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에 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새끼기린은 태어나면서 부터 일격을 당합니다. 키가 하늘 높이만큼 큰 엄마기린이 선 채로 새끼를 낳기 때문에, 새끼기린은 수직으로 곧장 떨어져 온몸이 땅 바닥에 내동댕이 쳐집니다. 충격으로 잠시 멍해져 있다가 간신히 정신을 차리는 순간, 엄마기린이 그 긴 다리로 새끼기린을 세게 걷어찹니다. 새끼기린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이제 막 세상에 태어났고, 이미 땅바닥에 세게 부딪쳤는데 사정없이 또 다시 걷어차다니 도대체 이해될 리가 없습니다. 아픔을 견디며 다시 정신을 차리는 찰라, 엄마기린이 또 다시 새끼기린을 힘껏 걷어찹니다. 처음보다 더 아퍼 비명을 지르며 고꾸라진 새끼기린은 이 상황을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어 머리를 흔듭니다. 그러다가 문득 한 순간에 깨닫습니다. 이대로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다가는 계속 걷어 차인다는 것을! 그래서 새끼 기린은 가늘고 긴 다리를 비틀거리며 기우뚱거리며 일어서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바로 그때 엄마 기린이 한 번 더 엉덩이를 세게 걷어찹니다.
충격으로 자빠졌다가 벌떡 일어난 새끼 기린은 달리기 시작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발길질을 당할 것을 스스로 깨우쳤기 때문입니다. 그제야 엄마기린이 달려와 아기 기린을 핥아주며 사랑으로 보듬기 시작합니다.
엄마기린은 잘 알고 있습니다. 새끼기린이 자기 힘으로 달리지 않으면 즉시 하이에나와 사자들의 먹잇감이 된다는 사실을! 그래서 엄마기린은 새끼기린을 걷어차는 것입니다. 달리며 생존하는 법을 빨리 배우라고.
<백 년 동안의 고독>을 쓴 마르케스는 "인간은 어머니가 그들을 세상에 내놓는 그 날에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 인간에게 태어남을 강요하는 것은 그 삶 자체이다." 라고 썼습니다. 인생은 우리에게 엄마 기린과 같습니다. 때론 삶이 우리를 세게 걷어차면 나약한 우리는 고꾸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비틀거리며 다시 일어나야 만 하고, 또 다시 걷어차이며 쓰러지기를 온전해질 때까지 반복해야 합니다. 우리는 쓰러지는 즉시 일어나 뛰어야 생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이 거친 세상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엄마기린 처럼 우리를 강하게 훈련시키십니다. 이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기도 합니다. 건강 하십시오. 행복 하십시오. 사랑 합니다🙆
🌀당신은 무엇을 위해 건강해 지고 싶은가? 한 걸음 더 나아가 누구를 위해 건강해지고 싶은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지요? 자신이 병에 걸리거나 가족이나 친척과 같은 주변 사람이 병에 걸릴 때가 있으며,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위해 건강하려 하는지 답을 갖고 있어야 하며, 한걸음 더 나아가 누구를 위해 건강하려 하는지도 늘 생각 해야하고, 우선은 나를 위해서 그 다음은 남에게도 도움이 되는 더 좋은 일을 위해서 건강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