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 Word 1. coming out 2. hard conversation 3. Are you a boy or are you a girl? 4. real 5. grenade 6. Be authentic 7. Be direct 8. Be unapologetic 9. we are bigger than our closets |
I'm going to talk to you tonight about coming out of the closet, and not in the traditional sense, not just the gay closet. I think we all have closets. Your closet may be telling someone you love her for the first time, or telling someone that you're pregnant, or telling someone you have cancer, or any of the other hard conversations we have throughout our lives. All a closet is is a hard conversation, and although our topics may vary tremendously, the experience of being in and coming out of the closet is universal. It is scary, and we hate it, and it needs to be done.
Several years ago, I was working at the South Side Walnut Cafe, a local diner in town, and during my time there I would go through phases of militant lesbian intensity: not shaving my armpits, quoting Ani DiFranco lyrics as gospel. And depending on the bagginess of my cargo shorts and how recently I had shaved my head, the question would often be sprung on me, usually by a little kid:
"Um, are you a boy or are you a girl?"
And there would be an awkward silence at the table. I'd clench my jaw a little tighter, hold my coffee pot with a little more vengeance. The dad would awkwardly shuffle his newspaper and the mom would shoot a chilling stare at her kid. But I would say nothing, and I would seethe inside. And it got to the point where every time I walked up to a table that had a kid anywhere between three and 10 years old, I was ready to fight. (Laughter) And that is a terrible feeling. So I promised myself, the next time, I would say something. I would have that hard conversation.
So within a matter of weeks, it happens again.
"Are you a boy or are you a girl?"
Familiar silence, but this time I'm ready, and I am about to go all Women's Studies 101 on this table. (Laughter) I've got my Betty Friedan quotes. I've got my Gloria Steinem quotes. I've even got this little bit from "Vagina Monologues" I'm going to do. So I take a deep breath and I look down and staring back at me is a four-year-old girl in a pink dress, not a challenge to a feminist duel, just a kid with a question: "Are you a boy or are you a girl?"
So I take another deep breath, squat down to next to her, and say, "Hey, I know it's kind of confusing. My hair is short like a boy's, and I wear boy's clothes, but I'm a girl, and you know how sometimes you like to wear a pink dress, and sometimes you like to wear your comfy jammies? Well, I'm more of a comfy jammies kind of girl."
And this kid looks me dead in the eye, without missing a beat, and says, "My favorite pajamas are purple with fish. Can I get a pancake, please?" (Laughter) And that was it. Just, "Oh, okay. You're a girl. How about that pancake?"
It was the easiest hard conversation I have ever had. And why? Because Pancake Girl and I, we were both real with each other.
So like many of us, I've lived in a few closets in my life, and yeah, most often, my walls happened to be rainbow. But inside, in the dark, you can't tell what color the walls are. You just know what it feels like to live in a closet. So really, my closet is no different than yours or yours or yours. Sure, I'll give you 100 reasons why coming out of my closet was harder than coming out of yours, but here's the thing: Hard is not relative. Hard is hard. Who can tell me that explaining to someone you've just declared bankruptcy is harder than telling someone you just cheated on them? Who can tell me that his coming out story is harder than telling your five-year-old you're getting a divorce? There is no harder, there is just hard. We need to stop ranking our hard against everyone else's hard to make us feel better or worse about our closets and just commiserate on the fact that we all have hard. At some point in our lives, we all live in closets, and they may feel safe, or at least safer than what lies on the other side of that door. But I am here to tell you, no matter what your walls are made of, a closet is no place for a person to live.
Thanks. (Applause)
So imagine yourself 20 years ago. Me, I had a ponytail, a strapless dress, and high-heeled shoes. I was not the militant lesbian ready to fight any four-year-old that walked into the cafe. I was frozen by fear, curled up in the corner of my pitch-black closet clutching my gay grenade, and moving one muscle is the scariest thing I have ever done. My family, my friends, complete strangers -- I had spent my entire life trying to not disappoint these people, and now I was turning the world upside down on purpose. I was burning the pages of the script we had all followed for so long, but if you do not throw that grenade, it will kill you.
One of my most memorable grenade tosses was at my sister's wedding. (Laughter) It was the first time that many in attendance knew I was gay, so in doing my maid of honor duties, in my black dress and heels, I walked around to tables and finally landed on a table of my parents' friends, folks that had known me for years. And after a little small talk, one of the women shouted out, "I love Nathan Lane!" And the battle of gay relatability had begun.
"Ash, have you ever been to the Castro?"
"Well, yeah, actually, we have friends in San Francisco."
"Well, we've never been there but we've heard it's fabulous."
"Ash, do you know my hairdresser Antonio? He's really good and he has never talked about a girlfriend."
"Ash, what's your favorite TV show? Our favorite TV show? Favorite: Will & Grace. And you know who we love? Jack. Jack is our favorite."
And then one woman, stumped but wanting so desperately to show her support, to let me know she was on my side, she finally blurted out, "Well, sometimes my husband wears pink shirts." (Laughter)
And I had a choice in that moment, as all grenade throwers do. I could go back to my girlfriend and my gay-loving table and mock their responses, chastise their unworldliness and their inability to jump through the politically correct gay hoops I had brought with me, or I could empathize with them and realize that that was maybe one of the hardest things they had ever done, that starting and having that conversation was them coming out of their closets. Sure, it would have been easy to point out where they felt short. It's a lot harder to meet them where they are and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y were trying. And what else can you ask someone to do but try? If you're going to be real with someone, you gotta be ready for real in return.
So hard conversations are still not my strong suit. Ask anybody I have ever dated. But I'm getting better, and I follow what I like to call the three Pancake Girl principles. Now, please view this through gay-colored lenses, but know what it takes to come out of any closet is essentially the same.
Number one: Be authentic. Take the armor off. Be yourself. That kid in the cafe had no armor, but I was ready for battle. If you want someone to be real with you, they need to know that you bleed too.
Number two: Be direct. Just say it. Rip the Band-Aid off. If you know you are gay, just say it. If you tell your parents you might be gay, they will hold out hope that this will change. Do not give them that sense of false hope. (Laughter)
And number three, and most important -- (Laughter) Be unapologetic. You are speaking your truth. Never apologize for that. And some folks may have gotten hurt along the way, so sure, apologize for what you've done, but never apologize for who you are. And yeah, some folks may be disappointed, but that is on them, not on you. Those are their expectations of who you are, not yours. That is their story, not yours. The only story that matters is the one that you want to write. So the next time you find yourself in a pitch-black closet clutching your grenade, know we have all been there before. And you may feel so very alone, but you are not. And we know it's hard but we need you out here, no matter what your walls are made of, because I guarantee you there are others peering through the keyholes of their closets looking for the next brave soul to bust a door open, so be that person and show the world that we are bigger than our closets and that a closet is no place for a person to truly live.
Thank you, Boulder. Enjoy your night. (Applause)
애쉬 베컴 : 우리 모두가 지니고 있는 비밀. 용기 내어 말해 봅시다.
오늘밤 저는 커밍아웃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인 의미로도 단순히 동성애자의 커밍아웃도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우리는 모두 비밀 벽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비밀 벽장은 그녀가 첫 사랑이었음을 감추고 있기도 하고 자신이 임신했다는 것 또는 암에 걸렸다는 사실이나 우리 인생에서 일어나는 어떤 것이든 꺼내기 힘든 얘기를 감추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비밀 벽장이 된 것은 꺼내기 힘든 이야기이기 때문이고 주제는 엄청나게 다를지라도 벽장 안에 비밀을 숨기고 있다가 털어놓는 일은 누구든 갖고 있는 경험이죠. 무섭고 하기 싫지만 털어놔야 되는 일입니다.
몇 년 전에 저는 지역 음식점인 사우스 사이드 월넛 카페에서 일하고 있었는데 그 기간 동안 저는 종종 군인같은 외모를 가진 여자 동성애자의 강렬한 모습을 보이곤 했습니다. 겨드랑이 털을 면도하지 않고 애니 디프랑코의 가사를 찬송가처럼 흥얼거렸습니다. 그리고 반바지가 헐렁한 정도에 따라 또 얼마나 최근에 머리를 밀었는지에 따라 종종 갑작스런 질문을 받곤 했습니다. 주로 어린 아이들에게서였죠:
"저기, 남자예요, 여자예요?"
그러면서 테이블 주위로 불편한 침묵이 감돌죠. 저는 입을 굳게 다물고 약간의 복수심을 가진 채 커피 주전자를 손에 쥐곤했습니다. 그 아이의 아빠는 불편하게 신문을 넘겨 제끼고 아이의 엄마는 그러면 안된다는 시선을 아이에게 던집니다. 그러나 저는 아무 말도 하지 않죠. 그리고 속이 끓어 오르죠. 나중에는 세살에서 10살배기 아이들이 있는 테이블로 갈때마다 싸울 준비를 했습니다. (웃음) 그러는 것은 정말 안좋은 기분이 들게 만들어요. 그래서 저는 다음에는 뭐라도 말을 해줄거라고 스스로에게 다짐하곤 했습니다. 그 힘든 얘기를 하겠다고 말이죠.
몇주가 지나기 전에 그런 일이 다시 생깁니다.
"남자예요? 여자예요?"
익숙한 침묵이 흐르지만 이번엔 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저는 여성학 강의 기초론을 이 아이가 있는 테이블에서 강의할 것처럼 자세를 잡죠. (웃음) 베티 프리던의 얘기도 준비했고 글로리아 스테이넴의 얘기도 준비했으며 심지어 연극 "버자이나 모놀로그"의 대사도 준비했죠. 저는 깊은 숨을 들이쉬고 내려다 봅니다. 저를 올려다 보는 것은 분홍색 옷을 입은 네살배기 여자 아이에요. 여성이냐 아니냐에 대해 따지는 결투 신청이 아닌 그냥 의문을 가진 아이죠: "남자예요? 여자예요?'
그래서 저는 다시 한번 숨을 들이쉬고 그 아이 옆에 쪼그려 앉아서 말합니다. "아가, 좀 헷갈리지? 머리는 남자처럼 짧고 남자 옷을 입지만 나는 여자란다. 우리가 가끔은 분홍색 옷을 입고 싶기도 하고 또 어떤 때는 편한 잠옷을 입고 싶기도 하잖아? 나는 분홍색 옷 보다는 편한 잠옷을 좋아하는 여자란다."
그러자 그 아이는 저의 눈을 뚫어져라 쳐다보며 제가 하는 말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말합니다. "저는 물고기가 수 놓아진 보라색 잠옷을 좋아해요. 팬케익 좀 주세요." (웃음) 그냥 그게 끝입니다. 그냥 "아, 여자구나. 팬케익이나 먹을까?."라고 하는 겁니다.
그 대화는 제가 했던 꺼내기 힘은 대화 중에 가장 쉬웠던 대화였습니다. 왜일까요? 이유는 그 팬케익 소녀와 저는 우리는 둘 다 서로에게 솔직했던거죠.
그렇습니다. 우리 대부분이 그런 것처럼 저도 인생을 살면서 비밀 벽장 속에서 몇 번을 지냈었고 대부분 그 벽장들의 벽들은 무지개처럼 화려했습니다. 그런데 어둠 속에서는 벽의 색깔을 구분조차 할 수 없습니다. 단지 비밀을 간직하고 산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느낄 뿐입니다. 그렇습니다. 저의 벽장은 여러분들의 벽장과 다른 점이 없습니다. 혹은 당신, 또는 당신의 벽장과 비교해서요. 물론 제가 벽장에서 커밍아웃하는 것이 여러분이 벽장에서 커밍아웃하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이라는 것에 대해 100가지 이유라도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답은 이렇습니다: 어렵다는 것은 비교 대상이 아니라는 것. 어려운 것은 어려운 겁니다. 누군가에게 방금 파산했다고 말하는 것이 그 사람을 속였다고 말하는 것보다 더 힘든 거라고 할 수 있나요? 커밍아웃하는 것을 얘기하는 것이 다섯살 난 아이에게 이혼한다는 사실을 얘기하는 것 보다 더 힘든 거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더 힘든 것은 없습니다. 그냥 똑 같이 힘든거죠. 우리는 더 위안 받을지, 더 고통 받을지도 모르면서 자신의 비밀과 다른 사람의 비밀 중에 어떤 것이 더 힘든지 비교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똑같이 힘들어 하는 것을 위로해야 합니다. 우리는 모두 언젠가 한번은 벽장에서 살게됩니다. 그리고 그 곳에서 안전하다고, 혹은 최소한 문 밖에 나가지만 않으면 안전할거라고 느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비밀 벽장의 벽이 어떤 것으로 만들어졌든지 간에 벽장은 사람이 살곳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박수)
그럼 여러분도 한번 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보죠. 저는 머리를 묶었고 어깨 끈이 없는 드레스를 입고 굽 높은 구두를 신었습니다 저는 군인같은 외모를 하고 네살배기 아이와 카페에서 싸울 준비를 마친 동성애자가 아니었습니다. 저는 제 자신의 캄캄한 비밀 벽장 구석에 쪼그리고 앉아 두려움에 떨고 있었습니다. 동성애자라는 수류탄을 손에 쥐고 있어서 약간이라도 몸을 움직이면 너무나 무서운 일이 일어납니다. 가족, 친구, 저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까지 포함해서 -- 저는 이 사람들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인생을 살고 있었던 겁니다. 그렇게 저는 세상을 제 의지와는 정반대로 보고 있었습니다. 일부러 그러는 겁니다. 저는 우리 모두가 오랜 동안 따르던 규칙이라는 책장을 태우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수류탄을 던지지 않으면 자기 자신이 죽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수류탄 투척은 제 언니 결혼식에서 였죠. (웃음) 참석자들 중 많은 사람들은 제가 동성애자라는 것을 그날 처음 알았고 저는 신부 들러리로 검정색 의상과 굽높은 구두를 신고 테이블 사이를 돌아다녔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를 오랜 동안 알고 계셨던 부모님 친구분들의 테이블에 앉았습니다. 그리고 몇마디가 오간 후 거기 있던 여성 한 분이 소리쳤습니다. "난 네이탄 레인을 사랑해!" 그리고 동성애와 관련된 장소와 사람들 얘기가 시작되었죠.
"애쉬, 카스트로에 가본적 있어?"
"네, 가본 적 있어요. 샌프란시스코에 친구가 있거든요."
"우리는 가본 적은 없지만 멋진 장소라고 들었어."
"애쉬, 내가 가는 미용실에 미용사 안토니오 알아? 머리는 잘 하는데, 여자 친구에 대해서 얘기하는 걸 들어 본 적이 없어."
"애쉬, 좋아하는 TV 쇼가 뭐야? 우리가 좋아하는 TV 쇼는 윌과 그레이스야. 그리고 우리가 좋아하는 사람은 잭이고. 우리는 잭을 가장 좋아해."
그리고 나서 한 여자가 어쩔 줄 몰라하며 저를 지지한다는 것을 필사적으로 보여주고 싶어하며 자신이 제 편이라는 것을 표시하려고 이렇게 내뱉었습니다. "제 남편은 가끔 분홍색 셔츠를 입어요." (웃음)
그 순간 저게는 수류탄을 던지는 모든 사람들이 그렇듯이 선택의 여지가 있었습니다. 저는 제 여자 친구와 동성애 친구들이 있는 테이블로 돌아가서 사람들의 반응에 대해 비웃고 그들의 편협성과 정치적으로 옳은 저의 동성애 성향이 적절하게 수용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 사람들을 비판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그들과 공감을 나누면서 저와 대화했던 것이 그 사람들이 살면서 겪은 가장 힘든 일일수 있었으며 저와 대화를 시작하고 대화를 나눈 것이 그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커밍아웃이었다는 것을 깨달을 수도 있었겠지요. 물론 그 사람들이 불편해 했던 점을 지적하는 것은 좀 더 쉬웠을 수도 있습니다. 그 사람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아주 더 힘든 일이니까요. 다른 사람에게 노력하라는 말 외에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요? 다른 사람을 진심으로 대하려고 한면 진심이 되돌아올 것이라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그래요, 아직 저는 힘든 이야기를 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소화하진 못했습니다. 제가 데이트 했던 사람에게 물어보면 아실겁니다. 하지만 저는 나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팬케익 소녀 법칙이라 부르는 세가지 법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자, 그럼 이 법칙을 동성애자의 입장에서 이해해 보세요. 하지만, 어떤 비밀 벽장에서 나오더라도 그것은 근본적으로 모두 같다는 것을 알아두세요.
첫번째 원칙: 진심으로. 방어막을 걷고 자신 자신 그대로의 모습을 보이세요. 그 카페의 소녀는 아무런 방어막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제가 싸우려 했죠. 어떤 사람이 여러분에게 진심을 보여주길 원하신다면, 여러분도 상처 입는다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두번째 원칙: 직접적으로. 그냥 말하세요. 일회용 반창고처럼 확 떼어 내세요. 동성애자라면 그냥 그렇다고 말하세요. 만약 부모님에게 자신이 동성애자일지도 모른다고 하면 부모님들은 그것이 변할수도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됩니다. 그런 잘못된 희망을 주지 마세요. (웃음)
그리고 세번째로 가장 중요한.. (웃음) 사과하는 투로 말하지 마세요. 여러분은 사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사과하지 마세요. 그걸로 인해 어떤 사람들은 상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그렇기 때문에, 여러분이 한 행동에 대해 사과를 하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는 절대로 사과하지 마세요. 네, 어떤 사람들은 실망하겠죠. 하지만 그들이 실망하는 것이지 여러분이 실망하는 건 아닙니다. 여러분이 어떤 사람이어야 한다는 기대로 인한 실망일뿐 그 기대는 여러분이 만든 것이 아닙니다. 그런 것들은 그 사람들의 이야기일뿐 여러분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단 한가지의 중요한 이야기는 바로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번에 여러분이 수류탄을 쥐고 컴컴한 벽장속에 쪼그리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되면 우리 모두가 한번쯤은 그런 상황에 있어봤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혼자라고 느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고 힘들겠지만 그곳에서 나와야 합니다. 여러분 벽장의 벽이 무엇으로 만들어졌던 간에 상관없이요. 왜냐하면 제가 장담하건데 여러분이 거기에 갇혀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도 그들의 벽장속에 갇혀 열쇠 구멍을 통해 바깥을 흘낏거리고 있다는 말입니다. 어떤 용감한 사람이 먼저 벽장 문을 박차고 나오기를 바라면서요. 그러니 먼저 박차고 나오세요. 그리고 세상을 향해 우리는 벽장보다 크다는 것을 그리고 벽장은 진정코 사람이 살곳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세요.
볼더 사회에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저녁 되세요. (박수)
|
첫댓글 21th아니고, 21st입니다^^
ㅎㅎ 카피 페이스트의 단점이네요^^;
근데 누구신지?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