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세종병원 방지석 과장 “장기간 고열 지속 소아, 가와사키병 주의해야” - 개미뉴스
“장기간 고열이 지속되는 소아는, 가와사키병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부천세종병원 방지석 과장(소아청소년과)...
www.antnews.co.kr
(개미뉴스) 부천세종병원 방지석 과장 “장기간 고열 지속 소아, 가와사키병 주의해야”
- 소아 연령서 가장 흔한 후천성 심장질환 가와사키병, 빠른 치료가 중요
“장기간 고열이 지속되는 소아는, 가와사키병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부천세종병원 방지석 과장(소아청소년과)은 “최근 소아 연령에서 가장 흔한 후천성 심장질환이 가와사키병”이라며 “질병의 진단시 가능한 한 빨리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해 치료해야 한다”고 15일 이같이 밝혔다.
가와사키병은 급성 열성 혈관염이다.
1967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돼 이처럼 명명됐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근경색 또는 급사의 원인이 되는 관상동맥 합병증(확장, 동맥류)이 발생할 수 있다.
가와사키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특정 연령층에서 잘 발생하고 지역적, 계절적 호발 현상을 띈다.
국내 역학조사 결과를 보면, 가와사키병 환자는 5세 이하 영유아가 87%를 차지한다. 주로 여름(6~8월)과 겨울(12~1월)에 발병한다.
발병 규모는 (5세 미만)인구 10만 명당 127.7명으로, 남녀 비는 1.44:1이다. 재발률은 3.83%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방 과장은 “가와사키병은 특징적 임상 증상을 나타내므로 어떤 감염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특정 병원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며 “아시아인 어린이에게서 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으면 발병률이 증가해 유전적 소인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고 설명했다.
증상은 주로 38.5℃ 이상의 고열이다. 해열제를 복용해도 정상체온으로 잘 떨어지지 않으며 항생제에 반응이 없다. 치료하지 않으면 발열은 1~2주간 지속되며, 심한 경우 3~4주까지 유지된다. 발열 기간이 길수록 관상동맥 합병증이 잘 생기게 된다.
* 전체 기사 보기
http://www.a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