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신경통
좌골신경통에는 관리와 예방이 중요~!
좌골신경통에 좋은 체조 5가지
지끈지끈.. 콕콕..
좌골신경통의 시작이다.
한 번 찾아오기 시작하면 언제든지 또 찾아올 수 있는 좌골신경통.
그 이유는 좌골신경통의 원인이 되는 잘못된 자세, 운동부족의 습관,
업무나 학습환경 등이 하루아침에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이 쌓이고 쌓여서 오늘의 좌골신경통을 만들었다.
그렇기에 좌골신경통은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일단 좌골신경통이 시작되면 자세를 바로 잡거나
허리에 좋은 운동을 한다고 해도
좌골신경통은 금방 사라지지 않는다.
좌골신경통이 찾아오기 전에 자세를 고쳐나가고
허리를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자.
장시간 앉아서 혹은 일어서서 있어야 할 경우에는
30분에 한 번씩 가볍게 몸을 풀어주어
좌골신경통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허리는 한 번 안 좋아지면 직접적으로 두드린다고 풀리는 부위가 아니다.
좌골신경통이 여러번 반복이 되면 디스크로 심해질 수 있으니
관리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꾸준히 예방을 해주자!
좌골신경통
전문가의 조언
좌골신경통은 허리에서부터 다리에 걸쳐 뻗치는 심한 통증을 말한다.
앉아서 사무를 보는 사무직 직장인이나 운전기사들에게 많다.
좌골신경통은 우리 몸안에서 제일 큰 말초신경으로 허리에서부터 발까지 길게 뻗어 있다.
몸 표면에 가까이 있으며 그 가지도 많이 퍼져 있어서 압박을 받기 쉽다.
좌골신경통의 원인은 추간판이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좌골신경을 자극하는 디스크에 의한 것과 좌골신경 자체가 자극되어 생기는 경우,
신장이 허약해서 허리 통증이 심해진 경우, 오랜 의자 생활이나 몸이 비대해져서 장딴지가 당기며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통증이 심한 경우 환자는 통증이 없는 쪽 다리에 체중이 실어 통증을 줄이려고 하는데 이때 몸의자세가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외관상으로도 어느 쪽이 아픈지 뚜렷이 알 수 있다.
다리를 움직이거나 기침을 할 때, 용변을 보면서 힘을 줄 때도 통증이 생기거나 악화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느낀다.
좌골신경통이 있는 사람은 항상 하체를 따뜻하게 해 주면 증상이 완화된다.
*전문가의 조언은 홈페이지 방문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단월드의 수련을 체험한
의료전문가들이직접 작성한 것 입니다.
요통및 좌골신경통에 좋은 단월드 도인체조

요통과 비슷하게 느끼는 좌골신경통이 있다.
좌골신경통을 위한 단월드 도인체조도 요통에 좋으니
예방에 활요하면 좋다.^^

누워서 허리들썩이기는 10분정도 해주면
허리와 골반이 따뜻해지고 하체가 따뜻해져서
요통과 골반질환, 손발저림에도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