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7장 14~27절 "겨자씨만 한 믿음"
변화산에서 내려오신 주님은 간질로 고생하는 아들을 둔 한 사람의 간절한 요청을 접하게 됩니다.
예수님은 변화산에서의 영광스런 모습에서 다시 사역의 현장, 일상(日常)의 현장으로 내려오셨습니다. 그리고 간질로 심히 고생하는 아들을 둔 한 사람이 자기 아들을 고쳐 달라는 요청을 받게 됩니다(14절, 15절).
그런데 이 아들을 고쳐 달라고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부탁을 했지만, 제자들이 고쳐주지 못하자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께 이 모든 상황을 이야기하였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믿음이 없고 패역한 세대여, 내가 얼마나 너희와 함께 있으며 얼마나 너희에게 참으리요”라며 한탄하십니다(17절).
믿음이 없고, 패역한 세대는 아마도 마가복음의 기록처럼 서기관들을 염두에 두시고 말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예수님의 제자들과 병을 고쳐 달라고 요청한 사람까지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병을 고치지 못한 것도 믿음이 부족한 탓이어서 그렇게 말씀하셨겠지만, 이러한 상황을 논쟁으로 삼는 것에 대한 책망도 포함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어떠한 일에도 문제 삼아 트집을 잡으려는 상황을 두고 하신 말씀으로 보입니다.
예수님께서 귀신을 꾸짖으시자 귀신이 나가고 아이는 치유되었습니다(18절).
이런 상황을 지켜보던 예수님의 제자들은 조용히 예수님께 왜 자기들은 귀신을 쫓아내지 못했는지 묻습니다(19절).
주님은 믿음이 작은 까닭이라고 말씀하시면서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 있어도 산을 명하여 옮겨지라 해도 옮겨질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20절).
마태복음에는 21절에 “(없음)”이라고 되어 있고, 기록이 안 되어 있지만, 마가복음 9:29에는 “기도 외에 다른 것으로는 이런 종류가 나갈 수 없느니라”는 말씀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믿음은 하나님을 향한 기도와 관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파송하셔서 전도하면서 귀신을 쫓아내고 병자들을 고쳤던 경험이 있는 자들이었습니다(마가복음 6:7~13).
그런데 오늘 본문의 상황에서는 아마 하나님을 의지하기보다는 자기들의 능력으로 해보려고 애썼던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에게는 권능이 없습니다. 우리에게는 귀신을 쫓아낼 능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의지하며 하나님께 기도하며 행하면 하나님의 능력을 하나님께서 일을 행하실 것입니다.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으로 하나님을 의지하더라도 하나님은 큰 능력을 행하실 것입니다.
그 후에 제자들은 갈릴리에 다시 모여 예수님으로부터 예수님께서 죽임을 당하시고, 제삼일에 부활하실 것이라는 말씀을 듣습니다(22절, 23절). 그런데 예수님의 이러한 말씀을 들은 제자들은 매우 근심했습니다(23절).
가만히 생각해보면,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예수님께서 메시아로서 행하신 구속(救贖)사역에 대한 말씀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신 목적을 수행하시겠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단지 고난과 죽음만을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 다시 살아나실 것에 대한 말씀도 하셨습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매우 근심했습니다.
물론 주님이신 예수님께서 고난과 죽임을 당하실 것이라고 하니 근심이 될 수 있겠지만, 예수님의 대속(代贖)사역을 충분히 이해했다면, 그러한 과정 속에서 제자들이 해야 할 일들을 깊이 생각해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아직도 예수님께서 메시아로서 행하실 사역에 대해 100% 이해하지 못한 제자들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24절 이후에는 성전세에 대한 에피소드(episode)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유대인 성인 남자라면 일 년에 한 번 반 세겔의 성전세를 내야 했습니다. 일반 화폐가 아니라 성전 화폐로 반 세겔을 내야 했는데, 반 세겔은 두 데나리온 정도 되는 금액입니다.
한 데나리온이 그 당시 노동자의 하루 품삯 정도 되는 금액이라고 합니다. 이 성전세는 성전을 유지하고 보수하는 비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가버나움에서 “반 세겔 받는 자들”(성전세를 받는 자들)이 베드로에게 “너의 선생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라고 묻습니다(24절). 아마 이것 역시 약간 트집을 잡으려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베드로는 아무 생각없이 “내신다”고 대답을 합니다(25절). 유대인 성인 남자라면 누구나 내는 성전세였으니 베드로는 예수님도 당연히 내셔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베드로가 집에 들어가자 예수님께서 먼저 베드로에게 한 가지 질문을 하십니다. 세상의 임금들이 누구에게 관세와 국세, 즉 모든 세금을 징수하느냐고 물으셨습니다. 자기 아들, 즉 왕자에게서 받는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받는지 물으신 것입니다(25절).
베드로는 당연히 왕자가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서 받는다고 답을 했고, 예수님은 맞다고 하셨습니다(26절).
이 말씀은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로서 이 땅에 오셨고, 성전은 하나님의 집이며, 하나님의 집에 내는 성전세를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실 필요가 있겠느냐고 반문하신 것과도 같습니다.
예수님은 이 말씀을 통해 예수님 자신이 메시아이시며,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다시 한번 명백하게 제자들에게 가르쳐 주신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성전세를 거두는 사람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해 성전세를 내시겠다고 하시며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낚은 물고기의 입을 열면 한 세겔이 나올 것이니 예수님과 베드로의 성전세로 내라고 말씀하십니다(27절).
주님께서는 성전세를 내지 않으시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까짓 반 세겔을 내지 못할 주님도 아니시기 때문입니다. 이 땅에 인간의 몸으로 입고 오셨기에 굳이 논란을 일으킬 필요가 없이, 그 의무를 다 하시겠다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바다에서 낚은 물고기에서 한 세겔을 얻도록 한 것은 만물의 주관자이신 주님께서 성전세 역시 주님께서 주관하시는 만물에서 나오는 것임을 보여주시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결단]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메시아이시며, 만물의 주관자이십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여러 가지 사건들을 통해 계속 강조하며 가르치시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메시아로서 이 땅에 오신 목적과 하셔야 할 사역에 대해서도 반복하며 말씀해주시고 있습니다. 이 사실을 믿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를 것에 대해 제자들에게 말씀하시고 있습니다. 그것이 곧 믿음이고, 이러한 믿음이 능력을 행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내가 믿는 예수 그리스도가 어떠한 분이십니까? 하나님의 아들, 전능자, 만물의 주관자, 만왕의 왕이십니다. 우리는 이러한 예수님을 주인으로 모시고 살아가는 자들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동행할 때 놀라운 능력을 힘입고 살아가게 될 줄 믿습니다. 그 축복을 이번 한 주간도 누리게 되길 소망합니다. 아멘! 202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