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에서의 운용과 VALIDATION - Jan 2001
HL1SFZ 남진우 (hl1sfz@hanmir.com) last updated 16 APR 2001
IOTA란 Islands On The Air의 약자로 '섬에서의 운용'이란 뜻이다.
근래에 많은 국들이 섬으로 IOTA pedition을 가고 있으며 DX-NEWS의
상당 부분이 IOTA에 관한 내용이다.
1. 왜 섬으로 갈까?
2. 모든 섬이면 다 되는가?
AS-026 HL4 CHEJU-DO PROVINCE (CHEJU ISLAND) group
AS-045 HL5 KYONGSANG-BUKTO PROVINCE (ULLUNG ISLAND) group
AS-060 HL4 CHOLLA-NAMDO PROVINCE group
AS-080 HL3 CH'UNGCH'ONG-NAMDO PROVINCE group
AS-081 HL5 KYONGSANG-BUKTO / KYONGSANG-NAMDO PROVINCE group
AS-084 HL4 CHEJU-DO PROVINCE (CH'UJA ISLANDS) group
AS-085 HL4 CHOLLA-NAMDO PROVINCE (SOAN ISLANDS) group
AS-090 HL2 KYONGGI-DO PROVINCE(TOKCHOK ISLANDS) group
AS-093 HL4 CHOLLA-NAMDO PROVINCE (HUKSAN ISLANDS) group
AS-105 HL2 KYONGGI-DO PROVINCE group
AS-122 HL2 KYONGGI-DO PROVINCE WEST group
AS-148 HL4 CHOLLA-BUKTO PROVINCE group
AS-??? HL2 KANGWON-DO PROVINCE group
3. QSL CARD
4. VALIDATION이란
1. 왜 섬으로 갈까?
단순히 도심의 노이즈에서 벗어나, 바다를 보기 위해 섬으로 가는 것은 아닐 것이다. 바로 IOTA가 있기 때문이며, 해외 진국으로의 dx-pedition이 힘든 상황에서는 유럽 및 북미에서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IOTA award program에 맞추어 섬으로 가면 쉽게 파일업을 받아 받은 국과 교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모든 섬이면 다 되는가?
물론 그렇지는 않다. 여의도도 섬이지만 여의도에서 IOTA 운용을 했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을 것이다. IOTA award 규정 [B.1 가능한 IOTA 섬들]에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TOP OF PAGE
B.1 VALID IOTA ISLANDS
B.1.1 모든 섬들은 IOTA 프로그램에 맞는 어떤 기본 기준에 맞아야 한다. 특히 바다에 있어야 하며 강이나 호수에 있어서는 안되며, 인공이 아닌 자연섬 이어야 한다. 또한 만조 시 명백히 수면 위에 있어야 하며 공식적인 섬이름이 있어야 한다. 최소한의 섬 크기의 제한은 없으나 1:1,000,000의 지도에 나와 있어야 하며, 간조시 최소 200m의 거리를 유지하며 본토와 떨어져야 한다. 다른 조건을 충족한다면 다리로 본토와 연결된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주:IOTA Directory상에 섬이름이 나와있는 경우에는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이다.)
B.1.2 IOTA에 가능한 모든 섬들이 Directory에 IOTA 그룹이름이나 괄호 안에 이름이 나와있다. 대부분의 경우 괄호는 "="로 시작되며, 이 것은 오직 이름이 나와 있는 섬만이 인정되며, 목록에 포함될 것 같은 다른 섬들은 IOTA HQ에 문의하여야 한다.
위의 규정에 따라 섬들에 대해 IOTA 번호가 부여되며 대륙별로 구별된다. 유럽(EU), 아프리가(AF), 남극(AN), 아시아(AS), 북미(NA), 오세아니아(OC), 남미(SA)의 7개의 2자리 대륙코드와 3자리의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IOTA 번호는 각 섬에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큰 섬이나 외딴 섬의 경우에는 하나의 섬에 하나의 IOTA 번호가 부여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군도나 행정 구역에 의해 나누어진다.
또한 섬 또는 섬들이 규정을 만족하여 하나의 IOTA 그룹으로 지정된 곳이라도 그 곳에서의 운용이 없었으면 그룹은 있지만 IOTA 번호는 없다. 아프리카나 남극의 경우 많은 그룹이 있지만 운용된 적이 없어 번호가 없는 상태로 남아있다. (AN의 경우 50개의 그룹이 있지만, 번호가 부여된 그룹은 18개에 불과하며, 또한 이집트나 리비아에도 각각 4개, 2개의 그룹이 있지만 운용이 된 적이 없어서 번호가 전혀 부여되어 있지 않다. )
국내의 경우도 13개의 그룹이 있으나 'HL2 강원도의 섬들'이라는 그룹에서는 운용이 된 적이 없어 역시 IOTA 번호는 없고, 12개의 그룹에만 번호가 있다.
2000년도 Directory 상에는 [B.1 가능한 IOTA 섬들]에 해당하는 섬들의 이름이 대부분 나와있다. 즉 Directory 상에 섬의 이름이 있다면 위의 복잡한 규정을 만족한다는 뜻이다. 2000년도 Directory 상에 나와 있는 국내의 그룹 및 섬은 다음과 같다.
KYONGSANG-BUKTO PROVINCE (ULLUNG ISLAND) group(=Tok(aka Liancourt Rocks)(독), Ullung(울릉))
AS-??? HL2 37。09-38。36N 128。22-129。22E
KANGWON-DO PROVINCE group(=Cho(조)(at 38。12N), Chuk(죽)(at 38。15N))
위의 명칭중에서 한글로 안 나와 있는 곳은 자료부족으로 조사하지 못한 곳이다. 이동운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위에 명칭이 나와 있지 않은 섬으로 이동운용을 간다면 사전에 IOTA 매니저에게 문의해 보아야 한다. 지도와 비교해 보면 위의 목록에 나와 있지 않은 섬들이 많다. 목록에 추가를 위해서는 해당 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첨부하여 추가요구를 할 수 있다. 목록은 4월과 10월에 개정된다.
또한 QSL CARD에 적을 섬이름의 영문 표기가 Directory와 다른 경우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QSL CARD 인쇄 전에 역시 문의해 보는 것이 좋겠다.(영문 표기법이 개정되었으나 Directory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
TOP OF PAGE
3. QSL CARD
기성품의 QSL CARD나 기존에 사용하던 QSL CARD를 이용하여, 이동운용 중에 교신한 상대방에게 콜싸인, 위치 등의 정보를 손으로 적어 보내거나 콜싸인 뒤에 "/지역번호"와 다른 정보를 손으로 적어보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경우, KDN이나 DXCC에서도 인정을 해주지만, IOTA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QSL CARD에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을 제시하고 있으며, 섬 이름과 콜싸인이 인쇄되어 있기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규정 [C.4 QSL CARDS]에 자세히 나와있다.
C.4 THE QSL CARDS
C.4.1 제출된 QSL CARD는 two-way의 교신으로써 같은 DXCC entity안에서 신청자 자신이 교신한 카드이어야 한다. (이에 대한 예외는 없다!)
C.4.2 제출된 QSL CARD는 운용이 행해진 섬의 이름이 나와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섬의 마을이나 도시의 이름, 남극의 경우 기지의 이름이 나와 있어야 한다. IOTA group 이름은 인정되지 않는다. 섬의 이름은 절대로 손으로 적혀져서는 안 된다. 그럴 경우 Checkpoint나 IOTA HQ에서 정확성이나 작성근거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카드를 거부할 수도 있다.
Note 1 : 정확한 섬의 이름이 아니지만 운용을 한 섬의 "공식적으로 인정된 섬 그룹" (예를 들면 Balearics)의 이름이 적힌 QSL CARD는 받아들여진다. 다만, 그 그룹의 모든 섬들이 IOTA 요구 조건에 맞고, 오직 하나의 IOTA 번호가 있을 경우에만 해당한다. (주: Balearic Islands는 DXCC상 EA6로 되어 있다. 그러나 Balearic이라는 이름의 섬은 없다.)
Note 2 : 일반적으로 비공식적인 통상적인 이름이 적힌 QSL CARD는 IOTA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가 명확하게 QSL CARD상에 나와 있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섬 그룹"에 포함되며, 그 그룹의 모든 섬들이 IOTA 규정을 만족하며, 오직 하나의 IOTA 번호가 있다면 받아들여진다.
Checkpoint란 IOTA award를 신청 시 검사 및 발급을 하는 곳이다.(즉 RSGB의 IOTA HQ에서는 어워드에 대한 신청을 받지 않는다) 현재 13곳의 Checkpoint가 있으며 국내의 경우(Asian except Japan의 경우) G3ALI가 담당하고 있다.
20001년 1월 이후의 교신에 대해서는 규정이 더욱 강하게 적용된다. 아마 신청자와 Checkpoint의 편의를 위해서가 아닌가 한다. Directory 2000에서는 괄호 안이 "="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최초로 IOTA 그룹에 포함되는 섬 이름이 모두 나와있다.(앞의 국내 목록을 참고바란다. 국내의 경우에는 모든 섬의 이름이 나와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예를 들면 AS-007의 경우에는 일본의 HONSHU ISLAND이며 본토 및 주변 섬들이라고만 되어 있으며 자세한 섬이름은 나와있지 않다.) IOTA award를 위해 제출된 카드 중 2001년 1월 이후의 교신일 경우, QSL CARD상에 등록되어 있는 섬 이름이 정확하게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거부될 수 있다.
TOP OF PAGE
4. VALIDATION이란
앞서 말한 섬에 가서 운용을 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
우선 각 DX News에 편집자들에게 알려주는 것은 기본이며 특히 425 DX NEWS의 편집자인 I1JQJ는 이탈리아, 산마리노, 스위스의 Checkpoint를 하고 있으며 IOTA에 관한 소식을 관심있게 싣고 있다. 또한 IOTA 매니저인 Roger Balister, G3KMA에게도 메일을 주면 그 섬에 관한 정보와 혹시 생길지 모르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Validation이란 특정 무선국이 특정한 섬에가서 교신을 했다는 것을 IOTA HQ에서 인정해주는 것이다. 모든 섬이 validation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 몇 개의 섬만이 validation이라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주로 해당하는 섬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교신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 곳에서 실제로 교신이 이루어 졌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보내 그 교신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Validation이 필요한 곳인데 validation을 하지 않고 QSL 카드를 발송하면 그 QSL 카드는 IOTA Award Checkpoint에서 인정받지 못할 것이다. Validation은 출발하기 전부터 준비가 필요하므로 사전에 이에 관한 사항을 알아보아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IOTA 규정 [F. VALIDATION OF OPERATIONS]에 나와 있으나, 자세한 해석은 생략한다.
다음은 validation이 필요한 경우이다. 그러나 아래 항에 해당하지 않아도 validation을 보내는 것은 상관이 없다.
1) 최신의 IOTA Directory와 Yearbook에 번호가 없는 경우
2000년 Directory에는 전라북도의 섬들이 새로운 그룹으로 되었고 번호가 없다. 이러한 곳에 가기 위해서는 사전에 IOTA Manager와 미리 연락을 주고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2000년 7월 달에 한국 DX 클럽(KDXC)에서 다녀와서 AS-148이라는 번호를 받았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가 필요없으나, Directory 상에는 여전히 번호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 Directory나 Yearbook이 나와 그 곳에 번호가 나오기 전까지는 validation이 필요하다. 물론 Directory나 Yearbook에 번호가 나와있더라도 아래의 항목에 해당하면 validation이 필요하다.
현재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HL2 강원도의 섬들로 갈 경우에도 해당된다. 규정의 [F.2 REQUIREMENT FOR OPERATIONS FROM UNNUMBERED GROUPS]를 참조하기 바란다.
2) Most Wanted IOTA island Group 상에 "#"로 표시된 rare 그룹일 경우
IOTA Homepage(http://www.rsgbiota.org/)의 IOTA Wanted List에 보면 그 동안 IOTA Award를 신청한 자료를 바탕으로 IOTA 그룹에 대해 순위와 비율이 나와있다. 비율이 10%미만인 경우에는 rare로 분류되며 옆에 "#"표시가 되어 있다.
국내의 경우, 올해에는 AS-085만이 해당되며 매년 바뀌므로 사전에 확인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Most Wanted IOTA island Group는 RSGB의 IOTA 부서에서 발표한 것을 말한다. 다른 곳에서도 비슷하게 설문조사 등의 방법으로 Most Wanted IOTA island Group을 발표하고 있으나 이는 해당되지 않는다.
3) 어떠한 이유든지 상륙이나 운용이 금지된 경우
섬들 중에는 여러 가지 이유(환경보호지역, 군사제한지역 등)로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된 경우나 아마추어 무선의 운용이 금지된 경우가 있다. 국내의 경우 독도가 대표적인 경우로 일반인의 상륙이 현재는 불가능하다. 독도는 울릉도와 같은 AS-045이다. 울릉도에서는 물론 validation이 필요하지 않지만, 독도에서는 운용을 하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TOP OF PAGE
Directory 상에서 validation을 위해 원하는 서류는 다음과 같다.
- 운송수단
우선 섬에 들어가고 나오기 위해서는 운송수단이 필요하다. 정기 항공기, 페리, 기차, 버스 등의 공공교통수단을 이용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표나 운송비에 대한 영수증을 받는다. 이 영수증이나 표를 제출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 곳에서 날짜, 이름, 전화번호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선박의 경우는 이러한 절차를 너무 무시하는 것 같다. 본인이 받은 표 중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도 표시되지 않은 표도 있었다. 표를 발급 받을 때부터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러고 배나 비행기 등을 빌려서 섬에 갈 경우에는 앞에서와 같이 표가 없으므로 선장이나 기장의 확인을 받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어선 등을 빌려서 가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이 어렵다. 그럴 경우 운용자들과 선박이 같이 찍힌 사진을 요구한다.
그리고 자신의 배나 차를 통해 갈 경우에는 또 다른 방법으로 증명해 주기를 요구한다.
- 체류
사람이 사는 섬일 경우에는 숙박한 호텔, 캠프나 숙소의 이름이 적힌 증명서를 제출하는 방법이 가장 편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민박이나 캠핑의 경우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어렵다. 그럴 경우에는 그 섬의 우체국장, 등대지기나 지방관리자(이장님 정도)가 확인한 서류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무인도의 경우에는 상당히 어려워진다. Directory에서는 그 곳을 나타낼 수 있는 표지판이나 명소에서 찍은 사진을 요구하나 대부분 불가능하다. 외국의 경우 GPS에 위치가 찍혀 있는 사진을 보내기도 한다. 가장 편한 방법으로 근처의 섬이나 본토가 찍힌 사진을 요구한다.
TOP OF PAGE
- 허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섬에 상륙이 금지된 경우에 해당한다. 특별 관리지역이나 주로 외국의 경우지만 개인 섬을 가지고 있거나 관리를 정부 외에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에는 해당 섬이 들어가도 좋다는 허가를 받아서 그 증빙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국내에서 이동운용이 전면 허가되어 이동운용이 가능하므로 이동운용에 대한 허가서류를 제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백령도 등에서는 여전히 이동운용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이럴 경우에는 정보통신부로부터 허가서류를 받아 사본을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콜싸인이 아닌, IOTA 운용을 위하여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허가장 사본을 제출하여야 한다.
위에서 요구한 사진의 경우 운용자나 장비와 같이 찍혀있기를 요구하며, 허가장, 표 등의 서류에서는 자국어 일 경우에는 번역해 주기를 요구하고 있다.
새로이 발급된 IOTA 번호, validation 상황 등을 IOTA Manager Homepage에 가면 확인할 수 있다.
TOP OF PAGE
간단하게 IOTA 운용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덕적도(AS-090)나 소안도(AS-085)는 섬들이 많고 특별히 외떨어진 섬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경기도의 섬들 그룹(AS-105)이나 전라남도의 섬들 그룹(AS-060)과 혼동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다시 강조하지만 validation이 필요함에도 validation을 하기 않으면 국제적인 망신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하기 바라며, IOTA 운용후에는 반드시 콜싸인과 섬이름이 인쇄되어 있는 QSL 카드를 발급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