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子曰 富與貴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貧與賤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재물과 벼슬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나 그것이 정당한 도를 통해 얻는 것이 아니면 받아들이지 말아야 한다. 가난과 천함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나 그것이 정당한 도를 통해 얻은 것이 아니라도 버리지 말아야 한다.
○ 不以其道得之, 謂不當得而得之. 然於富貴則不處, 於貧賤則不去, 君子之審富貴而安貧賤也如此. 그 도로써 얻지 않는다는 것은, 마땅히 얻지 말아야 할 것을 얻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부귀에 있어서 곧 처하지 않고, 빈천에 있어서 곧 버리지 않으니, 군자가 부귀를 잘 살피고 빈천을 편안히 여기는 것도 이와 같은 것이다. 或問君子而有以非道得富貴者 何也 朱子曰 是亦一時不期而得之 非語其平日之素行也 혹자가 묻기를, “군자이면서도 도가 아닌 것으로써 부귀를 얻은 사람이 있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라고 하였다. 주자가 말하길, “이것은 또한 한 때에 기대하지 않았음에도 얻은 것일 뿐이니, 그가 평소에 행하는 것을 말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勉齋黃氏曰 博奕鬪狠奢侈淫肆之類 皆所以取貧賤之道 不以其道者 謂無此等事 而爲水火盜賊註誤陷於刑戮之類 以致貧賤也 면재황씨가 말하길, “도박(博奕), 싸움박질(鬪狠), 사치, 방탕방자함(淫肆)의 부류는 모두 빈천을 취하는 방도다. 그 도에 의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러한 일들이 없이, 물과 불이나 도적, 註誤(말을 잘못 전달함) 때문에 刑戮에 빠지는 부류로써 빈천에 이르게 되는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程子曰 無道而得富貴 其爲可恥 人皆知之 而不處焉 惟特立者能之 정자가 말하길, “도가 없으면서 부귀를 얻는 것은 부끄러워할 만한 것이 되니, 사람들도 모두 그것을 알지만, 그것에 처하지 않는 것이라면, 오직 단지 立者만이 능히 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朱子曰 不以其道得富貴 須是審 苟不以其道 決是不可受 不以其道得貧賤 却要安 蓋我雖是不當貧賤 然當安之 不可於上面計較云 我不當得貧賤 有汲汲求去之心 주자가 말하길, “그 道로써 부귀를 얻지 않는 것은 모름지기 잘 살펴보아야 한다. 진실로 그 道로써 하지 않는다면, 결단코 받아서는 안 된다. 그 도로써 빈천을 얻지 않는다면, 도리어 편안하게 여겨야 한다. 대체로 내가 비록 마땅히 빈천해서는 안 되는 것이지만, 그럼에도 그것을 편안하게 여겨야 마땅한 것이니, 윗사람에게 따지면서 ‘내가 빈천해져서는 부당하다’고 말하고. 그것에서 떠나기를 구하는 것에 급급한 마음을 가져서는 아니 된다.”라고 하였다.
問富貴不處 是安於義 貧賤不去 是安於命 蓋吾何求哉 (曰) 求安於義理而已 不當富貴而得富貴 則害義理 故不處 不當貧賤而得貧賤 則自家義理已無愧 居之何害 富貴人所同欲 若不子細便錯了 貧賤人所同惡 自家旣無愧義理 若更去其中分䟽 我不當貧賤 便不是 누군가 묻기를, “부귀에 처하지 않는 것은 義를 편안히 여기는 것이요, 빈천에서 떠나지 않는 것은 천명을 편안히 여기는 것입니다. 대체로 저는 어떤 것을 구해야 하는지요?”라고 하였다. 말하길, “義理를 편안히 여김을 구할 따름이다. 부귀함이 합당하지 않으나 부귀를 얻었다면, 곧 의리를 해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처하지 않는 것이다. 빈천함이 합당하지 않으나 빈천을 얻었다면, 곧 자신은 의리에 이미 부끄러움이 없으니, 그것에 거한다 할지라도 무슨 해가 되겠는가? 부귀란 사람들이 다 함께 바라는 것이지만, 만약 자세히 살피지 않는다면, 곧 잘못되는 것이다. 빈천은 사람들이 다 함께 미워하는 바이지만, 자신이 이미 의리에 대하여 부끄러움이 없는 경우에, 만약 또다시 그 안에 가서 내가 빈천한 것이 부당하다고 변명(分疏: 해명하다, 나누어서 소통시키다)한다면, 이는 곧 잘못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富貴不以道得之 如孔子主我衛卿可得之類 부귀를 도로써 얻지 않는다는 것은 예컨대 ‘공자가 나를 주인으로 하여 내 집에서 머문다면 위나라 경 자리를 얻을 것이다.’라는 부류다.
葉氏曰 富貴不苟處 則可以長處樂 貧賤不苟去 則可以久處約 섭씨가 말하길, “부귀에 구차하게 처하지 않으면, 오래까지 즐거움에 처할 수 있고, 빈천에서 구차하게 떠나지 않는다면, 곤궁함에 오래도록 처할 수 있다.”고 하였다. |
2 | 君子去仁 惡乎成名 군자가 인을 버리면 어디에서 이름을 낼 수 있겠는가.
○ 言君子所以爲君子, 以其仁也. 若貪富貴而厭貧賤, 則是自離其仁, 而無君子之實矣, 何所成其名乎? 군자가 군자가 되는 까닭은 바로 그 仁 때문이니, 만약 부귀를 탐하고 빈천을 싫어하면, 곧 이것은 스스로 그 仁을 떠나는 것이므로, 군자의 실질이 없게 되는 것이니, 어디에서 그 이름을 이룬단 말인가? 라고 말한 것이다.
慶源輔氏曰 貪字與審字相反 厭字與安字相反 경원보씨가 말하길, “貪자와 審자는 상반되고, 厭자와 安자가 상반된다.”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君子去仁 惡乎成名 是結上生下 쌍봉요씨가 말하길, “‘군자가 인을 떠난다면, 어디에서 이름을 이룰 것인가?’ 라는 말은 윗말을 매듭짓고, 아랫말을 낳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新安陳氏曰 名者實之賓 因名字而遡其實 신안진씨가 말하길, “이름이라는 것은 실질의 손님이니, 名자로 인해 그 실질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3 | 君子無終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顚沛必於是 군자는 밥을 먹는 잠깐 사이에도 인을 어기지 말아야 한다. 긴급한 상황에도 반드시 인에 근본을 두어야 하며, 자빠지고 엎어지는 사이에도 반드시 인에 근본을 두어야 한다." ”라고 하셨다.
○ 終食者, 一飯之頃. 造次, 急遽苟且之時. 顚沛, 傾覆流離之際. 蓋君子之不去乎仁如此, 不但富貴貧賤取舍之間而已也. 終食이라는 것은 밥 한 끼 먹는 시간이다. 造次란 갑작스럽고 급하며 구차한 때이다. 顚沛란 쓰러지고 엎어지며 떠돌아다니는 즈음이다. 대개 군자가 仁을 떠나지 아니함이 이와 같은데, 단지 부귀와 빈천을 취하고 버리는 상황에만 그러할 뿐인 것은 아니다.
朱子曰 杜預謂 草次之期言草草不成禮也 便是此意 左傳 過信爲次 亦是苟且不爲久計之意 苟且是時暫處 非如大賓大祭之時 顚沛如曾子易簀之時 주자가 말하길, “두예는 草次之期를 대충대충하여 예를 이루지 못한다고 말했는데, 바로 이 뜻이다. 좌전에서 나오는 過信爲次(信을 넘어가면 次가 된다)도 역시 구차하고 오랫동안 계획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苟且하다는 것은 때때로 잠시 처하는 것이니, 大賓을 맞이하거나 大祭를 올릴 때와 같은 것이 아니다. 顚沛는 증자가 대자리를 바꿀 때와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無終食違仁 是無時而不仁 造次顚沛必於是 是無處而不仁 밥을 다 먹을 시간 동안에도 仁을 벗어남이 없다는 것은 어질지 않은 때가 없다는 것이고, 造次顚沛의 경우에도 반드시 여기에 머물러 있다는 것은 어질지 않은 곳이 없다는 것이다.
西山眞氏曰 此章當作三節看 處富貴貧賤而不苟 此一節 猶是麤底工夫 至終食不違 又是一節 乃存養細密工夫 然猶是平居暇日事 可勉而至 至於造次急遽之時 患難傾覆之際 若非平時存養已熟 至此鮮不失其本心 若能至此 猶必於是仁 乃至細密工夫 其去安仁地位 已不遠矣 然若無麤底根基 豈有遽能造於細密者 故必以審富貴安貧賤爲本 然後能進於此 乃用功之序也 서산진씨가 말하길, “이 장은 마땅히 3절로 나누어 보아야 한다. 부귀와 빈천에 처하되 구차하지 않게 한다는 것, 이것이 1절인데, 오히려 거친 공부이다. 밥 한 끼를 다 먹을 시간에라도 仁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 또한 1절인데, 곧 마음을 보존하고 수양하는 세밀한 공부다. 그러나 도리어 평소 기거하며 한가로운 날에 하는 일을 열심히 하여 이를 수 있는 것이다. 급하고 갑작스런 시간과 환난으로 쓰러지고 엎어지는 즈음에 이르러서, 만약 평시에 存養함이 이미 무르익지 않은 사람이라면, 여기에 이르러서 그 본심을 잃지 않는 경우가 드물다. 만약 여기에 능히 이를 수 있다면, 오히려 반드시 이 仁에 머물 것이니, 마침내 지극히 세밀한 공부인 것이다. 그것은 仁을 편하게 여기는 경지로부터 이미 멀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만약 거친 기초가 없었다면, 어찌 갑자기 세밀한 곳에 나아갈 수 있었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부귀를 잘 살피고 빈천을 편안하게 여기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고, 그렇게 한 후에 여기에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공부에 힘을 쓰는 순서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 言君子爲仁, 自富貴貧賤取舍之間以至於終食造次顚沛之頃, 無時無處而不用其力也. 然取舍之分明, 然後存養之功密; 存養之功密, 則其取舍之分益明矣. 군자가 仁을 행함에 있어, 부귀와 빈천을 취사선택하는 상황에서부터 밥을 먹거나 급하고 갑작스럽거나 쓰러지고 엎어지는 때에 이르기까지, 그 힘을 쓰지 않는 때와 곳이 없다는 것을 말하였다. 그러나 취하고 버림의 구분이 명확해진 연후에 보존하고 수양하는 공이 치밀하게 되고, 보존하고 수양하는 공이 치밀해지면, 곧 그 버리고 취하는 구분이 더욱 명확해지는 것이다.
朱子曰 此言內外大小 皆當理會 外若不謹細行 則內何以爲田地根本 內雖有田地根本 而外行不謹 則亦爲之搖奪 如世間固有小廉曲謹而臨大節無可取者 亦有外面界辨分明而內守不固者 주자가 말하길, “이는 내외와 대소를 모두 다 마땅히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밖으로 만약 삼가서 세밀하게 행하지 않는다면, 곧 안에서 무엇으로 바탕과 근본으로 삼을 것인가? 안으로 비록 바탕과 근본이 있다고 할지라도, 밖으로 행하는 것을 삼가지 않는다면, 역시 그것에 의해서 동요되거나 빼앗기고 말 것이다. 마치 세간에는 본래부터 작은 것에 청렴하고 소소한 것을 삼가면서도 大節에 임해서는 취할만한 것이 없는 자가 있는 것과 같다. 또한 외면으로는 경계를 구분함이 분명하지만, 안으로는 지킴이 굳세지 않은 자도 있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다.
慶源輔氏曰 取舍之分在外 審富貴安貧賤 是也 而實有助於內 存養之功在內 所謂無終食造次顚沛之違 是也 而實有益於外 故取舍明 則存養愈精密而無違缺之處 存養密 則取舍愈分明而無疑似之差 경원보씨가 말하길, “취하고 버리는 구분은 밖에 있으니, 부귀를 잘 살피고 빈천을 편안히 여기는 것이 바로 이것이지만, 실제로는 안에도 도움이 된다. 마음을 보존하고 수양하는 功은 안에 있는 것이니, 이른바 밥 한 끼 먹을 동안이나 급하고 갑작스러운 때나 쓰러지고 엎어지는 환난의 시기에서라도, 仁에서 벗어남이 없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지만, 실제로는 밖에도 유익함이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취하고 버림이 분명하면, 곧 마음을 보존하고 수양함이 더욱 정밀해져서 벗어나거나 어그러진 부분이 없고, 마음을 보존하고 수양함이 정밀하면, 버리고 취함이 더욱 분명해져서 유사함으로 인한 잘못이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天下之所同欲者 莫如富貴 所同惡者 莫如貧賤 雖君子之心亦無以異於人也 然人之常情 欲之 則必趨之 惡之 則必避之 鮮有不因是而喪其所守者 惟君子則不然 於富貴未嘗不欲而得之 不以其道 則寧避之而不處 於貧賤未嘗不惡而得之 雖不以道亦寧安之而不去 是何君子欲惡之與人同 而去取之與人異邪 誠以富貴雖可欲而所欲有大於富貴者 貧賤雖可惡而所惡有大於貧賤者 千乘萬鍾得之 若可以爲榮 然義之不度而有害於吾本心之仁 則適足以爲辱 不得之 若可以爲戚 然命之能安而無害於吾本心之仁 則乃所以爲樂 人能知此而於二者之間審所擇焉 則天理人欲去取之分判然於中 而存養省察以全吾本心之仁者 自有不容已者矣 是以古之君子 戰戰兢兢 靜存動察 不使一毫慢易非僻之私 得而留於其間 而有終食之違焉 造次之時 人所易忽也 而不敢忽 顚沛之地 人所易忘也 而不敢忘 必使此心之仁 無頃刻之間斷 無毫釐之空闕而後 爲至焉 此其所以動靜周流隱顯貫徹 而日用之間無非天理之流行也 쌍봉요씨가 말하길, “천하가 다같이 하고자 하는 것 중에 富貴만한 것이 없고, 다같이 미워하는 것 중에 貧賤만한 것이 없다. 비록 군자의 마음이라 할지라도, 역시 남과 다를 게 없는 것이다. 그러나 人之常情上 어떤 것을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그것에 몰려들 것이고, 미워한다면 반드시 그것을 피할 것이다. 이것으로 인해 자신이 지키는 바를 잃지 않는 사람이 드물지만, 오직 군자만이 그렇지 않다. 부귀에 대하여 일찍이 얻고자 바라지 않는 적이 없었지만, 그 도로써 얻지 않는다면, 차라리 피하고 말지 그것에 처하지 않고, 빈천에 대하여 일찍이 얻는 것을 미워하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 비록 그 道로써 얻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역시 차라리 그것을 편안하게 여기고 말지 그것을 떠나지 않는 것은, 이 어찌 군자가 바라고 미워하는 것이 남들과 같으면서도, 떠나고 취하는 것은 남들과 다른 것이 아니겠는가? 진실로 부귀가 비록 바랄만한 것이지만, 바라는 것 중에 부귀보다 더 큰 것이 있는 것이고, 빈천이 비록 미워할 만한 것이지만, 미워하는 것 중에 빈천보다 더 큰 것이 있기 때문인 것이다. 천승의 수레와 만종의 녹봉을 얻는 것이 만약 영광으로 삼을 만한 것일지라도, 그러나 義를 헤아리지 않아서 내 본심의 仁에 해가 된다면, 마침 치욕으로 삼기에 족한 것이다. 이를 얻지 않는 것이 만약 슬퍼할 만한 것일지라도, 그러나 천명을 능히 편안하게 여길 수 있어서 내 본심의 仁에 해가 됨이 없다면, 마침내 이 때문에 즐거움으로 삼는 것이다. 사람이 능히 이것을 알아서 이 2가지 사이에서 가려 택할 바를 살필 수 있다면, 天理와 人欲을 버리고 취하는 구분이 가슴속에 확연해지면서도, 存養과 省察로 내 본심의 仁을 온전히 하는 것에 그만두는 것을 용납하지 않음이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옛날의 군자는 전전긍긍하며 고요함에 마음을 보존하고 움직임에 성찰함으로써, 터럭 하나만큼의 게으르고 쉽게 봄과 그르고 편벽됨의 사사로움이 그 사이에 남아 있지 않게 해서, 밥 한 끼 먹을 동안에도 仁에서 벗어남이 있도록 하지 않았던 것이다. 造次의 갑작스러운 때는 사람들이 소홀하기 쉬운 때이지만, 감히 소홀히 하지 못하고, 顚沛의 위급한 곳은 사람들이 잊기 쉬운 곳이지만, 감히 잊지 못하는 것이다. 반드시 이 마음의 仁으로 하여금 경각이라도 중간에서 끊어짐이 없도록 하고, 터럭만큼이라도 비거나 빠짐이 없도록 한 후에서야 이것에 지극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動靜에 두루 흐르고 숨김과 드러남에 관철해서, 일상생활을 하는 사이에 天理가 흘러 행해지는 것이 아님이 없는 까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