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신항 명칭 놓고 부산-경남 갈등... 정부가 부산 쪽 손들어주며 해프닝
부산시와 경상남도가 부산과 진해의 경계 지역에 건설 중인 항만 명칭을 놓고 벌이는 '힘 겨루기'는 한 마디로 촌극 그 자체다. 이 문제가 배꼽잡고 웃을 수 밖에 없는 촌극으로 둔갑한 데는 참여정부의 한심스러운 판단이 자리잡고 있다.
경남은 신항만이 들어서는 지역의 82%가 행정구역상 경남 진해이기 때문에 항만 명칭을 당연히 '진해 신항'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여기에 부산은 부산항이라는 기존의 이름이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부산 신항'이라고 하는 것이 국제 경쟁력을 높힐 수 있다며 신항 명칭을 부산 신항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신항 명칭을 두고 부산과 경남의 자존심 대결은 지난 7년 간 계속돼왔고, 결국 두 지역이 각각 대규모 집회까지 열면서 '힘 겨루기' 대결로 확대됐다. 여기에 주무부서인 해양수산부와 국무총리실에서 고심 끝에 지난 16일 신항 명칭을 확정했다.
한국어 표기는 '신항'으로 하고, 영어 표기로는 'Busan Newport', 즉 영어로는 '부산 신항'으로 한다는 것이다. 결국 정부는 부산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것이 코미디의 극치라는 것이다.
아기를 낳으면 무슨 이름을 지을 것인가 수년째 연구하다가 결국 아기 이름를 그냥 '아기'라고 해버린 것인데, 영어 표기는 '아기'가 아닌 또 다른 이름을 만들어 준 셈이다.
즉, 신항 이름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를 놓고 수년째 고심하다가 신항의 이름을 그냥 '신항'으로 정해버린 것도 코미디지만, 영어 명칭은 '신항'이 아닌, '부산 신항'이라는 의미의 'Busan Newport'로 했다는 것이니 코미디 속에 또 다른 코미디가 추가 된 것이다.
이 같은 코미디가 깊은 산골동네 반상회에서 나온 것이 아니고, 참여정부 국무총리가 개입하고 청와대 비서실이 깊숙히 개입해서 만들어 낸 것이니, 이것은 국가적인 코미디가 된 셈이다.
부산과 경남의 첨예한 지역 대결 때문에 정부 차원의 결단이 쉽지 않았겠지만, 항만 이름을 한국어로 '신항'이라고 하려면 영문표기도 그냥 'Newport'라고 해야지 앞에다가 'Busan'을 왜 붙이냐는 것이다. 부산과 경남을 끝까지 갈라놓고 무엇을 얻어보겠다는 것인지,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에도 모자라, 이것처럼 배꼽잡고 배터지게 웃을 수 있는 사례는 역사이래 찾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행정구역상 82%가 경남이면 경남의 의견 청취에 비중을 둬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진해 신항'이라고 할 경우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가 무엇인지를 납득할 만큼 진실하게 설명해서 경남 측에 양해를 구해야 함이 상식과 원칙이거늘, 한글 표기와 영문 표기를 별도로 만드는 아이디어로 이 문제를 봉합하려 했다는 것이 참여정부의 수준이라면 큰일 날 일이다.
이 정부의 분쟁조정능력이 이 정도 밖에 안 된다는 것인가. 이 정도의 능력과 생각으로 나라를 관리한다면 솔직히 소름끼치는 일 아니겠는가?
'부산 진해 신항'도 있고, 아니면 '한국 신항'(Korea Newport)도 있는데 굳이 보통명사인 '신항'을 한글 표기로 결정해놓고 영문 표기로 '부산 신항(Busan Newport)'이라고 한다는 이 코미디를 정부의 결정이라고 누가 인정할 것인가?
정도원 객원기자
[중도와 균형을 표방하는 신문-업코리아(upkorea.net)]
-Copyrights ⓒ 2005 업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첫댓글 정말 바보같은 결정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눈가리고 아웅하는 줏대없는 결정하고는....참 한삼한 정부입니다. 이번 결정이야 말로 정말 미봉책입니다. 어처구니 없어 올려봅니다.
참~ "노무현"스러운 어중쭝한 결정입니다. 하는일이 그렇지요???
헐~~~~~~ ' 코메디야, 코메디..... ㅎㅎㅎㅎㅎ' (강금실 버젼)
조만간 영어사전 바뀌것당.. 교과서도 바뀌야 되는건가?.. 아고 가방끈 짧아서리 모르것는디.. 누구 아시는분 설명좀 해주세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