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우리성5회 구석방한담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사람사는 이야기 [김재홍의 '박정희 권력의 DNA']<26> 박정희의 불평등 경제성장=박근혜의 '반 경제민주화' 유전자 /프레시안
rubicon 추천 0 조회 175 12.12.05 01:40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2.12.05 01:42

    첫댓글 박정희는 반 경제민주화의 시조였다. 그 박정희의 반 경제민주화 유전자는 공화당- 민정당- 민자당- 신한국당- 한나라당을 거쳐 새누리당으로 이어졌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새누리당의 박근혜 대선후보는 박정희의 딸이라는 생물학적 부녀관계 보다도 정치적, 사회경제적 유전자를 이어받은 것이 문제다. 그런데도 경제민주화를 구호로 내걸고 김종인 씨에게 맡겼다가 다시 그를 소외시킨 것이 바로 정치적 유전자가 흐르고 있다는 증거에 다름 아니다.

  • 작성자 12.12.05 01:43

    미국의 명성있는 한국학자인 시카고 대학의 브루스 커밍스 교수는 박근혜 후보가 지금 문재인 후보와 비슷한 대북정책을 내걸었지만 박 후보가 대통령이 될 경우 그것을 시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커밍스 교수는 "문신은 지울 수 있어도 유전자는 바꾸기 어렵다"고 갈파했다. 여기서 문신이란 정책을 말하고 유전자는 정책책임자의 기본철학과 정체성을 뜻한다. 박근혜 후보가 아버지 박정희의 대북대결주의 정책을 지울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을 시행해 나갈 철학과 정체성이 바뀌지 않을 것이고 그럴 경우 선거구호로 내놓은 정책은 '양두구육'이라는 얘기다.

  • 작성자 12.12.05 01:48

    첫째, 경제수준을 평가할 때 가장 흔히 동원되는 지표가 국민소득(GDP per capita)이다. 한국의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넘어서기 시작한 것은 1995년 이후부터다. 즉 권위주의 군사독재 정권이 막을 내리고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2년 후의 시점이다.
    박정희의 권위주의 독재가 극성을 부리던 유신체제기(1973~1979년) 국민소득은 △73년 483달러 △79년 1747달러였다. 유신체제 7년간의 연평균 국민소득을 계산해보니 937.6달러다. 겉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한강의 기적'이라는 경제성장은 실제 국민소득으로 보면 별것이 아니었다.

  • 작성자 12.12.05 01:51

    전두환정권(1980~1987) 아래서 국민소득은 △80년 1674달러 △87년 3368달러, 8년간 연평균 국민소득은 2290달러였다. 연평균 국민소득으로 보았을 때 전두환정권 아래서 박정희정권에 비해 59.1%나 증가했다.
    노태우정권(1988~1992)의 국민소득은 △88년 4467달러 △92년 7555달러, 7년간 연평균 국민소득은 6147달러였다. 노태우 정권에서 전두환 정권에 대비한 연평균 국민소득의 증가율은 62.7%에 이른다. 군부 정권이 종식된 뒤 들어선 민주화 민간정부인 김영삼 정부(1993~1997)의 국민소득은 △93년 8220달러 △97년 11,235달러, 5년간 연 평균 국민소득은 1만539.4달러였다. 노태우정권에 대비한 연평균 국민소득의 증가율은 41.7%였다.

  • 작성자 12.12.05 01:57

    김대중 정부(1998~2002)는 첫 해인 1998년부터 외환위기로 시작된 국제통화기금 IMF 관리사태 때문에 경제상황이 매우 어려웠다. 국민소득을 보면 첫 해인 1998년 7463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무려 50.5%가 하락했다. 경제위기의 심각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5년 만인 2002년에 12,094달러로 IMF 관리사태 이전의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김대중정부 시기 5년간의 연평균 국민소득은 1만 222.6달러로 IMF 사태 이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김대중정부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재벌기업의 방만한 경영을 구조조정하는 등 비상 정책을 편 것은 국가경제에 전반적으로 보약이 되었다

  • 작성자 12.12.05 01:58

    노무현 정부 시기의 경제지표들은 정상적이며 매우 바람직한 발전의 길로 들어섰음을 보여주었다. 5년 동안의 국민소득을 보면 △2003년 13,451달러 △2007년 21,653달러로 나타났다. 처음으로 2만 달러 선을 넘어선 것이다. 연 평균 국민소득은 17478.2달러였다.
    국민소득 2만 달러는 세계 경제대국의 반열에 들어선다는 신호일 뿐 아니라 민주정부에 의한 경제발전이라는 이론을 입증해준다. 권위주의 독재정권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참여와 자율성을 최대 국정목표로 삼은 민주정부 아래서 경제정책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성취한 것이다.

  • 작성자 12.12.05 02:01

    둘째로 중요한 경제지표는 인플레와 소비자 물가지수이다.
    권위주의적 경제개발의 대명사와도 같은 박정희의 유신체제 아래서 인플레율은 7년간 연 평균 15.6%를 기록했다. 각 정권별 연평균 인플레율을 보면 △전두환 정권 10% △노태우 7.4% △김영삼 4.8% △김대중 3.6% △노무현 3.3%로 나타났다. 이 통계수치로 보면 권위주의 독재정권일수록 인플레율은 더 높고 민주주의가 발전된 정부일수록 인플레율이 떨어지면서 소비자 물가지수가 안정된다. 권위주의 정부가 경제발전에 유리하다는 개발독재 옹호론자들의 주장과는 정면으로 반대됨을 알 수 있다.

  • 작성자 12.12.05 02:04

    셋째, 국민 생활의 실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경제지표가 실업율이다.
    각 정권별 연평균 실업률을 보면 △전두환 4.11% △노태우 2.8% △김영삼 2.6% △김대중 4.8% △노무현 3.6%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율 역시 권위주의 정권인 전두환 시기에 가장 높았고, IMF 관리사태를 막느라 기업의 구조조정과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강조되던 김대중 정부 때도 높은 편이었다.

  • 작성자 12.12.05 02:09

    넷째, 국가 전체의 경제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국제 무역수지이다.
    무역수지도 권위주의 정권인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시기(1961~1992년)는 만성적인 적자를 면치 못했다. 김영삼 정부(1993~1977년) 때도 무역은 적자상태였다. 수출대국을 지향하며 항상 수출진흥 정책에 독재권력을 기울였지만 무역의 대차대조표는 언제나 만성 적자였다. 만성적자였던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되는 것은 김대중 정부가 세계금융 위기를 극복한 1998년부터다. 그러니까 무역수지가 계속 흑자로 바뀐 것은 민주정부 시기였다. 무역수지는 민주정부 내내 계속 평균 연 2000만 달러 안팎의 흑자를 기록했다.

  • 작성자 12.12.05 02:16

    고질적인 무역적자가 흑자의 기조로 정착된 것은 김대중 정부 들어와서이며 노무현정부 때도 무역적자는 한 번도 없었다. 권위주의 정부 아래서 수출에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건설, 자동차, 선박 산업 등이었다. 그 비중이 김대중정부에 와서 지식·정보·문화 산업 쪽으로 바뀌었다. 수출산업의 이 새로운 업종은 부가가치가 종전의 품목들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부품도 모두 국내 두뇌산업에서 충당됐다. 민주정부의 힘인 국민 개개인의 자율성, 다양성, 창의성이 지식정보 산업의 발전에 밑거름이 됐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