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젓
너무 기쁜 소식(消息)!
한번 시험(試驗) 해 보세요.
그동안 물 한 모금도 먹지 못했다.
염증(厭症)도 더욱 심해져
어떤 항생제(抗生劑)도
효과(效果)가 없었다.
오늘 죽을지 내일 죽을지
모르는 처지에 이르렀다.
의사(醫師) 선생(先生)님도
마지막으로 마음의 준비(準備)를
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추젓은 온갖 종류(種類)의
염증(厭症) 질병(疾病) 치료(治療)에
효과(效果)가 있단다.
지인(知人)이 보름 전에 약(藥)이라고
가을 새우젓을 보내왔다.
확신(確信)에 찬 어조로
꼭 먹을 것을 종용(慫慂)했다.
첨단(尖端)
현대(現代) 의학(醫學)으로도
못 고치는 병(病)을
새우젓으로 나을 수 있다...
피식 웃음이 나왔다.
맨 뒤에 있어야 할 게
맨 앞으로 온 느낌이다.
더군다나 짠 것을 먹으라고,
맞다 문제(問題) 있다.
염증(厭症)에 더 나쁠 것 같아
병실(病室) 한쪽 구석에 놓고
뚜껑도 열어 보지 않았다.
그런데 이상하다,
현대(現代) 의학(醫學)으로부터
사형선고(死刑宣告)를 받고 나니,
실낱같은 희망(希望)으로
새우젓에 꽂혔다.
눈곱만큼씩 먹는다고 해서
손해(損害) 날 일은 없지,
한번 먹어 보기로 했다.
새우젓을 쌀알 한 톨만큼씩 입에
넣고 침과 섞어서 10분에서
한 시간(時間)쯤의 간격(間隔)으로
수시(隨時)로 먹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즉시 위장의
통증(痛症)이 사라졌다.
강력(强力)한 진통제(鎭痛劑)로도
듣지 않던 통증(痛症)이
씻은 듯이 없어진 것이다.
이게 얼마만인가.
병원(病院)에서 허우적거렸던
병이 좋아지다니...
갑자기 나을 수 있겠다는
확신(確信)이 들자 양을
조금씩 늘려서 부지런히 먹었다
일주일(一週日)이 지났을 때,
뱃속에 꽉 막혔던 게
시원하게 뻥 뚫리면서
밑으로 내겨가는 느낌이 들었다.
몇 달 만에 화장실(化粧室)에 가서
변을 보니 시커멓고
누런 고름덩어리 같은 것들이
변기(便器)가 가득 찰
정도로 쏟아져 나왔다.
그날부터 마음을 먹고
사흘 뒤부터
밥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그다음 날 병이 호전(好轉)되어
병원(病院)에서
퇴원(退院)해버렸다.
그로부터 새우젓으로
위염, 위궤양(胃潰瘍), 장염(腸炎),
위암(胃癌)을 고쳤다는
환자(患者)들을
헤아릴 수 없이 만나봤다.
그 효력(效力)은 눈 부셨다.
먹는 즉시 효과(效果)가
나타나며
어떤 부작용(副作用)도 없었다.
어째서 새우젓에 이처럼
놀랄만한
비밀(秘密)이 있는 것일까?
특히 온갖 종류(種類)의 염증(厭症),
식도염, 위염, 장염(腸炎),
구강염(口腔炎) 같은
소화기(消化器) 관의
염증(厭症)과 암에 효과가
매우 탁월(卓越)하다.
소화기(消化器) 관의 염증(厭症)이나
종양(腫瘍)에는 효과(效果)가
매우 빠르지만,
폐렴(肺炎), 간염(肝炎), 담낭염(膽囊炎),
기관지염(氣管支炎) 등에는
효과(效果)가 약간 더디게 나타난다.
그러나
오래 먹으면 만성간염(慢性肝炎),
담낭염(膽囊炎), 기관지염(氣管支炎),
폐렴(肺炎),
신장염(腎臟炎), 방광염(膀胱炎)
같은 온갖 염증(厭症) 성
질병(疾病)을 뿌리째 뽑을 수 있다.
새우젓에 들어 있는
성분(成分)들의 비밀(秘密)
새우젓에 들어 있
는 특효(特效) 성분(成分)은
병원균(病原菌)이나 기형(奇形)이
된 세포(細胞)의
보호(保護) 막을 뚫고 들어 간다.
그래서 세포(細胞)의
핵을 분해(分解)해 버린다.
건강(健康)한 세포막(細胞膜)은
마치 갑옷을 입은 것처럼 튼튼하게
세포(細胞)를 보호(保護)한다.
새우젓이라도
절대 깨트릴 수 없다.
그러나 세포막(細胞膜)이 상한
기형(奇形) 세포(細胞)는 자비란 없다.
새우젓에 들어 있는 성분이
세포막(細胞膜)을 뚫고 들어가서,
세포(細胞) 핵을
닌자처럼 베어 버린다.
핵을 베어 없애 버린 세포(細胞)는
기형(奇形) 세포(細胞)가 되어
세포분열(細胞分裂)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기형(奇形) 세포(細胞)들이
모두 수명(壽命)을 다하고 없어지면
병이 낫는 것이다.
새우젓은 기형(奇形) 세포(細胞)와
염증(厭症) 세포(細胞)를 없애고
면역(免疫)력을 높이는 데에
최상(最上)의 약이라 할 수 있다.
세계(世界) 최고(最高)의
치료(治療) 약을 모두 준다고 해도
바꿀 수 없는 최고(最高)의
명약(名藥)이 우리 음식에
있었다니 도저히 믿을 수가 없었다.
우리나라
가을철 서해안(西海岸)에서
잡히는 아주 자잘한
가을 새우를 추젓이라고 한다.
한여름철에 잡은 육젓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크기가 아주 작은 몸이 거의
투명(透明)하며 바닷물 위에
얕게 떠 있는 것이라야 한다.
젓갈을 담갔을 때 몸통은 다
녹아 형체(形體)가 남아 있지 않고
눈만 까맣게 남아 있는 것이 좋다.
새우젓을 담글 때는 봄철에 만든
천일염(天日鹽)을 써야 한다.
새우젓은 항아리를 뚫고 나온다.
새우젓을 오지항아리에 담아 두면
항아리 바깥쪽에 하얀
가루가 묻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하얀 가루를 손에 묻혀서
맛을 보면 새우젓 맛이 낫다.
옛사람들은
이를 새우젓 항아리에
담아 두면 땀을 흘린다고 하였다.
새우젓에는
물과 공기도 통과(通過)할 수
없는 항아리를 뚫고 나올 수 있을
정도로 미세(微細)한 초미립자의
영양소(營養素)가 많이 들어 있다.
초미립자 상태로 쪼개진
단백질(蛋白質)과 칼슘,
그리고 온갖 미네랄 성분(成分)들이
뇌로 올라가서 뇌에 영양(營養)을
공급(供給)하고
뇌세포(細胞)를 튼튼하게 한다.
사람이 먹은 영양소(營養素) 중에서
입자가 작고 가볍고
맑은 것은 뇌로 올라간다.
반대(反對)로 무겁고 탁한 것
은 팔다리와 몸통으로
내려가게 마련이다.
그래서 경청(輕淸)한
음식(飮食)을 주로 먹으면
그 성분(成分)과 기능(機能)이
뇌로 올라가서 머리가 좋아지고
중탁(重濁)한 음식물(飮食物)을
주로 먹으면 그 성분(成分)과
기능(機能)이 팔다리와
내장(內臟)으로 가서 힘이 세어진다.
가을 새우젓을
어린이들이 먹으면
머리가 좋아져서
공부를 잘하게 되고
노인(老人)들이 먹으면
기억력(記憶力)이
쇠퇴(衰退) 하지 않고
치매(癡呆)를 예방(豫防)하거나
치료(治療)할 수 있다.
가을 새우젓에는 뇌세포(細胞)가
자라는 데 가장
좋은 영양소(營養素)가 들어 있다.
사람의 뇌세포(細胞)는 태어나서
만 3살이 되기 전까지 90% 이상이
자라서 완성(完成)되고 18세가
넘으면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뇌세포(細胞)는 가장 미세(微細)한
단백질(蛋白質)로 구성되어 있는데
어른이 되면 소화기(消化器) 능이
떨어져서 뇌로 보낼 수 있는
미세(微細)한
영양소(營養素)를 만들 수 없다.
그래서
뇌세포(細胞)의
성장(成長)이 멈추는 것이다.
예로부터 새우젓을 먹으면
치매(癡呆)에
걸리지 않는다고 했다.
뇌에 영양(營養)을 충분(充分) 히
공급(供給)해 망가지는
뇌세포(細胞)를 보강(補强)해
주기 때문이다.
새우젓은 소화력(消化力)과
면역(免疫)력이 약한 노인(老人)이나
성장기(成長期) 어린이들에게
가장 좋은 약인 동시에
식품(食品)이라 고 할 수 있다.
가을 새우젓에는 뇌세포(細胞)의
정밀(精密)한 막을 통과(通過)할 수
있을 정도로 미세(微細)한
입자로 쪼개진
영양소(營養素)가 들어 있다.
뇌세포(細胞)의 막을 통과(通過)해 그
안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인
미세(微細) 입자 영양소(營養素)는
보통 사람이 먹는 음식(飮食)에는
대개 2% 미만(未滿)이 들어 있지만
새우젓에는 5% 이상이 들어 있다.
새우젓에는 음식물(飮食物)을
소화(消化)하고 분해(分解)할 수
있는 효소(酵素)가 많이 들어 있다.
그래서 새우젓을 먹으면
소화(消化)가 아주 잘 된다.
밥 한 숟가락에 새우젓을
콩알만큼씩 넣고 숟갈로
박박 문질러 밥을 비벼서
다른 나물 반찬(飯饌) 등과
함께 짜지 않을
정도로 먹으면 된다.
가을 새우젓
1㎏으로 환자 한 사람이
3개월 동안 먹을 수 있고
건강(健康)한 사람은
6개월가량 먹을 수 있다.
그러나
한 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속이 몹시 쓰려서
위경(胃經)련 이 생길 수 있다.
새우젓에는 뇌에 좋은 미립자
형태의 단백질(蛋白質)이나
칼슘 같은
미네랄 영양소(營養素)가 많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훌륭한
소금이 들어 있고 온몸에
산소(酸素)를 많이 공급(供給)하고
면역(免疫)력을 길러주며 염증(厭症)을 없앤다고 하니 밑 저 봤자 본전이니
옛말에 돼지에게 토화 새우젓을 주면 돼지가 죽는다는 속담을
들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가을철에 만들어진 추젓을 구입하여 조금씩 밥먹을 때 마다 조금씩 먹어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에서 푸른 하늘 사랑 편집
첫댓글
<새우젓을 쌀알 한 톨만큼씩 입에 넣고 침과 섞어서 10분에서
한 시간(時間)쯤의 간격(間隔)으로 수시(隨時)로 먹었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즉시 위장의 통증(痛症)이 사라졌다.
강력(强力)한 진통제(鎭痛劑)로도 듣지 않던 통증(痛症)이 씻은 듯이 없어진 것이다.
이게 얼마만인가. 병원(病院)에서 허우적거렸던 병이 좋아지다니...
갑자기 나을 수 있겠다는 확신(確信)이 들자 양을 조금씩 늘려서 부지런히 먹었다
일주일(一週日)이 지났을 때,
뱃속에 꽉 막혔던 게 시원하게 뻥 뚫리면서 밑으로 내겨가는 느낌이 들었다.
몇 달 만에 화장실(化粧室)에 가서 변을 보니 시커멓고
누런 고름덩어리 같은 것들이
변기(便器)가 가득 찰 정도로 쏟아져 나왔다. >
저두요 가을철에 만들어진 추젓을 구입하여
밥먹을 때 마다 조금씩 먹어보아야 겠습니다
"새우젓의 효능" 건강에 유익한 글 탐독하였습니다
오늘도 건강하시고 행복한 하루되시옵서소
고맙습니다 !!!!!
(추젓秋) : 가을에 잡은 새우를 삭혀서 만든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