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리지(連理枝)
두 나무의 가지가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의 뜻으로, 화목한 부부 또는 남녀 사이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連 : 이을 연(辶/7)
理 : 이치 리(王/7)
枝 : 가지 지(木/4)
(유의어)
금슬지락(琴瑟之樂)
연리(連理)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가 서로 엉켜 마치 한나무처럼 자라는 현상이다. 매우 희귀한 현상으로 남녀 사이 혹은 부부애가 진한 것을 비유하며 예전에는 효성이 지극한 부모와 자식을 비유하기도 하였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소나무 연리지가 유명하며,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의 소나무도 연리지로 알려져 있다.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에는 동백나무 연리지가 있으며, 마을 사람들에게 사랑을 상징하는 나무로 보호되고 있다.
후한서(後漢書) 채옹전(蔡邕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후한 말의 문인인 채옹(蔡邕)은 효성이 지극하기로 소문이 나 있었다. 채옹은 어머니가 병으로 자리에 눕자 삼년 동안 옷을 벗지 못하고 간호해 드렸다.
마지막에 병세가 악화되자 백일 동안이나 잠자리에 들지 않고 보살피다가 돌아가시자 무덤 곁에 초막을 짓고 시묘(侍墓)살이를 했다.
그 후 옹의 방앞에 두 그루의 싹이 나더니 점점 자라서 가지가 서로 붙어 성장하더니 결(理)이 이어지더니 마침내 한그루처럼 되었다. 사람들은 이를 두고 채옹의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와 자식이 한 몸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당현종과 양귀비의 뜨거운 사랑을 읊은 시 장한가(長恨歌)에서 이렇게 읊고 있다.
七月七日長生殿(칠월칠일장생전)
(7월 7일 장생전에서)
夜半無人私語時(야반무인사어시)
깊은 밤 사람들 모르게 한 약속
在天願作比翼鳥(재천원작비익조)
하늘에서는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
在地願爲連理枝(재지원위연리지)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네
天長地久有時盡(천장지구유시진)
높은 하늘 넓은 땅 다할 때가 있건만
此恨綿綿無絶期(차한면면무절기)
이 한은 끝없이 계속되네.
위 시의 비익조는 날개가 한쪽 뿐이어서 암컷과 수컷의 날개가 결합되어야만 날 수 있다는 새로서 연리지와 같은 뜻으로 쓰였다.
⏹ 하나 되는 사랑,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
부부간의 사랑을 비유하는 말에 비익연리(比翼連理)라는 말이 있다. 비익조(比翼鳥)라는 새와 연리지(連理枝)라는 나무를 합친 말이다.
이 말은 당나라 때 시인 백낙천(白樂天)이 지은 장한가(長恨歌)에 나온다.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영원히 헤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비익조(比翼鳥)에서 비(比)는 앞서 비견(比肩), 즐비(櫛比) 등의 말에서 보았듯 나란하다는 뜻이다. 익(翼)은 날개이다. 비익조(比翼鳥)는 전설 속의 새이다. 이 새는 눈도 하나요, 날개도 하나뿐이다.
그래서 암수 한 쌍이 한데 합쳐야만 양 옆을 제대로 볼 수 있고 날 수도 있다. 또 연리지(連理枝)의 리(理)는 '결'이라는 뜻이다. 연리지란 그러니까 나뭇결이 연결된 가지를 말한다. 뿌리가 서로 다른 나무가 허공에서 만나 한 가지로 합쳐진 나무이다.
부부는 비록 다른 집안 다른 환경에서 나고 자랐지만, 결혼을 해서 한 가정을 이루게 되면 연리지(連理枝)처럼 한 몸을 이루어, 비익조(比翼鳥)와 같이 서로 부족한 점을 채워 준다.
在天願作比翼鳥(재천원작비익조)
在地願爲連理枝(재지원위연리지)
하늘에선 원컨대 비익조가 되고요.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길 바라요.
-백낙천의 장한가(長恨歌) 중에서-
🔘 비목어(比目魚)는 정말 눈이 하나뿐일까
비익조(比翼鳥)와 비슷한 의미로 비목어(比目魚)란 물고기가 있다. 글자대로 풀이하면 '눈이 나란한 고기'가 된다.
류시화는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이란 시에서 이 물고기를 소재로 "두눈박이 물고기처럼 세상을 살기 위해/ 평생을 두 마리가 함께 붙어 다녔다는/ 외눈박이 물고기 비목(比目)처럼 사랑하고 싶다."고 노래하였다.
아마도 비익조(比翼鳥)에서 유추하여 비목어 또한 눈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암수가 서로 나란히 붙어야만 헤엄칠 수 있다고 생각한 듯하다.
비목어(比目魚)는 머리 한쪽으로 눈 두 개가 몰려 있는 납작한 몸의 가자미나 넙치, 광어와 같은 물고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물고기들은 눈이 한쪽으로 몰려 있기 때문에 반대편을 잘 볼 수가 없다. 그래서 서로 반대편에 눈이 달린 물고기가 붙어 다니며 서로 못 보는 부분을 도와 준다고 해서 역시 부부의 금슬을 나타내는 말로 쓰게 되었다.
⏹ 비익조 상징과 의미
在天願作比翼鳥(재천원작비익조)
在地願爲連理枝(재지원위연리지)
하늘에서는 비익조가 되기를 원하고,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기를 원하네.
문헌 기록들을 통해 비익조는 암수의 눈과 날개가 각각 하나씩이어서 항상 짝을 지어야 날아다닐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름, 색깔, 상징성 등에서 약간씩의 차이를 보여 명확한 형상을 찾기가 쉽지 않다.
비익조를 사랑의 증표로 공유한 내용들 가운데는 당나라 시인 백낙천(白樂天)이 쓴 장편시 장한가(長恨歌)에 당현종과 그의 애첩(愛妾) 양귀비(楊貴妃)와의 사랑 내용이 있다.
在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
天長地久有時盡
此恨綿綿無絶期
하늘에서 태어나려면 비익조가 되고,
땅에서 태어난다면 연리지되리.
비록 하늘과 땅이 다한다 해도,
우리 맺힌 한이 끊어질 날 있을까.
초자연적이고 신비한 사랑의 힘을 가진 비익조는 남녀 화합과 부부애의 대명사가 되었고 연리지 또한 나무의 상접(相接)을 남녀의 화합으로 유감(類感)시켜 주격을 얻는 유감주술로 풀이할 수 있다.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란 용어는 중국과 일본 등에서도 아름다운 사랑의 상징으로 즐겨 사용하였다. 조선후기 민화에서도 이러한 비익조를 표현한 작품이 있는데 역시 부부의 사랑을 상징한다.
⏹ 형상을 나누지 않는 비익조
비익조는 암컷과 수컷의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어서 짝을 짓지 아니하면 날지 못한다는 상상의 새로 부부 사이의 둘이 있을 수 없는 아름다운 사랑을 의미한다. 그리움, 애틋함, 우정을 상징하기도 한다.
하늘엔 비익조(比翼鳥), 땅에는 연리지(連理枝), 물속에는 비목어(比目魚)가 있는데 이는 애정, 사랑, 그리움, 애틋함, 우정의 대명사를 한 마디 용어로 비유한 데서 만들어진 상징물들이다.
비익조는 암컷과 수컷의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어서 짝을 짓지 아니하면 날지 못한다는 상상의 새이다. 이는 부부 사이의 아름다운 사랑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상주 남장사(南長寺) 대웅전(大雄殿) 불단(佛壇) 목조각 가운데 두 마리 새가 한 몸으로 결합된 형상이 있다.
의성 환성사(環城寺) 대웅전 불단 목조각에는 상사화(相思花) 나무 아래 날개 하나씩만 있는 암수 한 쌍의 새가 조각되어 있다.
이들을 모두 비익조라 볼 수 있다. 현재는 불법당에서 본연의 참배보다는 연인들의 증표로 사진촬영의 모델이 되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누가 불단의 목각을 보고 비익조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양측 다 엄격하게 따지면 비익조라 단정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지만 그 가능성은 찾아볼 수 있다.
대웅전의 불단을 수미단(須彌壇)이라 하는데 불가(佛家)에서 수미단은 아미타극락 세계(阿彌陀極樂世界) 아래 있는 무한대의 깊고, 넓은 바다와 무한대의 높은 산을 뜻한다.
수미단의 장식은 대체로 구름 문양 속의 용을 비롯하여 아름다운 기화요초(琪花瑤草)와 상상의 동물들이 등장한다.
수미단의 상징성을 함축한 이러한 소재들이 조선시대 후기 불단에 나타나고 있어 남장사와 환성사 대웅전 수미단에 표현된 새가 상상의 새인 비익조일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함축된 상징물들은 동양문화 속, 특히 인도와 중국의 신화나 설화 등에 등장하는 기이하고 경이로운 상상의 동물들로 구성된다.
비익조는 아름다운 상징성에 비해 문헌 속에 제시되는 그림이나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형상 자료가 없어 각기 다른 상상력이 더욱 신비를 키우고 있다.
⏹ 連理枝(연리지)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들이 서로 엉켜 붙어 나뭇결이 하나로 이어진 것이다. 원래는 효성이 지극함을 나타냈으나, 현재는 남녀의 사랑, 짙은 부부애를 비유하는데 사용한다.
연리지 어원은 동진(東晉)의 간보가 지은 수신기에 나오는 ‘상사수’를 들 수 있다.
송(宋)의 강왕이 절세미인인 한빙의 부인 하씨를 빼앗았다. 한빙은 원망하며 자살했다. 하씨도 따라 죽으며 합장해 달라는 것이다. 화가 난 왕은 합장하지 않고 서로 보이는데 무덤을 했다.
그 후 각자의 무덤에서 개오동나무가 자라더니 드디어 연리지가 되고, 그 나무 위에 한 쌍의 원앙새가 와서 슬피 울었다는 것이다.
송(宋)의 범엽이 지은 후한서(後漢書)에도 나온다.
후한 말 채옹은 효성이 지극했다. 그의 모친이 병으로 눕자 3년 동안 계절이 바뀌어도 옷 한번 벗지 않았으며, 70일 동안이나 잠자리에 들지 않았다. 모친이 죽자 그는 무덤 곁에 초막을 짓고 살았다.
그 후 옹의 방 앞에 두 그루의 싹이 터졌다. 그 싹이 점점 자라서 가지가 서로 붙더니 결[理]이 이어져서 마침내 한 나무가 됐다. 사람들은 이를 두고 채옹의 효성이 지극하니 부모와 자식이 한 몸이 됐다고 해 효의 상징으로 말했다.
또 당(唐)의 시인 백거이는 唐 현종과 양귀비의 뜨거운 사랑을 읊은 ‘장한가(長恨歌)’의 내용에 연리지가 나온다.
즉, ‘칠월 칠일 장생전에서 깊은 밤 두 사람 은밀한 약속을 하는데 우리가 하늘에서 만나면 비익조가 되고, 이승에서 만나면 연리지가 되자(上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라는 구절에서 연리지를 간절한 사랑의 상징으로 봤다.
비익조(比翼鳥: 전설 속의 새)는 날개와 눈이 한쪽뿐이어서 암컷과 수컷의 결합돼야만 날 수 있고, 볼 수 있다는 새로서, 연리지와 같은 뜻으로 쓰였다. 이에 비옥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는 지고한 사랑의 상징으로 말하고 있다.
인위적인 것이 아닌 연리지는 고금을 통해 매우 희귀하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충북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의 소나무 연리지, 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의 동백나무 연리지, 경북 청도군 운문면의 소나무 연리지, 경남 김해시 진례면 담안리 첨모재의 백일홍 연리지가 있다.
이들은 마을 사람들에게 사랑과 우애, 효도를 상징하는 나무로 대접받고 있다. 따라서 이 연리지는 두 몸이 한 몸이 된다고 해 남녀 간의 애틋한 사랑에 비유했다.
뿐만 아니라 남녀 간의 사랑, 부모에 대한 효성, 부부간의 애정 등을 상징하는데 지난 2006년에 ‘연리지’를 영화로 상영한 적도 있다.
이성을 가진 사람이면 비옥조, 연리지의 개념만큼은 잊지는 않아야 될 텐데.
⏹ 죽어도 임 놓지 않으리
바다 원앙 전갱이
마산 진동 고현에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의 산실인 율티 염밭마을로 가는 바닷길 중간에 선두(船頭)라는 마을이 있다.
선두마을 동쪽 끝, 뱃머리 부둣가에는 뱃사람들이 풍어와 안녕을 비는 선돌, 혹은 남근석이 있고, 그 옆에는 소나무와 포구나무가 서로 기대어 있다. 사람들은 이러한 나무를 연리목(連理木)이라고 한다.
두 나무가 하나로 붙은 연리지(連理枝)에 대한 설화는 원래 효자가 부모를 지극히 그리워하는 효심을 이야기한 것이었으나 지금은 남녀 간의 깊은 사랑을 비유하는 말이 되었다.
부부간의 지극한 사랑을 노래한 백거이(白居易)의 장한가(長恨歌)에 연리지가 등장한다. "헤어질 때 은근히 거듭한 말 그 말은 둘만이 아는 맹서였지. 칠월칠석 장생전에서 깊은 밤 남몰래 속삭인 약속, 하늘에서는 비익조(比翼鳥)가 되고 땅에서는 연리지가 되자.(하략)"
연리지는 상사수(相思樹)라고도 한다. 동진(東晉)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에 나오는 이야기다.
송(宋)나라 강왕(康王)이 절세미인인 한빙(韓憑)의 부인 하씨(何氏)를 빼앗았다. 한빙이 이를 원망하자 성을 쌓는 형벌을 내렸고 한빙은 결국 자살하고 말았다.
하씨 역시 한빙과 합장해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누대에 올라 몸을 던져 자살하고 말았다. 화가 난 왕은 두 사람을 합장하지 않고 무덤을 서로 바라보게 하였다.
그날 밤 개오동나무가 두 무덤에서 각각 나더니, 열흘 만에 아름드리나무로 자라 몸체를 구부려 서로에게 다가가고 아래는 뿌리가 서로 맞닿았다.
나무 위에는 한 쌍의 원앙새가 앉아 떠나지 않고 서로 목을 안고 슬피 울었다. 사람들은 그 나무를 상사수라고 불렀다.
선두리 바닷가의 이 나무들도 상사목(相思木)이 아닐까. 상사목 곁에서는 원앙새가 슬피 울며 밤을 지새울까.
김려의 '우해이어보'에서는 원앙새가 아닌 원앙어가 등장한다.
원앙어는 어떤 물고기일까? 원앙어에 대하여서는 그동안 많은 사람이 수많은 추측을 해 왔을 뿐 정확하게 어떤 물고기인지를 알지 못하였다.
김려는 원앙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원앙은 원앙어(鴛鴦魚)라고도 하고 해원앙(海鴛鴦)이라고도 하는데 절어 즉 납자루와 비슷하다.
입은 작고 비단 빛 비늘이며 아가미 옆 뺨은 붉고 꼬리는 길다. 꼬리의 가운데 부분이 짧아서 제비꼬리와 같다.
이 물고기는 암수가 반드시 같이 다닌다. 수컷이 헤엄쳐 가면 암컷이 수컷의 꼬리를 물고 간다. 죽더라도 떨어지지 않으니 낚시를 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한 쌍을 낚게 된다.
이곳 사람들의 말로는 이 물고기를 잡으면 눈알을 뽑아 깨끗하게 말려서 남자는 암컷의 눈알을 차고 여자는 수컷의 눈알을 차고 다니는데 그러면 부부의 금실이 좋아진다고 한다.
그러나 이 물고기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내가 세 들어 있는 이웃의 이생(李生)이라는 사람이 일찍이 거제도의 양곡(洋曲)에 낚시를 갔다가 이 물고기를 낚아 와서 나에게 보여주었다. 물고기가 이미 반쯤 말랐는데도 꼬리를 물고 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설명 때문에 민물고기인 납자루와 비슷하게 생긴 바다의 물고기를 원앙어라고 보고 어떤 사람은 원앙어를 자리돔이라고 추측하였다. 그런데 이와는 전혀 다른 추론이 제기되었다.
2015년 마산문화원에서 개최한 '우해이어보 학술심포지엄'에서 국어학자로 고지명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이정용 선생은 '우해이어보에 나오는 몇 어패류 이름에 대하여'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원앙어가 전갱이라고 하였다.
즉 원앙(鴛鴦)새의 옛 우리말이 즹경이, 증경이, 징경이인 것에 주목하고, 또한 전갱이의 방언인 전광이가 전광이 → 전강이 → 전갱이로 변형된 것으로 파악하면서 원앙어가 전갱이라고 추론하였다.
원앙새를 징경이로 풀이할 수 있는 근거는 다른 곳에도 있다. 시경(詩經) 첫머리인 주남(周南) 국풍(國風) 관저장(關雎章)을 보자.
關關雎鳩, 在河之洲.
窈窕淑女, 君子好逑.
끼룩끼룩하는 저 징경이는 하수의 물가에 정답구나. 아름다운 숙녀는 군자의 좋은 짝이로다.
이 시에서 저구(雎鳩)를 징경이라고 해석한다. 그런데 징경이를 물수리라고 하는 사람과 원앙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서로 사이좋게 기대어 사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보아 원앙으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물고기인 전갱이를 징갱이와 같은 발음으로 파악한 김려는 이 물고기 이름을 원앙어 혹은 해원앙이라고 풀이한 것이다.
전갱이는 정개이(경남), 매가리(경남·전남), 각재기(제주), 아지(일본)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매가리는 전갱이의 어린 물고기를 말한다.
원앙어가 전갱이라면 김려가 살던 집 율티 염밭마을 이웃집의 어부 이씨가 거제 양곡에서 잡아온 물고기 역시 전갱이일 가능성이 크다.
전갱이는 낚시를 하면 한꺼번에 여러 마리가 잡힌다. 그러므로 동시에 잡은 물고기를 통에 넣어두면 입에 닿는 다른 물고기의 꼬리를 물고 죽을 가능성도 있다.
김려가 어느 날 이웃의 어부 이씨에게 어떤 물고기의 이름을 묻자 징갱이라고 답하였을 것이다.
나아가 김려가 '징경이는 원앙인데 이 물고기가 원앙어냐'고 되묻자 어부는 '이름이 같은 징경이면 원앙어 즉 징경이 물고기이지 않겠는가'라고 답하였을 것이다.
그러자 '원앙어면 원앙새처럼 사이가 좋으냐'고 물었을 것이고 어부는 '징경이(원앙어)가 낚시를 하면 연달아 꼬리를 물고 올라온다'고 하였을 것이다.
이것을 김려는 서로 지극히 사랑하는 물고기로 착각하였고 그것을 다시 남과 여의 사랑이야기로 승화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징경이 눈알을 가지면 사랑이 깊어진다는 이야기는 실제 민속인지 만들어진 이야기인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