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에서 발해의 중앙관제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사실만을 골라 묶은 것은?
ㄱ. 국가의 중대사는 귀족합의제에서 결정하였다.
ㄴ. 당의 3성 6부제를 수용하였으나, 독자성을 찾을 수 있다.
ㄷ. 6부의 명칭을 통하여 유교이념이 보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ㄹ. 중정대는 관리들의 비위를 감찰하였다.
1- ㄱ ㄴ ㄷ ㄹ 2- ㄱ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ㄹ
답이 3번이라고 되있는데요,, 정당성도 합의기구 아닌가요,, 정말 시원하게 알구싶습니다..
그리고,,
답변
아 어려운 질문이군요
일단 과거 기출문제를 보거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정치제도사의 가장 큰 공통점을 이야기할 때 귀족합의제의 발달을 답으로 하지요 그렇게 하면서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발해의 정당성 고려의 도병마사 조선의 의정부 등을 예로 들지요
여기서 발해의 정당성의 성격을 설명하면
1. 대내상을 장관으로 하는 행정기구- 국왕의 정령을 집행하는 기구
2. 정당상의 장관인 대내상이 선조성의 좌상과 중대성의 우상을 지휘하는 것을 근거로 하여 합좌기구의 최고의장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이병도)
또 최고관부인 정당성의 정당이란 명칭은 정사를 의논하는 합좌기관의 뜻을 가진 것으로 보아 이곳에서 귀족들이 국가의 중대사를 회의 결정하였을 것이다(변태섭 한국사통론 154페이지)라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조선 후기 여러 붕당이 형성되어 정쟁이 전개된 근본적인 원인은?
1-양 난 후의 민생 문제에 대한 정치적 분쟁
2-왕권의 약화와 비변서 기능의 강화
3-양반 수의 증가와 양반 계층의 분화
4-양반들의 특권과 지위
3번 4번 답이 중복이 되있든데,, 어느게 진짜 답인가요,, ㅠㅠ
답변
근본적인 원인은 3번이겠지요 3번으로 인해 4번의 조건을 지키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붕당정치가 전개되었던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