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환 추기경님이 방금 전인 6시 12분 노환으로 선종 하셨습니다.
노환으로 기력이 쇠약해지면서 지난해 7월부터 입원 생활을 지속해오던
김수환 추기경님이 오늘 저녁 6시 12분쯤 서울 강남 성모병원에서 선종하셨습니다.
김추기경님은 오늘 오후부터 급격히 호흡 곤란이 심해지고 혈압이 떨어지면서,
의식을 잃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의료진이 산소 호흡기를 부착하는 등
응급 조치에 나섰지만 끝내 의식을 되찾지 못했습니다.
올해 87살의 김 추기경은 지난해 7월부터 강남성모병원 입원해 왔습니다.
지난해 10월 한 때 급격히 쇠약해지면서 의식을 잃는 등 위독해지기도 했지만
이내 기력을 회복하고 한동안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해 오시다가.
그러나 고령인데다 오랜 병환에 지쳐 갑작스런 호흡 곤란을 이겨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
김수환 추기경님 약력 |
▲1922년 5월8일(음력) = 대구 출생
▲1941년 = 서울 동성상업학교 졸업 후 일본 동경 상지대 입학
▲1942년 = 상지대 문학부 철학과 진학
▲1944년 = 2차 대전으로 학업 중단
▲1947-51년 = 서울 가톨릭대 신학부 신학전공
▲1951년 = 사제서품 및 대구 대교구 안동 천주교회 주임신부
▲1953년 = 대구 대주교 비서 신부
▲1955-56년 = 대구 대교구 김천시 황금동 천주교회 주임신부
▲1956-63년 = 독일 뮌스터대 대학원 사회학전공
▲1964년 = 주간 가톨릭 시보(현 가톨릭신문) 사장
▲1966년 = 마산교구 주교 서품 및 마산 교구장 착좌
▲1967년 이후 = 교황청 세계 주교 시노드(대의원회의)에 한국대표로 6차례 참석
▲1968년 = 서울 대주교 승품 및 서울 대교구장 착좌
▲1969년 =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추기경 서임
▲1970-75년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1차 역임)
▲1970-73년 = 아시아 천주교 주교회의 구성 준비위원장
▲1975-98년 = 평양교구장 서리
▲1981-87년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2차 역임)
▲1998년 = 서울대교구장 은퇴, 아시아 주교회의 공동의장
▲1998-99년 = 실업극복국민운동 공동위원장, 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운동 국민재단 초대 이사장
▲2001년 = 사이언스 북 스타트운동 상임대표
▲2003년 = 생명21운동 홍보대사
▲2009년 2월16일 = 선종
<명예학위>
▲1974년 = 서강대 명예문학박사
▲1977년 = 미국 노틀담대 명예법학박사
▲1988년 = 일본 상지대 명예신학박사
▲1990년 = 고려대 명예철학박사, 미국 시튼홀대 명예법학박사
▲1994년 = 연세대 명예신학박사
▲1995년 = 대만 푸젠 가톨릭대 명예철학박사
▲1997년 = 필리핀 아테네오대 명예인문학박사
▲1999년 = 서울대 명예철학박사 |
1922년 대구에서 옹기점을 하던 가난한 집안의 5남 3녀중 막내로 태어났던 고 김수환 추기경.
부모는 독실한 천주교인이었고, 할아버지 김보현도 1869년 무진박해 때 신앙을 지키다 순교했습니다.
이런 가정환경에서 성장한 그는 보통학교 5년 과정을 마치고 어머니의 권유에 따라 성직자의 길을 택했습니다.
1942년엔 천주교 대구교구 장학생으로 일본 동경의 상지대학 철학과에 진학했고, 1951년 9월 대구 계산동
주교좌 성당에서 사제로 서품됩니다.
그는 1968년 서울 대교구장에 임명되고, 한해 뒤에는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47살의 나이로 추기경으로 서임됐습니다.
세계 136명의 추기경 가운데 최연소였습니다.
이후 그는 30년 동안 서울 대교구장으로 재임하면서 한국 천주교회를 이끌어왔습니다.
고 김 추기경이 지난 1998년 서울대교구장과 평양교구장 서리직을 사임하기까지,
재임 초기 14만명이던 신자 수가 97년 말 121만명으로 느는 등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은 비약적으로 높아졌습니다.
첫댓글 우리들의 영혼의 목자이신 김수환(스테파노)추기경님의 양혼이 하늘에서 안식과 평화를 누리시기를 두손모아 기도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