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스바겐, 파워데이에서 2030 년 자체 설비용량 240GWh, 배터리 타입으로 각형 선정 발표
* 각형전지의 장점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결국에는 하이브리드 각형전지로 발전되어야 이상적
* LG 화학은 공격적인 원통형전지 증설을 통해 미래를 대비
폭스바겐, 배터리 주력 타입으로 각형 채택
폭스바겐은 전일 파워데이에서 미래 통합 배터리셀을 발표했으며 자체 설비용량 240GWh, 제조단가 -50%의 목표와 주력 타입으로 각형전지에 집중할 계획을 밝힘. 기존 폭스바겐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 Project 를 통해 2031 년까지 150GWh 의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이었으며, LG 에너지솔루션(유럽)과 SK 이노베이션(미국)으로부터 파우치타입을 CATL(중국)과 삼성 SDI(유럽)로부터 각형 배터리를 공급받아 왔음. 그러나 노스볼트를 통한 내재화 추진, 유럽의 전기차 밸류체인 통합 전략(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에 맞게 각형을 주력타입으로 결정한 것으로 보임
생애주기관점에서 볼 때 각형전지는 파우치 대비 우수한 내구성과 ESS 로의 확장도 용이하며 Vent 설치를 통해 화재사건에서도 나름 자유로운 특성을 보임. 파우치는 기술 진입장벽이 낮고 다품종 소량 생산이 용이해 후발업체에서 주력 타입으로 많이 선정하였으나, Edge 부위에서 전극이 떨어지면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분리막에 상처를 내어 쇼트가 발생해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었음.
이러한 복합적인 이유들을 고려해 폭스바겐이 각형전지를 미래 전지타입으로 선택했다고 판단. 그러나 각형전지도 3m 이상 와인딩시 빗감김 불량, 데드스페이스 발생, 전극이 길어 전자 이동 속도가 느려 출력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상적 이지는 않음
산업의 성장, 내재화, 고객사 변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
완성차 업체들의 배터리 업체 내재화와 특정 배터리 타입의 선정이 파우치를 주력으로 하고 있는 국내 업체 LG화학, SK이노베이션에 부정적인 것은 사실. 그러나 최근 LG 화학은 미국에 5 조원 이상을 투자해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할 것이라 발표. 2025 년까지 70GWh 의 생산능력 추가 확보가 예상되며 기존 미시간주 5GWh 와 GM 과의 JV 까지 합산하면 미국에 약 150GWh, 글로벌 400GWh 설비 확보 가능. 미국에 건설할 신규 공장을 통해 테슬라에 납품할 46800 원통형 전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당사는 연간전망 자료에서 향후 전기차 시장 구도가 테슬라 vs. Non-Tesla 의 형태로 진입하고 테슬라의 선제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 예상과 이를 위해서는 파나소닉 외에도 LG 에너지솔루션의 공격적인 증설이 필요하다고 언급. 원통형 전지는 CID 설치를 통해 열폭주 현상에서 자유로운 편이며 셀당 용량도 파우치, 각형보다 낮아 열관리에도 용이한 편. LG 화학은 최근 KONA 화재 이슈 일회성 비용을 2020 년 4 분기에 기반영해 악재는 소멸되었고, 원통형 전지 신규 증설 발표가 이어질 것을 긍정적으로 해석. 폭스바겐 파워데이 이슈는 산업의 빠른 성장과 완성차 업체들의 내재화 추진, 고객사 변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해석
유진 황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