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산경표를 따라서 원문보기 글쓴이: 박종율
내포문화숲길 13. 25코스 (김좌진장군생가-청룡산-한용운선생생가-결성동헌).
◈ 구간 거리
및 소요시간 : 19.1km
(6시간 35분.점심,휴식포함 ).
◈ 일시 : 2018. 6. 22(금).
◈ 날씨 ;
땡볕에 무지더워 쉴새없이 물을 마시다.
◈ 지도.
◈
트랙.
◈ 일정정리.
06 ; 47. 천안에서 무궁화호 (\2400)- 홍성도착(7.45)걸어서 터미널로 감.
08 : 10. 290번 덕산,수덕사행 버스탐. 갈산뱡면 267번은 8.15분에 뒤따라아 온다.
08 ; 35. 갈산 초교앞 하차. 한정거장 앞인 갈산교에서
내리는게 빠르다.
뒤돌아 가 시장에 들려 떡을 살려고
했더니 떡집이 없어 빵을사넣고
08 : 44. 갈산교를 건너 좌측으로 갈산천을 따라
간다.
29번국도
상촌교 아래서 야구르트 판매원을 만나 야구르트 한봉치 사넣고
08 ; 54. 와룡천을 건너는 행산교를 건너 행산리 신기마을 표지석을 지나며 산모랭이를 돌아간다.
08
; 56/09 ; 09. 김좌진장군(1889~1930)
사당
화룡문(和龍門) 지나 와룡재(臥龍齋),
청산문(靑山門) 지나 백야사(白冶祠)에 분향하고
되돌아 내려와 백야공원을 내려와
도로따라 생가지로 갔는데 백아공원끝에서 생가지로 바로 가는길이 있었다.
09 ; 12/27.
김좌진장군생가지.
좌측 김좌진장군생가와 우측 기념관을
둘러보고 정문 좌측으로 간다.
09 ; 28. 25코스 내포역사인물동학길안내판.신기 김좌진장군생가 버스정류장. 길건너 마을길로 들어 팽나무 보호수 5본을 지난다.
09 ; 40. 징검다리로 와룡천을 건너 좌측으로 와룡천둑길을 간다.땡볕에 땅열기가 훅훅 올라오며 무지덥다.
09 ; 50. 2차로. 원아리 버스정류장과 마읊표지석.
전동차를 타고나와 전동차는 여기두고 버스를 기다리는 할머니 한 분.
좌측으로 와리교를
건너 도로를 따라 간다.
10 ; 01. 원와마을회관과 쉼터.
10 ; 08. 직선 세멘농로를 따라 와룡들을 건너간다.앞에 보이는 뾰족봉은 형산(209.6m).
10 ; 16. 2차선도로.한용운생가 2.27km,
김좌진생가 3.53km.이정표.
도로따라 좌측으로 2분 가서 우측
두지동버스정류장 우측길로 마을로 들아간다.
10 ; 33. 작은 마을을 지나 고개위.좌측으로 살짝 올라가서 밭이 있는 능선에서 우측 능선을 따라간다.
10 ; 48.능선따라 내려 온 만해정. 여러개의 시비(詩碑)들이 있는 시비공원.우측으로 내려간다.
10 : 53/11 ; 02.. 민족시비공원.한용운선생
생가지(기념물 제75호)
유치원 꼬마들이 견학온 생가와 마침 만해
한용운선생 74주년 추모다례 행사가 있는 만해사(卍海祠)를 둘러본다.
아랫쪽엔 도보 인증대.
만해문학체험관.
11 ; 06/17. 무궁화꽃나무 가로수인 2차로를 따라
조금 내려온 대형 주차장에서 청룡산을 보며 빵으로 점심.
한편에선 트랙터로 보리수확이
한창이고 한편에선 도로에 보리를 널고 있는 언덕을 도로따라 넘어간다.
11 : 26. 신당이고개 삼거리.박철버스정류장. 결성농사박물관. 결성향교,고산사. 한용운선생생가지표지판.
11 : 31.2차선 도로에서 우측 산길로 든다. 평상과 야생동물대치요령 표지판.
11 : 41. 첫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 가파른 통나무 계단을 오른다.
12 ; 06/10. 229.7m봉. 벤취와
2등삼각점(홍성25).
백월산. 삼준산, 가야산, 오서산쪽과
서쪽 천수만 너머로 흐릿한 안면도를 가름해본다.
땡볕이라 쉬지도 못하고 바로
직진하는 정충사 계단길인 아닌 좌측 능선길로 내려간다.
12 : 24. 청룡산(236m). 작은 바위군.자나온길과 백월산을 뒤돌아 본다.안부를 지나며 돌탑들이 이어진다.
12 ; 37. 헬기장.
12 ; 40. 전망대데크.천수만과 청룡산조망. 조개들이 박힌 바위들을 지난다.
12 ; 46. 오름길중턱의 고산사 갈림길.좌측 고산사를 다녀온다.
12 : 52. 고산사(高山寺).보물 399 대웅전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인 석조여래입상.삼충석탑이 있다.
물좀 보충하고 다시
올라간다.
13 ; 06. 다시 고산사 갈림길. 왕복 20분 걸렷다.
13 ; 09. 222.8m봉.무인산불감시탑. 숨이 막히게
푹푹찐다.
조금 내려가면 앞이
트인다.
13 ; 27. 묘지군이 있는 세멘길고개.산길이 끝나고 좌측 봉골쪽으로 내려간다.앞은 86.5m 삼각점봉
13 : 31. 봉골마을에서 우측으로 꺽어간다.길가에 오다가 새까맣게 익어 입이 시커멓게 따먹고 언덕을 넘어간다.
13 : 49/51. 느티나무 삼거리. 좌측길은 농요박물관. 그늘에 잠시 숨돌리고 직우측길로 언덕을 넘어간다.
13 ; 58. 언덕넘어 교촌마을 우물.도로따라 가면 바로 결성향교로 가지만 내포길은 우측으로 꺽어 산길로 돌아간다.
14 ; 06. 고개위 .세멘길은 직진해 넘어가고 좌측으로 꺽어 능선길을 따라 간다.
14 ; 12, 결성향교.수리중이고 오늘은 행사중이라 대성전도 명륜당도 활짝 열려있다. 대성전과 명륜당이 마주보고 있다.
14 : 17. 향교입구에서 도로따라 우측으로 교촌저수옆을 지나간다.
14 ; 21. 결성보건지소앞 . 86번국지도를 만나 좌측으로 인도따라 언덕을 넘어간다.
14 ; 25. 읍내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꺽어 결성면사무소앞을 지나간다. 좌측은 결성우체국.직진해 조금가면 버스정류장.
14 : 29. 형방문으로 들어가 형장청(刑將廳)과 집뒤의
신목(神木. 660년된 회화나무)을 보고나와 좌측 산길로 올라가
좌측으로 묘목밭을 기로 질러가 우측
집뒤위로 올라간다. 산성길이 이어진다.
14 ; 57. 석당산(石堂山. 146.4m).정상은 잡초로
덮혀있다.오서산과 청룡산,홍성호가 조망된다.
성곽길을 따라 문화재발굴 현수막이 걸린
울창한 소나무숲길을 내려간다.
석당산탐방로 안내판.결성초교정문을
지난다.
15 ; 10. 결성동헌.도지정문화재자료 제
306호.결성위문으로 들어가 둘러본다.
25코스를 마치고 형방청,
결성면사무소를 지나 읍내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가며 마트에서 음료수와 얼음과자를 사들고
15; 22. 음료수를 마실 새도없이 370번 버스가 와서 얼음과자를 입에 물고 버스를 타고 광천으로 (\1350).
15 : 37. 광천오거리 하차.우측 광천역으로 가다 마트에서 다시 음료수와 커피 사 마시고 광천역도착(15 ; 45)
16 : 55. 1시간여를 기다려 예매한 무궁화호 기차타고 천안역 도착(\3000. 18 ; 15도착)
06 ; 47. 천안에서 무궁화호 (\2400)- 홍성도착(7.45)걸어서 터미널로 감.
08 : 10. 290번 덕산,수덕사행 버스탐. 갈산뱡면 267번은 8.15분에 뒤따라아 온다.
08 ; 35. 갈산 초교앞 하차. 한정거장 앞인 갈산교에서
내리는게 빠르다.
뒤돌아 가 시장에 들려 떡을 살려고
했더니 떡집이 없어 빵을사넣고
08 : 44. 갈산교를 건너 좌측으로 갈산천을 따라
간다.
29번국도
상촌교 아래서 야구르트 판매원을 만나 야구르트 한봉치 사넣고
갈산교를 건너 좌측으로 갈산천을 따라
간다.
08 ; 54. 와룡천을 건너는 행산교를 건너 행산리 신기마을 표지석을 지나며 산모랭이를 돌아간다.
08
; 56/09 ; 09. 김좌진장군(1889~1930)
사당
화룡문(和龍門) 지나 와룡재(臥龍齋),
청산문(靑山門) 지나 백야사(白冶祠)에 분향하고
되돌아 내려와 백야공원을 내려와
도로따라 생가지로 갔는데 백아공원끝에서 생가지로 바로 가는길이 있었다.
백야사(白冶祠)에서 분향하고 방명록에 서명하고 갔는데
오후에 샌드백속에 라이터가 있어 출처가 어딘가 생각해보니
분향하고 사진찍으며 들고있던 라이터를 샌드백속에 넣은 집어 모양이다.
이런 정신좀 봤나!!
09 ; 12/27.
김좌진장군생가지.
좌측 김좌진장군생가와 우측 기념관을
둘러보고 정문 좌측으로 간다.
김좌진장군생가.
기념관.
09 ; 28. 25코스 내포역사인물동학길안내판.신기 김좌진장군생가 버스정류장. 길건너 마을길로 들어 팽나무 보호수 5본을 지난다.
09 ; 40. 징검다리로 와룡천을 건너 좌측으로 와룡천둑길을 간다.땡볕에 땅열기가 훅훅 올라오며 무지덥다.
09 ; 50. 2차로. 원아리 버스정류장과 마읊표지석.
전동차를 타고나와 전동차는 여기두고 버스를 기다리는 할머니 한 분.
좌측으로 와리교를
건너 도로를 따라 간다.
10 ; 01. 원와마을회관과 쉼터.
10 ; 08. 직선 세멘농로를 따라 와룡들을 건너간다.앞에 보이는 뾰족봉은 형산(209.6m).
10 ; 16. 2차선도로.한용운생가 2.27km,
김좌진생가 3.53km.이정표.
도로따라 좌측으로 2분 가서 우측
두지동버스정류장 우측길로 마을로 들아간다.
2차선도로에서 뒤 돌아 본 원외마을.
10 ; 33. 작은 마을을 지나 고개위.좌측으로 살짝 올라가서 밭이 있는 능선에서 우측 능선을 따라간다.
10 ; 48.능선따라 내려 온 만해정. 여러개의 시비(詩碑)들이 있는 시비공원.우측으로 내려간다.
10 : 53/11 ; 02.. 민족시비공원.한용운선생
생가지(기념물 제75호)
유치원 꼬마들이 견학온 생가와 마침 만해
한용운선생 74주년 추모다례 행사가 있는 만해사(卍海祠)를 둘러본다.
아랫쪽엔 도보 인증대.
만해문학체험관.
한용운선생
생가지(기념물 제75호)
한용운선생 생가(우)와 만해사(좌).
11 ; 06/17. 무궁화꽃나무 가로수인 2차로를 따라
조금 내려온 대형 주차장에서 청룡산을 보며 빵으로 점심.
한편에선 트랙터로 보리수확이
한창이고 한편에선 도로에 보리를 널고 있는 언덕을 도로따라 넘어간다.
11 : 26. 신당이고개 삼거리.박철버스정류장. 결성농사박물관. 결성향교,고산사. 한용운선생생가지표지판.
11 : 31.2차선 도로에서 우측 산길로 든다. 평상과 야생동물대치요령 표지판.
11 : 41. 첫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 가파른 통나무 계단을 오른다.
12 ; 06/10. 229.7m봉. 벤취와
2등삼각점(홍성25).
백월산. 삼준산, 가야산, 오서산쪽과
서쪽 천수만 너머로 흐릿한 안면도를 가름해본다.
땡볕이라 쉬지도 못하고 바로
직진하는 정충사 계단길인 아닌 좌측 능선길로 내려간다.
229.7m봉에서 본 삼준산(좌)- 가야산-옥양봉-수덕산-홍동산-백월산(우).
229.7m봉에서 본 오서산.
229.7m봉에소 본 홍성호와 뒤로 흐릿한 안면도.
12 : 24. 청룡산(236m). 작은 바위군.자나온길과 백월산을 뒤돌아 본다.안부를 지나며 돌탑들이 이어진다.
청룡산(236m).
청룡산(236m)에서 본 백월산..
12 ; 37. 헬기장.
12 ; 40. 전망대데크.천수만과 청룡산조망. 조개들이 박힌 바위들을 지난다.
전망대데크에서 본 홍성호.
전망대데크에서 뒤 돌아 본 청룡산.
조개들이 박힌 바위들.
12 ; 46. 오름길중턱의 고산사 갈림길.좌측 고산사를 다녀온다.
12 : 52. 고산사(高山寺).보물 399 대웅전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인 석조여래입상.삼충석탑이 있다.
물좀 보충하고 다시
올라간다.
고산사 대웅전(보물 399호)과 삼충석탑(충남문화재자료 418호), 석조여래입상(충남유형문화재 221호),
고산사 대웅전안의 아미타불상(충남유형문화재 188호)
여말선초의 불상양식이다.
13 ; 06. 다시 고산사 갈림길. 왕복 20분 걸렷다.
13 ; 09. 222.8m봉.무인산불감시탑. 숨이 막히게
푹푹찐다.
조금 내려가면 앞이
트인다.
13 ; 27. 묘지군이 있는 세멘길고개.산길이 끝나고 좌측 봉골쪽으로 내려간다.앞은 86.5m 삼각점봉
13 : 31. 봉골마을에서 우측으로 꺽어간다.길가에 오다가 새까맣게 익어 입이 시커멓게 따먹고 언덕을 넘어간다.
오디 따먹고 뒤 돌아 본 봉골마을과 뒤로 청룡산.
언덕위에서 뒤 돌아 본 봉골마을과 청룡사.
사진 좌측끝에서
왔다.
13 : 49/51. 느티나무 삼거리. 좌측길은 농요박물관. 그늘에 잠시 숨돌리고 직우측길로 언덕을 넘어간다.
13 ; 58. 언덕넘어 교촌마을 우물.도로따라 가면 바로 결성향교로 가지만 내포길은 우측으로 꺽어 산길로 돌아간다.
14 ; 06. 고개위 .세멘길은 직진해 넘어가고 좌측으로 꺽어 능선길을 따라 간다.
14 ; 12, 결성향교.수리중이고 오늘은 행사중이라 대성전도 명륜당도 활짝 열려있다. 대성전과 명륜당이 마주보고 있다.
결성향교뒤에서 본 결성면소재지.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유생들이 공부하던 관립학교인 명륜당.
14 : 17. 향교입구에서 도로따라 우측으로 교촌저수옆을 지나간다.
결성향교는1010년(헌종1)에 세웠다고
전한다.
1623년(인조)보수한후 1923년에 크게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14 ; 21. 결성보건지소앞 . 86번국지도를 만나 좌측으로 인도따라 언덕을 넘어간다.
14 ; 25. 읍내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꺽어 결성면사무소앞을 지나간다. 좌측은 결성우체국.직진해 조금가면 버스정류장.
14 : 29. 형방문으로 들어가 형장청(刑將廳)과 집뒤의
신목(神木. 660년된 회화나무)을 보고나와 좌측 산길로 올라가
좌측으로 묘목밭을 기로 질러가 우측
집뒤위로 올라간다. 산성길이 이어진다.
우측집이 형장청(刑將廳), 저앞 차 있는곳이 결성동헌.
여기서
좌측으로 들어 석당산을 올랐다 동헌앞으로 내려온다.
형장청(刑將廳)과 집뒤의 신목(神木. 660년된 회화나무).
형장청(刑將廳)은 조선시대순교가 근무하며 결성현의 치안을 담당했던곳.
집뒤의 신목(神木. 660년된 회화나무).
회화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가문이 번창하고행복과 출세를
기져온다하여 행운의 나무로 여겨왔다.
매년 수능대박을 기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단오날에 신목제를
지낸단다.
석당산(石堂山. 146.4m)올라가는 결성읍성 성벽길.
14 ; 57. 석당산(石堂山. 146.4m).정상은 잡초로
덮혀있다.오서산과 청룡산,홍성호가 조망된다.
성곽길을 따라 문화재발굴 현수막이 걸린
울창한 소나무숲길을 내려간다.
석당산탐방로 안내판.결성초교정문을
지난다.
석당산(石堂山. 146.4m)정상부와 오서산.
석당산(石堂山. 146.4m)정상애서 청룡산.
15
; 10. 결성동헌.도지정문화재자료 제 306호.결성위문으로 들어가 둘러본다.
25코스를 마치고 형방청,
결성면사무소를 지나 읍내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가며 마트에서 음료수와 얼음과자를 사들고
현감이 행정업무를 수행하던 결성동헌과 책과 문서들을 보관하고 현감 자제가 거처하던 책실(우).
현감이 행정업무를 수행하던 곳.
결성동헌 문앞에서 본 결성면 소재지.
형장청(刑將廳)과 집뒤의 신목(神木. 660년된 회화나무).
결성면사무소의 한용운시비.
15; 22. 음료수를 마실 새도없이 370번 버스가 와서 얼음과자를 입에 물고 버스를 타고 광천으로 (\1350).
15 : 37. 광천오거리 하차.우측 광천역으로 가다 마트에서 다시 음료수와 커피 사 마시고 광천역도착(15 ; 45)
16 : 55. 1시간여를 기다려 예매한 무궁화호 기차타고 천안역 도착(\3000. 18 ; 15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