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각【相似覺】
[英 The approximate enlightenment which in the stages of 十住, 十行 and 十廻向 approximates to prefect enlightenment by the subjection of all illusion]
『대승기신론』에서 각(覺)을 설명하되, 무명 번뇌를 끊는 작용으로 보아 시각(始覺)의 4위(四位)를 나눈 중에 제2각을 상사각이라 한다. . 참된 깨달음[覺]이 아니고 비슷한 각(覺)이란 뜻이다.
상사즉【相似卽】
[英 One of the six of such identities, similarity in form]
구족하게는 상사즉불(相似卽佛). 천태종에서 수행하는 지위인 6즉위(卽位)의 제4. 상사는 두 물건이 비슷하다는 뜻. 진정(眞正)한 오(悟)와 비슷하고, 또 성자(聖者)의 지위와 비슷함을 말함. 곧 3천 3제(諦)의 관념이 상속하고, 그 공이 쌓여 안으로 견혹(見惑)ㆍ사혹(思惑)이 먼저 다하고, 우리의 6근이 청정하여 눈으로는 3천계(界)의 안팎을 분명히 보고, 귀로는 3천계의 안팎 소리를 분명히 듣는 등의 수승한 작용이 나타나는 지위.
상상구절종【相想俱絶宗】
[英 One of the ten school, as classified by Hsien-Shou of Hua-Yen, which sought to eliminate phenomena and thought about them, in favour of intuition]
중국 당(唐)나라 때 고승으로 화엄종의 제3조인 현수(賢首, 643-712)가 세운 10종(宗)의 하나. 『유마경』 등에 말한 교(敎). 만유의 모양이나, 이를 인식하는 심상(心想)이 함께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한 종지(宗旨).
콘사이스 판 불교사전(민족사:김승동 편저)에서 모셔왔습니다.

성불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