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구석기·신석기 문화 |
◈학습 목표◈ ◆만주와 한반도 지역의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기온의 변화에 따라 나타난 신석기 시대의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다. |
|
|
|
2)신석기인 간석기로 농사짓고 토기에 저장하다 ①신석기 시대의 시작 : 기원전 1만년전, 빙하기가 끝난 간빙기에 시작 기후 온난, 해수면이 높아져 오늘날의 만주 한반도 지형 탄생, 작은 짐승 등 먹을 것 풍부해짐 ② 신석기 시대의 유적지 : 강가나 바닷가 - 제주도 한경 고산리, 강원도 양양 오산리, 서울 강동 암사동, 부산 동삼동 - 평북 의주 미송리, 함북 웅기 굴포리, 황해 봉산군 지탑리 등 한반도 전역에 분포 ③ 신석기 시대의 유물 - 간석기 : 돌칼, 돌창, 돌화살촉, 돌괭이, 돌보습, 돌낫, 돌갈판 등 - 뼈 도구 : 뼈바늘, 뼈낚시, 뼈낫, 장신구 등 - 토기의 제작 : 조리와 음식물 보관에 사용 |
전 기 |
| 후 기 |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 ▶▶▶▶▶ |
④ 생활 방식 - 생활의 변화 [사냥, 고기잡이, 채집 생활▶▶▶▶ 농경과 가축 사육의 시작] - 농경 생활의 증거 : 돌괭이, 돌보습, 돌낫, 갈돌과 갈판, 불에 탄 좁쌀 등이 발견됨 - 의생활 : 뼈바늘, 가락바퀴 등을 이용하여 옷, 그물 제작 - 집터 : 움집 - 조개무지 : 조개더미(일명 패총) ⑤ 예술과 신앙 활동 - 시신을 땅이나 토기를 이용하여 매장, 조개 가면, 치레걸이 제작 - 바위그림, 흙으로 빚은 여인상을 통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 (교과서는 흙인형으로 표현) |
1. 2001년도 중2 국사 교과서는 신석기의 연대가 기원전 6000년에 시작되었다고 나와 있었습니다. 그런데 현재 교과서에는 1만년전에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이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2.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점은 무엇인가?
|
제주 한경 고산리 유적지 발굴로 우리나라 신석기 시작 연대를 1만년전으로 비정할 수 있었다. |
|
|
|
정답을 알고 싶으면 위의 빗살무늬토기 그림을 누르세요. |
3. 인류는 신석기 시대가 되어서야 토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구석기 시대에는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어디에 보관하였을까? 정답은 이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4. 덧무늬 토기는 왜 토기 이름이 덧무늬일까? |
*다음 그림들을 보고 토기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 봅시다.
|
|
♣지도를 통한 탐구학습♣ 5. 다음 지도는 교과서 11쪽 우리나라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유적 분포도이다. 이 지도를 보고 신석기인들이 주로 살았던 지역은 어디였는지 발표해 보자.
|
6. 빗살무늬토기는 왜 밑을 쓰기 불편하게 뾰족하게 만들었을까?
정답을 확인하려면 이 게시물 가장 아래로 가세요. |
7.'빗살무늬토기는 표면에 빗살의 무늬가 있기 때문에 이름이 빗살무늬토기이다.' 이 말은 맞을까, 틀릴까?
|
8. 다음 간석기 사진을 보고 어디에 사용하는 도구 였는지 추측해 봅시다.
|
9. 다음은 신석기 시대 어떤 뼈도구의 모습이다. 어디에 사용하는 것인지 상상하여 발표해 봅시다 .
|
10. 다음 간석기 사진을 보고 어디에 사용하는 도구 였는지 추측해 봅시다.
|
♣ 부산시 동삼동 신석기 유적지의 모습을 보고 신석기인들이
|
수혈식 주거 형태로 깊이가 깊고, 움집 가운데는 화덕의 흔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
|
|
|
|
신석기 사회는 부족의 가장 지혜롭고 경험이 많은 부족장이 부족회의를 주재하는 공동체 사회 였다. |
그림 위는 조개 무지이며 그림 아래는 복원된 조개 예술품들이다. 그 중 첫번째 것은 사람 얼굴 모양을 하고 있다. 나머지는 팔찌로 생각된다. |
1. 우리나라 신석기의 가장 대표적인 조개무지에는 부산시 동삼동 조개무지가 있습니다. 왜 조개무지가 신석기시대의 가장 중요한 유적지로 취급될까요? 이것에 대해 재홍과 수민 두학생이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어느 학생 생각이 옳을까요?
재홍: 그야 신석기인들이 조개를 잡아 먹고 살았다는 것을 알려 주니까 그렇지. 수민: 아니야. 신석기인들이 조개껍데기를 버리면서 다른 못쓰는 도구도 버려서 그럴거야.
|
2. 암사동 선사 시대 주거지에 복원되어 있는 신석기 시대 무덤의 모습이다.
정답을 확인하려면, 이 게시물 가장 아래로 가세요. |
2-1. 울산 후포리 신석기 무덤에서는 시신의 뼈를 추려 구덩이 안에 넣고, 그 위를 돌도끼로 덮어 놓았는데 무려 돌도끼가 180개가 발견되었다. 또 연령층을 조사하니, 40구가 묻힌 무덤에서 20대가 많았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어떤 역사적 사실을 추정해 볼 수 있을까?
정답을 확인하려면, 이 게시물 가장 아래로 가세요. |
치레걸이로 장식한 신석기 시대 여성
- 삽화 위 두개 두산동아 역사(1), 삽화 가장 아래 대교 역사(상) 교과서 -
|
강원도 양양 오산리에서 발견된 흙으로 빚은 얼굴 조각이다 |
부산 동삼동 조개무지에서 발견된 사슴 그림이 그려진 빗살무늬 토기 조각 |
울산시 서생면 신암리에서 1974년 발굴된 흙으로 빚은 여인상 10cm 정도의 작품으로 풍만한 가슴과 잘룩한 허리 모습 등 '신석기의 비너스'로불린다. 연구자들은 흙으로 지모신(地母神)을 빚어 농사의 풍요를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3. 2005년 4월, 경남 창녕의 신석기 인들이 도토리를 보관하던 저장 구덩이 속에서 5,6천년전의 다량의 도토리가 발굴되었다. 또 주변에는 뇌가 돌칼로 제거된 사슴과 개, 멧돼지의 턱 부분의 뼈와 돌갈판, 갈돌등이 발굴되었다.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신석기인들의 식생활을 어떻게 추정할까?
|
4. 2007년 2월 각 언론은 "한국판 폼페이 유적 발굴!" 이라는 제목으로 제주도 서귀포시 하모리 유적이 한국판 폼페이 유적으로, 유적 전면 위로 1m 이상의 화산재가 쌓여있어 5000년 전의 갑작스런 화산 폭발로 이 ‘신석기유적’이 순식간에 매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하였다. 그런데 이 하모리 유적에서 전복은 단 한 개 밖에 발견되지 않았고 대신, 직경 1.~2cm정도밖에 안되는 조개껍데기는 721개나 발견되었다. 이것을 통하여 학자들은 신석기 시대 하모리 지역 사람들의 식생활에 대하여 어떤 사실을 추정할 수 있었을까?
|
*고고학자가 되어 다음의 두 신석기 시대의 예술품을 분석해 보자.
5-1. 각 각 무엇을 나타내고자 한 예술품일까?
5-2. 이 예술품에서 역사학자들은 신석기 인들의 어떤 생활을 알 수 있을까?
정답은 이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고고학자가 되어 다음의 예술품을 분석해 보자. 6-1. 각각 무엇을 나타내고자 한 예술품일까?
6-2. 이 예술품에서 역사학자들은 신석기 인들의 어떤 종교 생활을 알 수 있을까?
정답은 이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7. 다음 그림은 신석기에서부터 청동기까지의 선사 시대인들이 벽에 새겨 놓은 바위그림 중 일부이다. 연구자들은 이 바위 그림에서 신석기 인들의 어떤 생활을 알 수 있을지 발표해 보자.
정답은 이 게시물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
- 대교 역사(상) 교과서 수록 삽화 -
|
|
◐과제 부과◑
‘ 뗀석기, 간석기, 뼈도구 등을 직접 만들어 오기’ |
8-1. 다음중 구석기 시대에 속하는 것은(구), 신석기 시대에 속하는 것에는 (신) 구석기 신석기 모두 해당되는 것은 (구,신)이라고 쓰시오 ①동굴 벽화를 남겼다. ( ) ②움집에서 거주하였다.( ) ③뼈도구를 사용하였다.( ) ④돌마치, 새기개, 찍개, 자르개, 주먹 도끼, 밀개 ( ) ⑤암사동, 미송리, 지탑리, 오산리등의 유적지( )
8-2. 그릇 표면에 직선 또는 곡선을 평행으로 새긴 무늬를 넣었으며 밑이 뾰족한 신석기 시대에 사용된 대표적인 토기는 ?
8-3.신석기 시대에 접어들어 인류의 경제생활은 획기적으로 발전 하였으며 그 결과 신석기 인들은 이동 생활을 하지 않고 한 곳에 정착하여 살게 되었다. 이는 무엇의 결과인지 10자 내외로 쓰시오.
8-4. 신석기 시대를 특징 짓는 대표적인 유물 2가지는 무엇인가? |
1. ♪♬잘 맞추었나요? 더 오랜 시기의 유물이 발견되면, 연대가 올라가기 때문이지요♪♬
2. 재호가 정답입니다.
3. ♪♬파인애플을 생각해 보세요. 야자수 열매 속이나 건조 기후 지역에서는 타조알이 두꺼워 타조 알껍데기 속에 보관하였답니다~♪♬
4. ♪♬말 그대로 무늬가 덧 붙여져 있어서 덧무늬랍니다~♪♬
5. 4. ♪♬지도를 잘 살펴 보세요. 주로 강가나 해안가에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
6. ♪♬잘 맞추었나요? 강가 바닷가에 살았기 때문에 모래에 푹 꽂아 놓고 사용하기 위해서랍니다~♪♬
7. ♪♬아닙니다. 빗살을 이용한 기구로 무늬를 냈기 때문에 빗살무늬토기라고 붙여진 것이랍니다.♪♬
8. ♪♬재호가 정답입니다. 돌도끼인데 밭갈이 용 랍니다~♪♬
9. ♪♬건주가 정답입니다. 낚시용 뼈도구들입니다~♪♬
10. ♪♬원영이 정답입니다. 돌톱이랍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잘 맞추었나요? 수민이 정답입니다.♪♬
2. ♪♬태양을 숭배하는 애니미즘 신앙을 엿볼 수 있습니다♪♬
2-1 ♪♬돌도끼를 신성시 하고, 인간의 수명이 의학이 발달한 오늘날은 80대이지만, 당시 신석기 시대는 20대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신석기인들은 도토리를 가루내어 먹었고, 갓 잡은 동물의 신선한 뇌를 먹었다고 생각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답니다♪♬
4. ♪♬하모리 사람들이 전복을 먹는 일은 거의 드물었고, 조개탕을 끓여 먹었다는 것을 추정하였다. 1~2cm의 조개들은 조갯살을 꺼내기 힘들기 때문이다♪♬
5-1. 남자의 성기와 여성을 나타내어 조각한 것입니다.
5-2. ♪♬ 종족의 번성을 기원하는 신앙생활을 엿볼 수 있습니다.♪♬
6-1. ♪♬웅기군 굴포리 서포항유적에서 발견된 것으로 새와 개를 조각한 것입니다♪♬
6-2. ♪♬신석기인들의 토테미즘을 엿볼 수 있습니다♪♬
7. ♪♬사냥과 고기잡이 생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답니다♪♬
8-1. 구-신-구,신-구-신
8-2.빗살무늬토기
8-3.농업과 목축 혹은 가축 사육의 시작
8-4.간석기,빗살무늬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