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詩 한 수] 화공(畵工)의 솜씨
爲愛紅芳滿砌階(위애홍방만체계),
섬돌 아래 가득 핀 붉은 꽃을 좋아하여,
敎人扇上畵將來(교인선상화장래).
사람 불러 그걸 부채에 그려 넣으랬지.
葉隨彩筆參差長(엽수채필참차장),
붓질 따라 잎사귀 들쭉날쭉 돋았고,
花逐輕風次第輕(화축경풍차제경).
가벼운 바람 타고 꽃송이가 차례로 피어났지.
閑掛幾曾停蛺蝶(한괘기증정협첩),
벽에다 걸어두자 여러 번 나비가 날아들었고,
頻搖不怕落莓苔(빈요불파락매태).
제아무리 흔들어도 꽃잎이 이끼 위에 떨어질 염려 없었지.
根生無地如仙桂(근생무지여선계),
땅 없이 뿌리 내렸으니 이게 바로 천상의 계수나무,
疑是姮娥月裏栽(의시항아월리재).
어쩌면 항아가 달 속에 심은 놓은 게 아닐는지.
―‘부채 위에 그린 모란(선상화목단·扇上畵牧丹)’ 라은(羅隱·833∼909)
큼직하고 풍성한 꽃송이 때문인지 모란(牡丹, Peony)은 부귀영화(富貴榮華)와 만사형통(萬事亨通)의 표상으로 각인되어 있다. 당대에는 제왕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모란 사랑이 각별해서 장안을 중심으로 모란 재배가 유행했고 한 포기에 집값에 버금가는 고가로 거래되기도 했다. 당시 모란은 ‘국색(國色)’ 즉 나라를 대표할 만한 꽃으로 비유되곤 했다.
'집채와 뜰을 오르내릴 수 있게 만든 돌층계 섬돌 아래 가득 핀 붉은 꽃’을 보며 시인은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시나브로 사라질 꽃의 운명을 떠올린다. 시제(詩題)를 보니 ‘붉은 꽃’의 정체는 바로 모란. 이걸 오래 곁에 두려고 시인은 부채를 동원한다. 화공(畵工)의 붓질에 따라 모란의 잎사귀와 꽃이 스르륵 뻗어나는 기운이 느껴진다. 나비마저 착각할 만큼 사물을 아주 닮은 핍진(逼眞)한 필치인 데다, 이끼 위로 스러질 염려도 없으니 부채 속 모란이야말로 천상의 선녀 항아(姮娥)가 빚은 고귀한 꽃임이 분명하다. 모란 예찬으로 출발하는가 싶더니 결국은 화공에 대한 찬탄이 되었다.
*항아(姮娥)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 상아(嫦娥; 창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전한 시대 항아의 '항(姮)'자가 문제(文帝)의 이름인 '항(恒)'자와 발음이 같아 피휘하여 '상(嫦)'자로 쓰게 되었기 때문이다. 소아라고도 부른다.
중국 전설에 따르면 항아는 삼황오제의 한 사람으로도 꼽히는 고대의 제왕이자 신인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의 딸이자 그 미모에 견줄 자 없다는 여신이다. 그 때문인지 옛 한자문화권 국가에서는 여성의 외모를 칭찬하는 용어로 쓰기도 했다. 도교 전설에서 항아는 월궁(月宮)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숭배받고 있어, 중추절에는 항아에게 제를 올린다.
✵라은(羅隱, 833~909)은 중국 당나라 말기의 시인이며, 본명(本名)은 횡(橫), 字는 소간(昭諫)이다. 저작좌랑(著作佐郎), 간의대부(諫議大夫), 급사중(給事中) 등 벼슬을 역임했다. 어려서부터 문재(文才)가 있었으며, 시를 잘 했는데 특히 영사시(詠史詩)에 뛰어나 이름이 높았다. 젊을 때부터 실력이 아주 뛰어나 유명해졌지만, 859년 말에 처음으로 진사 시험을 보고 약 12년간 10여번 떨어지자, 스스로 이름을 음(陰)으로 고쳤다고 한다. 문어체(文語體)보다는 당(唐)나라 대에 발생하여, 송(宋), 원(元), 명(明), 청(淸) 시대를 거치면서 확립된 중국어의 구어체인 백화문(白話文)이나 속어(俗語)를 쓰는 경향이 있었으며 봉(蜂)과 더불어, 자견(自遣)과 강남곡(江南曲)이라는 시가 유명하다. 이 시에서 시인은 꿀벌의 근면 성실함을 예찬하며, 노동을 하지 않고 이득을 취하려는 탐욕스로운 사람들을 풍자하고 있다. 많은 저작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것은 ≪참서(讒書)≫, ≪갑을집(甲乙集)≫, ≪양동서(兩同書)≫ 등(等)이다.
不論平地與山尖(불논평지여산첨)
평지와 산봉우리 가리지 않고
無限風光盡被占(무한풍광진피점)
꽃 핀 곳은 모두 꿀벌이 차지했네
采得百花成蜜後(채득백화성밀후)
온갖 꽃 채집해 꿀을 만든 뒤
爲誰辛苦爲誰(위수신고위수첨)
누굴 위해 고생하고 누굴 위해 달게 만들었을까
―벌[蜂]·라은(羅隱·833∼909)
<주석(註釋)>
*산첨(山尖) : 산정(山顶)、산봉(山峰); 산봉우리, 산꼭대기 등 산의 윗부분을 말함.
*풍광(風光) : 풍경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꽃이 만개한 전경을 말함.
<시 분석>
"벌(봉 蜂)"은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중의 하나이고, 칠언절구(七言絶句)로 쓰인 영물시(詠物詩: 『문학』 자연과 현실 속에서 구체적인 사물을 대상으로 하여 정확하고 세밀하게 묘사한 시 가운데 하나.)이다. 앞 두 줄에서는 아름다운 자연과 만개한 꽃, 쉴 새 없이 꿀을 채집하러 다니는 꿀벌을 서술하였다. 뒤 두 줄에서는 꿀을 열심히 채집하지만, 공은 타인에게 넘어가 노력이 헛수고가 되는 모습이 그려진다.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왕서방이 .... 어릴 때는 중국학교에서 이 시를 접했을 때는, 자본계급에게 착취당하는 노동인민의 모습이라고 외웠는데, 지금 보면 남의 노력으로 본인의 배를 채우는 그냥 나쁜 사람들을 싸잡아서 풍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언근지원(言近旨遠)
글은 어렵지 않지만, 말하고자 하는 뜻은 심오하다. 말이나 글이 쉬우면서도 깊은 뜻을 지녀 두고두고 그 맛과 의미를 음미할 수 있으니 아주 맘에 드는 시다.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 〈이준식의 漢詩 한 首(이준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동아일보 2024년 08월 09일(금)〉, Daum∙Naver 지식백과/ 이영일 ∙ 고앵자 생명과학 사진작가 ∙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