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 제공 카드리뷰
책소개
10여 년간 새로운 동시와 동시인을 주목 · 발굴하며 활발히 지평을 넓혀 온 문학동네동시문학상 제11회 수상작은 박정완의 『고양이 약제사』이다. “우리 동시가 그에 이르러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으리라는 즐거운 예감이 든다.”(유강희)라는 기대 섞인 평을 받으며 이번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을 수상하기 전까지 박정완 시인은 오랜 시간 약사의 길을 걸었다. 이후 글, 그림을 모두 창작하는 그림책 작가로 활동했고, 2020년에는 창비어린이 동시 부문 신인문학상을 받았다. 『고양이 약제사』는 시인이 걸어온 모든 갈림길마다의 풍경이 오롯이 담긴 그의 첫 동시집이다.
「고양이 약제사」는 표제작이기도 하지만, 시인은 ‘시인의 말’을 통해 스스로를 직접 ‘고양이 약제사’라 칭한다. 그렇다면 그가 ‘처방’하는 시편들을 무엇으로 볼 수 있을까? 『고양이 약제사』는 독자를 새로운 차원의 시공간으로 순식간에 끌고 들어간다. 달빛 내린 밤 곤충들의 런웨이를 엿보거나(「달빛 런웨이」) 초록 연미복이 붉게 물들 때까지 사마귀와 춤추고(「섈 위 댄스」), 책 속으로 풀썩 들어가 호크니, 엘리자베스 여왕, 달라이 라마를 만나며(「엄마와 함께 도서전에 갔다」) “예상을 비껴가는 감각의 설계가 우리를 얼마나 멀리 데려갈 수 있는지”(김개미) 보여 준다.
시인의 맑고 투명한 눈을 경유해 펼쳐지는 “숨 막힐 정도로 무모하고 아름다운 이 시적 여정”(유강희) 속에는 간절한 기도가 담겨 있다. “나비처럼 가볍고/ 물방울처럼 빛나는/ 기도처럼 아름다운, 그런// 시를 써 주세요.”(「시인에게」) 이 시집은 그에 대한 시인 스스로의 응답이자 시로서, 아니 시처럼 살고자 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처방이다.
목차
1부 눈물 나라의 여왕
좋아해 10
투명 젤리 12
로스코 아저씨가 옆집에 산다면 14
깜박 가족 18
고양이 똥에 관한 사실 20
나쁜 약속 22
여기는 병실 24
눈물 나라의 여왕 26
달빛 런웨이 28
2부 밝은 내 귀를 켜고
7월의 비 갠 아침 32
세뱃돈을 받았다 34
동그라미의 정체 38
엄마와 함께 도서전에 갔다 40
모기 미라 42
귀 밝은 아이 44
시인에게 46
오이 2 48
갈등 50
도도새 52
3부 뎅구르르 길이 활짝 열리면
머리 굴리기 56
홍콩 찻잔 58
달개비 60
우산나물 61
물리의 법칙 62
셋집 구하기 64
삼신할미 오시기 전에 66
노란 달 67
4부 초록 가방 어깨에 메고
숲속으로 모험을 떠날 거야 70
오이 1 74
너를 잡아먹을 테다 75
위대한 따라쟁이 76
알았어 78
으스스한 정원 80
구렁이의 드레스 82
섈 위 댄스 85
5부 비밀의 숲 문을 열어
양털을 빗으면 90
고적대 아이 92
안개 낀 숲에서 일어난 일 94
고양이 약제사 96
파란 물감 98
단 하나의 숫자, 4 100
목성 탈출 102
쇠다리 시인 104
해설_유강희 109
추천글
우리 동시가 그에 이르러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으리라는 즐거운 예감이 든다. 세계의 비밀을 숨기고 있는 유머와 동화적 상상력이 만나 독특한 시적 아우라를 뿜어 내고 있다. 숨 막힐 정도로 무모하고 아름다운 이 시적 여정을 발견하는 기쁨이 크다.
- 유강희 (시인)
무엇보다 상상의 세계를 펼쳐 보여 줄 뿐 메시지를 전달하려 하지 않아서 좋았다. 예상을 비껴가는 감각의 설계가 우리를 얼마나 멀리 데려갈 수 있는지, 개성은 유려한 문장보다는 유연한 상상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드러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 김개미
참으로 정돈된 시다. 그림이 그려지는 동시, 흠잡을 데라곤 없는 맨드리가 고운 동시 편편이다.
- 이상교 (동화작가.동시인)
저자 및 역자소개
박정완 (지은이)
오랜 시간 약사의 길을 걸었습니다. 2020년 제12회 창비어린이 동시 부문 신인문학상, 2022년 『고양이 약제사』로 제11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림책 『아기 쥐가 잠자러 가요』 『숲속 약국 놀이』를 지었고, 『하늘정원』 『우리 아기 코 잘 때 엄마는』 『엄마, 어디 있어요?』 『유리 씨앗』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수상 : 2022년 문학동네 동시문학상, 2010년 볼로냐국제아동도서전수상작
최근작 : <고양이 약제사>,<숲 속 약국 놀이>,<아기 쥐가 잠자러 가요> … 총 8종 (모두보기)
현민경 (그림)
산속에서 이야기를 만들고 그림을 그리며 살고 있습니다. 『고양이 약제사』의 ‘내’가 되어 느낀 슬픔과 아픔, 기쁨을 그림에 고스란히 담았습니다. 쓰고 그린 책으로 『쭈삐르와 커다란 김밥』 『별에서 온 쭈삐르』 『포도 꿀꺽』 『농부 할아버지와 아기 채소들』 『팔이 긴 사람이 있었습니다』가 있습니다.
최근작 : <쭈삐르와 커다란 김밥>,<포도 꿀꺽>,<농부 할아버지와 아기 채소들> … 총 9종 (모두보기)
SNS : //instagram.com/hyun_minkyung
출판사 제공 책소개
"우리 동시가 그에 이르러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으리라는
즐거운 예감이 든다." _유강희(시인, 심사위원)
#문학동네동시문학상대상 #동심 #존재 #자아탐구 #판타지 #예술
냐옹! 난 진정한 고양이 약제사야
제11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 수상작 『고양이 약제사』
10여 년간 새로운 동시와 동시인을 주목 · 발굴하며 활발히 지평을 넓혀 온 문학동네동시문학상 제11회 수상작은 박정완의 『고양이 약제사』이다. “우리 동시가 그에 이르러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으리라는 즐거운 예감이 든다.”(유강희)라는 기대 섞인 평을 받으며 이번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을 수상하기 전까지 박정완 시인은 오랜 시간 약사의 길을 걸었다. 이후 글, 그림을 모두 창작하는 그림책 작가로 활동했고, 2020년에는 창비어린이 동시 부문 신인문학상을 받았다. 『고양이 약제사』는 시인이 걸어온 모든 갈림길마다의 풍경이 오롯이 담긴 그의 첫 동시집이다.
냐옹!
머리 아픈 두더지에겐 버드나무 껍질
재채기하는 토끼에겐 생강즙
기절한 생쥐에겐 두꺼비독으로 약을 지어 줘
냐옹!
‘모든 약은 독이다.’
이건 약물학 첫 시간에 배우는 가르침
그러니까 약제사냐 독제사냐, 그것이 문제로다
냐옹!
독제사가 되지 않기 위해
약을 꼭 필요한 곳에, 꼭 필요한 만큼 써야 해
난 진정한 고양이 약제사야
냐옹!
무엇보다 기절한 생쥐를 절대 잡아먹지 않아
_「고양이 약제사」 전문
「고양이 약제사」는 표제작이기도 하지만, 시인은 ‘시인의 말’을 통해 스스로를 직접 ‘고양이 약제사’라 칭한다. 그렇다면 그가 ‘처방’하는 시편들을 무엇으로 볼 수 있을까? 『고양이 약제사』는 독자를 새로운 차원의 시공간으로 순식간에 끌고 들어간다. 달빛 내린 밤 곤충들의 런웨이를 엿보거나(「달빛 런웨이」) 초록 연미복이 붉게 물들 때까지 사마귀와 춤추고(「섈 위 댄스」), 책 속으로 풀썩 들어가 호크니, 엘리자베스 여왕, 달라이 라마를 만나며(「엄마와 함께 도서전에 갔다」) “예상을 비껴가는 감각의 설계가 우리를 얼마나 멀리 데려갈 수 있는지”(김개미) 보여 준다. 시인의 맑고 투명한 눈을 경유해 펼쳐지는 “숨 막힐 정도로 무모하고 아름다운 이 시적 여정”(유강희) 속에는 간절한 기도가 담겨 있다. “나비처럼 가볍고/ 물방울처럼 빛나는/ 기도처럼 아름다운, 그런// 시를 써 주세요.”(「시인에게」) 이 시집은 그에 대한 시인 스스로의 응답이자 시로서, 아니 시처럼 살고자 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처방이다.
약제사냐 독제사냐, 그것이 문제로다
: 생의 감각과 존재 근원의 탐구
시집을 여는 첫 시 「좋아해」는 좋아하는 것을 하나둘 꼽는 아이의 당찬 목소리가 카랑카랑 울리는 듯하다. 아이는 하늘 나라에 있는 왕할아버지, 집 나간 고양이, 부서진 자동차처럼 이제는 다시 볼 수 없는 것들을 호명하며 그리워하지만 그럼에도 당연하게 미래를 꿈꾸고, 몰래 코딱지를 파먹는 무아지경의 순간으로 돌아와 생에 찰싹 달라붙는다. 이토록 자연스러운 어린이의 마음으로, 시인은 마치 ‘업사이드 다운’(위아래가 거꾸로 상반된 쌍행성이 항성을 따라 공전하는 세계)처럼 설계된 두 세계―삶과 죽음, 아이와 어른, 자연과 문명, 실존과 예술, 의식과 무의식―를 가볍게 오가며 기존의 개념을 부수고, 경계를 허물고 이으며 존재의 근원을 탐구한다.
우리는 해가 지는 길의 끝까지 달려가고 싶었어요
하지만 중간에 집으로 돌아왔어요, 배가 고팠거든요
엄 마 는 저 녁 밥 을
름 짓
구 고
색 라 보 엔 늘 하
아저씨,
만약에 아저씨가 우리 옆집에 산다면
함께 모락모락 김이 나는 저녁밥을 먹었을 텐데
그러면,
지독한 슬픔이 잊히고 아저씨의 빨간 네모가
덜 아름다웠을까요?
_「로스코 아저씨가 옆집에 산다면」 부분
엄마와 함께 전시를 본 뒤 화가가 그린 슬픔을 내내 떠올리던 아이는 “해가 지는 길의 끝까지 달려가고 싶”어하지만, 중간에 집으로 다시 돌아온다. 배가 고팠기 때문이다. 시인은 실존과 예술 사이에 서서 스스로에게, 독자에게 질문을 던진다. “덜 아름다웠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기 위해 우리는 네모난 시의 창을 열어 새로운 세계로 진입해야 한다. 마치 앨리스가 굴속으로 떨어지듯, 흰건반을 두 번 누르거나(「도도새」) 우리끼리(「머리 굴리기」) 초록 가방을 메고 길을 나서면(「숲속으로 모험을 떠날 거야」)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속이 시원해질 때까지 엉엉 울어도 괜찮고(「눈물 나라의 여왕」) 자세히 들여다보면 동그라미도 네모, 네모도 동그라미가 되는(「동그라미의 정체」), 내가 얼음! 하면 늑대조차 얼어붙는(「숲속으로 모험을 떠날 거야」) 그곳에서 ‘나’는 오로지 스스로의 마음으로 세계를 마주하고 경험하며 진정한 ‘나의 정체’에 점점 가까워질 수 있다.
투명 젤리를 먹고 투명 인간이 되면
: 독보적 동심, 세상을 그대로 비추는 마음
시인은 시 속에서 스스로 아이가 되기도, 아이(손녀)의 마음을 보듬고 안아 주는 할머니가 되기도 한다. 시인이 수상 소감에서 밝혔듯 동시가 “그동안 내 안의 아이에게 애써 덮어 두었던 보자기를 스르르 벗겨 냈기” 때문이리라. “귀 밝은 아이”가 아픔과 슬픔에 귀 기울이듯 “쇠다리 시인” 역시 낮게 자란 것들에 몸을 기울인다. 아이와 할머니는 ‘독보적 동심’을 지니고 있기에 나란한 눈으로 세상을 본다. 각박한 현실 앞에 통제되거나 애써 감추며 희미해졌던 동심은 시 앞에서 비로소 되살아나 아픈 육체로도 얼마든지 생명력으로 꿈틀대는 축제를 경험할 수 있고, 그 어떤 것에도 흔들리지 않는 꿈을 꿀 수 있다.
햇살 환한 어느 날 문득
나를 마주치더라도
너무 놀라지 마세요
아주아주 가끔은
이렇게 아름다운 드레스를 입은 내 모습을
자랑하고 싶어서 못 견디는 날이 있으니까요
_「구렁이의 드레스」 부분
시인은 눈앞의 세계를 투명한 마음에 그대로 비추어 낸다. “기절한 생쥐를 절대 잡아먹지 않는“ 독보적 약제사의 독보적 동심이다. 그렇기에 “투명 인간이 되면 너는 어떻게 할래?”라는 시인의 질문은 의미심장하다. 시인의 초대로 시 속을 거닐던 독자는 투명한 몸에 비친 세계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돌아 나와 자신의 삶을 다시 ‘독보적 동심’으로 바라보게 될 것이다. “‘독보’에 대한 꿈은 아이들이 가진 자연스러운 생심(生心)의 하나”(유강희)이기 때문이다. 시처럼 살아가기를 꿈꾸는 독보적 약제사, 독보적 시인의 꿈은 그렇게 독보적 동심으로서 이루어진다.
우리 신나게 놀자
지는 해에 우리가 온통 붉게 물들 때까지
그림책 『농부 할아버지와 아기 채소들』 『팔이 긴 사람이 있었습니다』 등을 통해 한껏 드러났던 현민경 화가의 개성은 더욱 적극적으로 독자를 시 속으로 초대한다. 시원시원하게 뻗친 선, 손짓하듯 살아 움직이는 화가의 유머러스한 그림은 시 안과 바깥을 자유롭게 오가며 새로운 해석을 낳는다. 마치 시집 전체가 또 하나의 캔버스인 듯 느껴지는 질감과 자유롭게 펼쳐지는 그림이 다시금 시 속 화가(로스코)와 시인, 화가를 연결 지으며 세계를 시집 바깥으로까지 생생하게 확장시킨다. 시인과 화가가 내민 손을 잡은 우리는 새하얀 병실과 널따란 들판, 다정하고 따뜻한 우리 집과 동네를 건너 미로 같은 숲속과 거대한 도서전의 책 속까지 한바탕 신나게 누빌 수 있을 것이다. 온몸이 해에 물들 때까지!
첫댓글 박정완 선생님! 문학상 수상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우리 동시가 그에 이르러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으리라는 즐거운 예감이 든다."라는 심사위원님의 말이 너무 멋집니다. 선생님의 동심이 담긴 작품 너무 기대됩니다. 저도 읽어볼게요. 책 출간 다시 한 번 축하드려요!!!! ^^
박정완 선생님, 동시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다방면에 재능이 있으시니 차기에 나올 동화책도 미리 기대하겠습니다.
박정완 선생님, 다시 한 번 문학동네동시문학상 수상 축하드리고요, 동시집 출간도 축하드려요~ 큰 사랑 받으시길 바랄게요*^^*
박정완 선생님, 동시집 출간을 축하드려요! 선생님만의 새로운 시각을 엿볼 수 있는 작품 기대됩니다! 오래오래 사랑받는 책이 되기를 기대할게요!!!!
상상력이 딸릴 때 하나씩 꺼내 소리내어 읽어봐야겠어요!^^ 고양이 약제사님의 약방 모습을 상상하며, 박정완 선생님, 동시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구입완료! 박정완선생님 정말 많이 축하드립니다!! 이렇게 멋진 선생님과 동기라니 영광이에요!
동시집 기대하며 기다리는 중이에요.
읽는 아이들 모두 정완 쌤의 동시약만 먹고 다른 약은 먹을 일 없길 바라요~~^^
정완샘~ 동시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글자를 읽었을 뿐인데 저절로 풍경이 그려지고, 이야기가 살아 움직여요. 글 그림까지 아우르는 멋진 정완샘과 동기라서 저 역시 영광이에요~^^
제목부터 흥미롭습니다. 동시집 <고양이 약제사> 많은 사랑 받기를요!
박정완 선생님
수상작품 '고양이 약제사' 동시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격려와 응원 덕분에 힘이 솟습니다.감사합니다!!
와!! 기대 만땅입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선생님 출간을 축하드려요^^
30기~
제목도 선생님과 찰떡입니다
와, 능력자십니다~. 동시집 출간 축하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