의자 판매량은 2010년 5만대에서 2011년 7만대, 2012년 10만대, 2013년 15만대, 2014년 20만대가 판매된 것으로 추정된다.
[롯데하이마트] 안마의자 매출액 기여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
현재 국내 안마의자 시장점유율은 1위 바디프랜드 48.0%, 2위 휴테크 8.0%, 3위 [LG전자] 7.6%, 4위 파나소닉 6.6%를 기록하였다. 과거 안마의자가 국내에 처음 도입되었을 당시 일본제품이 대다수였다. 국내기업에서 저렴한 보급형 안마의자를 출시하기 시작하면서 국내기업의 점유율이 증가하였고, [동양]매직, [코웨이] 등의 대기업도 안마의자 시장에 진출하였다. [롯데하이마트]의 2015년 안마의자 매출액은 전년대비 120% 성장하였고 향후 안마의자의 매출액 기여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위로가전 열풍의 선두주자 안마의자
안마의자 시장이 연평균 43%씩 고성장하는 이유는 가사나 직장에서 받은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줄 수 있는 ‘위로가전’이 최근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과거에 구매하기에 다소 부담스러웠던 가격대의 안마의자는 최근 보급형 안마의자 제품이 출시되면서 100만원 초반대에 판매되고 있다. 대형가전마트나 백화점에서 안마의자 구매시,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렌털서비스를 통해 구입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중국에서도 건강용 의료기기 인기 높아
최근 중국에서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용 의료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중국향 마사지용 기기 수출금액은 343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13.6% 증가하고 있다. 향후 수출금액 증가율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위 자료는 투자참고용으로 활용하시고 배포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OLED의 힘을 믿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