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재정 압박이 갈수록 거세진다는 데에 있다. 내년이면 노인 인구가 1000만 명(전체 인구의 19.4%)을 돌파한다. 향후 10여 년간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인 대열에 들어서면서 2045년엔 고령화율(37%)이 일본(36.7%)을 추월할 전망이다. 2070년엔 인구 절반가량(46.4%)이 만 65세 이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만 65세 이상을 일률적으로 노인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불합리한 측면이 없지 않다. 국민이 체감하는 65세의 신체 역량이나 사회·경제적 활동도 40여 년 전과 달라졌다. 대한노인회도 2015년 노인 기준 연령을 단계적으로 올리자고 제안한 바 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노인 기준 상향 논의는 불가피하다.
그러나 무작정 노인 연령만 올려 혜택을 박탈해선 안 된다. 김호일(81) 대한노인회장의 말처럼 “퇴직 후 벌이가 없는 상태에서 혜택만 줄이면 사각지대가 생기기 때문”이다. 차비 아끼자고 덜컥 기준만 올렸다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노인빈곤율 1위 국가로 가뜩이나 취약한 노인들의 사회안전망이 무너질 수 있다.
노인 기준 상향은 정년 문제 등 고용·복지 이슈와 함께 논의하는 게 옳다. 마침 연금개혁의 방향도 은퇴 시기를 늦춰 납부 기간과 수급 연령을 모두 높이는 쪽으로 수렴되고 있다. 정년 연장과 함께 노인 기준 상향을 자연스럽게 논의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단기적인 이슈몰이로 접근할 게 아니라 국민 의견을 충분히 듣고 차근차근 문제를 풀어나가기 바란다.
seon****11분 전
욕은 이만.. 원래 인간들 특히 간신언론인들은 눈치가 빠르니까, 바람이 불기 전에 알아서 엎드리는.. 현실적으로 어르신들, 지하철, 전철 없는 비도시권에 사시는 분 들도 많고, 수도권에 사셔도 무임승차권 안쓰시는 분들도 많다. 어떤 교통수단을 택하여도, 좀 공평하게 분담하려면, 무임승차권에 한 달에 얼마 등 금액이 자동 충전되게하여, 지하철이나 전철 뿐 아니라 버스를 타더라도 (원하시면 택시를 타셔도..) 결제되게 해주는게 좋을듯하다.. 쓸 때마다 잔액이 단말기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잔액을 알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평일 출퇴근 시간대인 8시 ~ 9시반 사이에는 일반요금의 80 퍼센트가 빠져나가게, 그 외의 한가한 시간대에는 무임으로, 또는 지금의 기초연금처럼 소득에 기초하여, (앞으로 5년 정도는 기초연금액 매년 인상을 중단하고) 하위 몇 퍼센트는 한 달에 3 만원 이든, 교통지원금을 현금으로 지급, 교통기관 이용안하시는 분들은 다른 용도로도 사용하게 해드리면 어떨지..
좋아요2화나요0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seon****27분 전
개중공일보야, 너거들 참 잘났다 ! 지금이 논의 시작할 때라고 ? 늦은거야.. 문개인 정권 5년 동안은 입 처닫고 있다가.. 정치인들이 웅얼거리니까 이 때라고 ? 노동개혁, 연금개혁, 교육개혁 등 국민들 머리 아프게 만드는 개혁은, 표 떨어질까봐서, 아무말 않고 5년 보낸 문개인 정권 때, 너희들도 같이 입 처닫고 부역했잔하아 ? 제 때에 할 말 안한 언론기관이 무슨 정통언론이냐 ? 개기레기넘들아 전원 할복 자살해라 ~
좋아요2화나요0
댓글 옵션 버튼 펼치기/닫기
door****3시간 전
노동력이 없거나, 노동으로도 가난을 벗어나기 힘든 경우에 생계비를 지원하고 있지 않은가 ? 꼭 필요하다면 저소득층에게 지원이 필요한 것이지, 일반 시민에게 지급하는 것은 일종의 세금 과소비 아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