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해진미(山海珍味)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아주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이란 뜻으로, 온갖 귀한 재료로 만든 맛, 좋은 음식을 말한다.
山 : 메 산(山/0)
海 : 바다 해(氵/7)
珍 : 보배 진(王/5)
味 : 맛 미(口/5)
(유의어)
고량진미(膏粱珍味)
산진해미(山珍海味)
산진해착(山珍海錯)
산진해찬(山珍海饌)
수륙진미(水陸珍味)
수륙진찬(水陸珍饌)
해륙진미(海陸珍味)
출전 : 위응물(韋應物)의 장안도시(長安道詩)
산해(山海)는 산과 바다 곧 자연을 말하며, 진미(珍味)는 보배로운 맛 즉, 아주 진귀한 음식을 뜻한다. 따라서 산과 바다에서 나는 갖가지 귀한 산물들로 차려 놓은 음식을 말할 때 쓰인다. 위응물(韋應物)이 저술한 장안도시(長安道詩)에 나오는 말이다.
중국에서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 가운데 하나인 식욕을 만족하기 위해서 다양한 음식이 발달되어 있다. 중국인들은 스스로가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처럼 여긴다(民以食爲天 민이식위천)’라고 할 정도로 먹는 것을 즐기고 중시한다. 따라서 요리 수가 많으며, 별의별 음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런 음식을 산해진미(山海珍味)라고 한다.
산해진미는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진식(珍食: 진기한 음식)으로, 연와(燕窩: 바다 제비집 요리), 녹근(鹿筋: 사슴 힘줄 요리), 부포(鳧脯: 뜸부기 포) 등이 있다. 기식(奇食: 기이한 음식)으로, 타봉(駝峰: 낙타 혹으로 만든 음식), 은이(銀耳: 버섯의 일종) 등이 있다. 잔식(殘食: 잔인한 음식)으로, 성순(猩脣: 고릴라 입술로 만든 음식), 후뇌(원숭이 뇌로 만든 음식), 웅장(熊掌: 곰 발바닥으로 만든 음식) 등이 있다.
위응물(韋應物)은 당(唐)나라 시인이며, 산시성(陝西省) 창안(長安) 출생으로 젊어서 임협(任俠)을 좋아하여 현종(玄宗)의 경호책임자가 되어 총애를 받았다. 현종 사후(死後)에는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 좌사낭중(左司郞中), 쑤저우자사(蘇州刺史) 등을 역임하였다.
그의 시에는 전원산림(田園山林)의 고요한 정취를 소재로 한 작품이 많으며, 당나라의 자연파 시인의 대표자로서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게 왕맹위유(王孟韋柳)로 병칭되었다. 참고로 중국 지도자들이 장수(長壽)하는 이유는 중국 지도자들이 장수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중국의 8대 원로 중 가장 오래 산 보이보(薄一波) 전 국무원 부총리는 99세의 천수를 누렸고, 펑전(彭眞) 전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95세에 사망했다. 중국 개혁개방의 아버지 덩샤오핑(鄧小平)은 젊은 시절 3차례나 실각하고 홍위병의 공격으로 맏아들이 불구가 되는 견디기 힘든 고통을 겪었지만, 93세까지 살았다. 정치 지도자는 아니지만 중국 원로 문인으로 존경받던 바진(巴金)은 무려 101세를 향유(享有)했다. 이 정도면 83세를 산 마오저뚱(毛澤東)은 단명(短命)했다는 느낌마저 든다.
중국 음식은 종류가 다양하고 맛이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지만, 기름기가 많아 건강과는 거리가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그럼에도 중국 최고 지도자들이 90세를 우습게 넘기는 데는 어떤 비결이 숨어 있을까? 그들은 남들이 평생 구경조차 못하는 신비한 약재나 음식을 먹는 것일까?
중국 지도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먹는지는 한동안 비밀에 속했다. 최근 북경군구(北京軍區) 총의원의 전 영양과 주임 리레이펀(李瑞芬)이 그 비밀의 일부를 공개했다. 북경군구 총의원은 모택동, 등소평 등 역대 최고 지도자들이 진료를 받던 곳이다.
리레이펀 주임이 공개한 중국 영도자 식사는 9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잡곡을 많이(多粗粮) 섭취하고, ②고기는 적게(少肉) 섭취하고, ③하루 25종의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고, ④70%만 배부르게(七成飽) 먹으며, ⑤간식은 두 번(兩頓零食) 먹되 요구르트 반잔이나 견과류 혹은 과일을 조금만 먹는다. ⑥요리는 저염(低鹽), 저지방(低脂), 고섬유질(高纖維)식으로 만들며, ⑦심장기능 강화와 뇌 건강을 위해 살구씨(杏仁), 참깨(芝麻), 호도(核桃), 포도주(葡萄酒) 등을 많이 섭취하고, ⑧음주 전 반드시 비타민B가 풍부한 식품(維生素B群)으로 가볍게 요기하며, ⑨지속적으로 운동(鍛煉身體)을 한다는 것이다.
이를 보면, 13억의 지도자들이라고 해서 대단한 장수 비결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평소 들어오던 건강상식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시황(秦始皇) 이래 수많은 중국 황제들이 불로장생(不老長生)을 꿈꾸며 비방을 구했지만, 결국 평범함 속에 진리가 숨어있었던 셈이다.
리레이펀 전 주임은 지도자들의 식단은 일반인이 상상하는 것처럼 산해진미로 가득 찬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반대라며 잡곡을 많이 먹고 고기를 적게 섭취하는 등, 일반 국민들도 따라 할 수 있는 식단이라고 말했다. 그는 매일 25종의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여 영양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네다리 동물(소, 돼지, 양 등)보다는 두 다리 동물(닭, 오리), 두 다리 동물보다는 다리 없는 것(어류)이 영양적으로 낫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중국 지도자들의 식사 메뉴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일까.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아침은 우유 반잔, 좁쌀죽(小米粥) 한 그릇, 연밥스프(蓮子羹), 마장(麻醬)에 찍어먹는 빵, 밑반찬 한 접시 등으로 매우 평범하다. 점심은 팥밥이나 율무밥에 10가지 이상의 식품이 들어간 모듬 뚝배기찌개(什錦沙鍋) 같은 것이 주 메뉴다. 저녁상에는 좁쌀죽에 가지를 넣은 붕어완자(鯽魚丸子) 같은 메뉴가 오른다. 일반인이 상상하는 희귀한 약재나 음식은 없다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간식으로 견과류를 즐겨 먹었던 지도자는 91세까지 살았던 천윈(陳雲)이다. 그는 매일 13개의 땅콩(花生)을 먹고 13분동안 산보하며, 손님을 만나는 시간은 3분으로 제한했다고 한다. 유명한 영양학자인 그의 아내 루오무(若木)는 또 다섯 과일로 보충한다(五果爲助 오과위조)는 원칙을 정해 남편이 식사 후 바나나 등 과일을 섭취하게 했다.
중국 지도자들은 또 뇌와 심장의 건강을 위해 콩류는 물론 살구씨 참깨 호도 포도주 등을 즐겨 먹으며, 외국 귀빈과 술자리가 있을 때는 반드시 사전에 비타민B가 풍부한 음식으로 간단히 요기를 하고 전투에 들어간다고 리레이펀 주임은 밝혔다.
중국 지도자치고 좋아하는 운동이 없는 사람이 없다고 중국 언론은 전했다.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탁구가 수준급이고, 원자바오(溫家宝) 총리는 달리기와 야구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02세인 한 퇴역장군은 젊었을 때부터 테니스를 시작해 88세까지 쳤다고 한다. 그는 당시 매주 4~5회, 매회 1~2시간씩 테니스를 했다는 것이다.
중국 지도자들이 먹는 음식이 생각보다 간단하긴 하지만, 안전을 위해 쌀 등 식재료는 물론 술과 물까지도 모두 특별 공급한다고 중국 언론은 전했다. 최고의 제품만이 중남해(中南海; 자금성 옆 최고 지도부 업무, 거주지)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산해진미(山海珍味)
온갖 진귀한 재료로 만든 음식
산과 바다, 그러니까 뭍과 물의 온갖 진귀한 재료로 만든 음식이 산해진미(山海珍味)다. 고량진미(膏粱珍味), 수륙진미(水陸珍味), 수륙진찬(水陸珍饌), 해륙진미(海陸珍味), 산진해미(山珍海味), 산진해찬(山珍海饌) 다 같은 뜻이다.
당의 시인 위응물(韋應物·737~804)의 시 ‘장안도(長安道)’에는 산진해착(山珍海錯)이라는 말이 나온다. 이것도 산해진미와 같은 말인데, 줄여서 진착이라고 한다. 錯에는 섞인다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라는 말로 쓰였다. 중국인들은 산해진미라고 하는 우리와 달리 산진해착(山珍海錯), 산진해미(山珍海味)라는 말을 쓴다. ‘장안도’는 당의 수도 장안 거리의 화려함을 노래한 시다.
한문학자 김언종 고려대 교수에 의하면 궁사극치(窮奢極侈), 사치가 극에 달한 모습을 묘사했다. “산해진미는 쓰레기처럼 버리고, 진귀한 음식도 나물국 정도로 여기네(山珍海錯棄藩籬 烹犢炰羔如折葵)” 이런 식이다. 여기 나오는 번리(藩籬)는 울타리, 즉 쓰레기를 버리는 곳을 말한다. 진귀한 음식으로는 삶은 송아지[烹犢], 구운 새끼 양[炰羔]을 예로 들었다.
꽤 긴 시인데, 음식 이야기 다음 마지막 대목은 이렇다. “제후에 봉해 달라 했다가 군직(軍職)을 받아, 증표로 받은 금도장일랑 종놈에게 줘버리네. 환락과 영화가 이 같으니 무엇이 정말 괴로운가, 다만 해가 서남으로 기우는 거라네(既請列侯封部曲 還將金授印廬兒 歡榮若此何所苦 但苦白日西南馳).” 잘 먹고 잘사는 사람들은 언제나 해가 저물고 나이 드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소주(蘇州)자사를 지낸 위응물은 소주에서 죽어 ‘위소주(韋蘇州)’라고 불린다. 그의 시에는 맑고 순박한 자연의 정서가 넘쳐흐른다. 장안도 시에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처럼 여긴다(民以食爲天)”는 말이 나온다고 설명한 자료가 인터넷에 꽤 많다. 하지만 알아보니 그건 사실이 아니었다.
▶️ 山(메 산)은 ❶상형문자로 산의 봉우리가 뾰족뾰족하게 이어지는 모양을 본떴다. 옛 자형(字形)은 火(화; 불)와 닮아 옛 사람은 산과 불이 관계가 깊다고 생각한 듯하다. ❷상형문자로 山자는 ‘뫼’나 ‘산’, ‘무덤’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山자는 육지에 우뚝 솟은 3개의 봉우리를 그린 것으로 ‘산’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山자를 보면 가파른 능선이 그려져 있어서 한눈에도 이것이 산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山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산의 이름’이나 ‘산의 기세’나 ‘높다’와 같이 ‘산’에서 연상되는 여러 의미로 활용된다. 그래서 山(산)은 (1)둘레의 평평(平平)한 땅보다 우뚝하게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部分). 메 (2)산소(山所) (3)사물이 많이 쌓여 겹치거나, 아주 크거나, 매우 많은 것에 비유한 말, 또는 그것 (4)산이나 들에 절로 나는 것을 뜻하는 말 (5)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메(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뫼 ②산신(山神: 산신령), 산의 신(神) ③무덤, 분묘(墳墓) ④절, 사찰(寺刹) ⑤임금의 상(象) ⑥산처럼 움직이지 아니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큰 산 악(岳),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내 천(川), 강 강(江), 물 하(河), 바다 해(海), 물 수(水)이다. 용례로는 여러 산악이 잇달아 길게 뻗치어 줄기를 이룬 지대를 산맥(山脈), 들이 적고 산이 많은 지대를 산지(山地), 산과 물으로 자연의 산천을 일컫는 말을 산수(山水), 물건이나 일이 산더미처럼 많이 쌓임을 산적(山積), 산과 숲 또는 산에 있는 수풀을 산림(山林), 크고 작은 모든 산을 산악(山岳), 산 꼭대기를 산정(山頂), 산 위에 쌓은 성을 산성(山城), 무덤을 높이어 이르는 말을 산소(山所), 산 속에 있는 절을 산사(山寺), 산과 산 사이로 골짜기가 많은 산으로 된 땅을 산간(山間), 산의 생긴 형세나 모양을 산세(山勢), 산 속에 있는 마을을 산촌(山村), 산에 오름을 등산(登山), 강과 산으로 자연이나 나라의 영토를 강산(江山), 높고 큰 산으로 크고 많음을 가리키는 말을 태산(泰山), 높은 산을 고산(高山), 산에서 내려옴을 하산(下山), 신령스러운 산을 영산(靈山), 연달아 잇닿은 많은 산을 군산(群山), 조상의 무덤이나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을 선산(先山), 산에 들어감을 입산(入山), 나무가 무성하여 푸른 산을 청산(靑山), 돌이나 바위가 없이 흙으로만 이루어진 산을 토산(土山), 유용한 광물을 캐어 내는 산을 광산(鑛山), 눈이 쌓인 산을 설산(雪山), 들 가까이에 있는 나지막한 산을 야산(野山), 산을 좋아함을 요산(樂山), 산에서 흐르는 물이 바위를 뚫는다 뜻으로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산류천석(山溜穿石), 산에서의 싸움과 물에서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난을 다 겪어 세상일에 경험이 많음을 산전수전(山戰水戰), 산빛이 곱고 강물이 맑다는 뜻으로 산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을 산자수명(山紫水明),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아주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을 산해진미(山海珍味), 경치가 옛 모습 그대로 변하지 않음을 산천의구(山川依舊) 등에 쓰인다.
▶️ 海(바다 해)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每(매, 해)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每(매)는 母(모)와 같아서 애를 낳는 사람, 출산이나 결혼은 어두운 때와 관계가 있어 每(매)는 어둡다는 뜻도 나타낸다. 또 중국 북방의 사람이 볼 수 있었던 바다는 검고 크고 어두운 것이었다. ❷회의문자로 海자는 ‘바다’나 ‘바닷물’, ‘크다’, ‘널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海자는 水(물 수)자와 每(매양 매)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每자는 비녀로 머리를 단정하게 묶고 있는 어머니를 그린 것이다. 고대 모계사회에서는 대지나 바다를 ‘여성’에 비유하곤 했다. 海자는 그러한 인식이 반영된 글자로 ‘어머니의 물’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중국의 초기국가인 상(商)나라는 내륙 깊숙한 지역에 있었기 때문에 갑골문에서는 海자가 등장하지 않았다. 海자가 처음 등장한 것은 금문 이후로 지금의 모습과 거의 유사하다. 그래서 海(해)는 (1)나라에서 신성시(神聖視)하여 가물 때에 제사(祭祀)를 지내던 세 바다. 동해(東海)는 양양(襄陽)에서, 남해(南海)는 나주(羅州)에서, 서해(西海)는 풍주(豊州)에서 각각 제사를 지냈다. 악(嶽). 독(瀆)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바다 ②바닷물 ③많이 모인 곳 ④물산(物産)이 풍부한 모양 ⑤널리 ⑥크게 ⑦어둡다 ⑧크다, 넓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내 천(川), 강 강(江), 물 하(河), 큰 바다 양(洋), 물결 랑/낭(浪), 시내 계(溪), 바다 명(溟), 큰 바다 창(滄), 바다 영(瀛), 물 수(水),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메 산(山), 뭍 륙/육(陸), 빌 공(空)이다. 용례로는 바다 밖의 다른 나라라는 뜻으로 외국을 일컫는 말로 해외(海外), 넓은 바다를 해양(海洋), 바다에서 전투를 맡아 하는 군대를 해군(海軍), 바다 속에 들어가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자를 해녀(海女), 바닷가의 언덕이나 기슭을 해안(海岸), 바다 밑바닥을 해저(海底), 바다의 일정한 구역을 해역(海域),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라는 뜻으로 나라 안을 일컫는 말로 해내(海內), 뭍이나 산이 평균 해면에 비하여 높은 정도를 해발(海拔), 바다 속에서 나는 풀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해초(海草), 육지 사이에 끼여서 양쪽의 넓은 바다로 통하는 좁고 긴 바다를 해협(海峽), 바다와 땅이 서로 잇닿은 곳이나 그 근처를 해변(海邊), 해상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를 해리(海里), 바다를 다니며 배를 습격하여 재물을 빼앗는 도둑을 해적(海賊),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해풍(海風), 얼굴에 웃음을 띰을 해안(海顔), 이룰 수 없는 바람을 해지(海志), 괴로운 인간세계를 고해(苦海), 벼루를 달리 일컫는 말로 묵해(墨海), 넓고 깊은 불교의 세계를 법해(法海), 넓은 지역에 걸쳐 우거져 있어서 바다처럼 보이는 큰 숲을 임해(林海), 동쪽의 바다를 동해(東海), 서쪽에 있는 바다를 서해(西海), 배로 바다 위를 항해함을 항해(航海), 영토에 딸려 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바다를 영해(領海), 육지에 가까운 바다를 근해(近海), 육지 가까이 있는 대륙붕을 덮고 있는 바다를 연해(沿海), 육지와 바다를 육해(陸海), 넓고 큰 바다를 창해(滄海), 넓고 큰 바다를 대해(大海),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음의 뜻으로 임금의 좋은 정치로 백성이 편안하다는 해불양파(海不揚波), 바다에서 천 년 산에서 천 년을 산 뱀은 용이 된다는 뜻으로 오랜 경험으로 세상 안팎을 다 알아 지나치게 약삭빠름 또는 그런 사람을 해천산천(海千山千), 바다 물은 짜고 민물은 맛이 담백하다는 해함하담(海鹹河淡), 산과 같고 바다와 같이 매우 크고 많다는 여산약해(如山若海), 하늘 같이 높고 바다 같이 깊다는 여천여해(如天如海) 등에 쓰인다.
▶️ 珍(보배 진)은 형성문자로 珎(진)의 본자(本字), 錱(진)은 고자(古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구슬옥변(玉=玉,玊; 구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적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 (진)으로 이루어졌다. 좀처럼 없는 구슬의 뜻이다. 그래서 珍(보배 진)은 ①보배, 보물(寶物) ②맛있는 음식(飮食) ③진귀(珍貴)하다, 희귀(稀貴)하다 ④진귀하게 여기다 ⑤소중(所重)히 여기다 ⑥귀중하다, 소중하다 ⑦성(姓)의 하나,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보배 보(寶)이다. 용례로는 보배롭고 귀중함을 진귀(珍貴), 희귀하고 아름다움을 진가(珍嘉), 희귀하고 기이함을 진기(珍奇), 음식의 썩 좋은 맛 또는 그런 음식을 진미(珍味), 귀중한 손님을 진객(珍客), 진귀한 물품을 진품(珍品), 진귀한 보배를 진보(珍寶), 맛이 좋은 음식으로 많이 잘 차린 것을 뜻하여 성대하게 차린 진귀한 음식을 이르는 말을 진수성찬(珍羞盛饌), 맛있는 음식과 좋은 안주를 이르는 말을 진미가효(珍味佳肴), 뜻밖에 닥친 재난이나 뜻밖의 진기한 일을 이르는 말을 진사중요(珍事中夭),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아주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이란 뜻으로 온갖 귀한 재료로 만든 맛이라는 말을 산해진미(山海珍味),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썩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을 이르는 말을 산진해착(山珍海錯), 살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을 이르는 말을 고량진미(膏粱珍味), 산과 바다에서 나는 진귀하고 맛있는 것을 이르는 말을 수륙진찬(水陸珍饌) 등에 쓰인다.
▶️ 味(맛 미, 광택 매)는 ❶형성문자로 苿(미)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입 구(口; 입, 먹다,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未(미)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음(音)을 나타내는 未(미)는 나무 끝의 가느다란 작은 가지, 잘고 희미하다의 뜻이다. 나무 끝에 여는 과일도 각각 조금씩 다른 데가 있고 미묘한 맛이 난다. 그래서 未(미)를 맛이란 뜻으로 썼으나 나중에 未(미)의 다른 쓰임과 구별(區別)하여 먹는 것에 관계(關係)가 있음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입 구(口; 입, 먹다, 말하다)部를 붙여서 味(미)라 쓴다. ❷회의문자로 味자는 ‘맛’이나 ‘기분’, ‘의미’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味자는 口(입 구)자와 未(아닐 미)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未자는 ‘아직~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본래는 나무 끝의 가느다란 가지를 뜻하던 글자였다. 음식의 맛을 느끼거나 구별하는 데는 세밀한 감각이 필요하다. 그래서 가느다란 나뭇가지를 강조한 未자는 맛의 미세한 차이를 느낀다는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味(미, 매)는 ①맛 ②기분(氣分) ③취향(趣向) ④뜻, 의의(意義) ⑤육진의 하나 ⑥오랑캐의 음악(音樂) ⑦맛보다 ⑧맛들이다, 그리고 ⓐ광택(光澤), 윤(매) ⓑ빛깔(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맛을 느끼는 감각을 미각(味覺), 내용을 충분히 음미하면서 읽는 일을 미독(味讀), 양념으로 쓰는 재료를 미료(味料), 어떤 맛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 또는 그러한 사람을 미맹(味盲), 말이나 글이 지니는 뜻이나 내용 또 그 의도나 동기나 이유 따위를 의미(意味), 어떠한 사물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감정을 흥미(興味), 마음에 끌려 일정한 방향으로 쏠리는 흥미를 취미(趣味), 음식을 대하거나 맛을 보았을 때 느끼게 되는 먹고 싶은 충동을 구미(口味), 시나 노래를 읊어 그 맛을 봄 또는 사물의 의미를 새겨 궁구함을 음미(吟味), 맛이나 재미가 취미가 의미가 없음을 무미(無味), 유달리 좋은 맛으로 늘 먹는 것과는 다르게 만든 좋은 음식을 별미(別味), 음식에 다른 식료품이나 양념을 더 넣어 맛이 나게 함을 가미(加味), 음식의 맛을 고르게 맞춤을 조미(調味), 음식의 썩 좋은 맛 또는 그런 음식을 진미(珍味), 맛 보기 위하여 조금 먹어봄을 상미(嘗味), 음식의 고상한 맛 또는 사람의 됨됨이가 멋들어지고 아름다움을 풍미(風味),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아주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이란 뜻으로 온갖 귀한 재료로 만든 맛이나 좋은 음식을 일컫는 말을 산해진미(山海珍味), 살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을 일컫는 말을 고량진미(膏粱珍味), 말이나 글의 뜻이 매우 깊음을 일컫는 말을 의미심장(意味深長), 하는 말이 재미없다는 뜻으로 독서를 하지 않는 사람의 말은 맛없음을 이르는 말을 어언무미(語言無味), 근심이나 걱정 따위로 음식 맛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식불감미(食不甘味), 재미나 취미가 없고 메마름을 이르는 말을 무미건조(無味乾燥), 흥미를 잃어 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을 흥미삭연(興味索然)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