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면 신평리新坪里 유래
석보면의 중심이 되는 고장이다. 북은 주남동, 남쪽은 요원동, 서쪽은 답곡 마을에 둘러 싸여 있으며 특작물은 담배와 고추ㆍ채소를 들수 있다. 본래 영양군 석보면의 지역이다. 1914년에 행정 구역을 다시 고칠 때 점리ㆍ신촌리ㆍ전평리ㆍ답하리의 각 일부를 따다가 합하였는데 신촌(新村)과 건평(乾坪)의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마을의 특징]
마을에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화랑재와 압수골이 있다. 화랑재는 고개의 등성이가 활처럼 굽어졌다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압수골은 사람들이 임진왜란 때에 난리를 피하여 이 마을로 들어 와서 개척한 마을이라고 한다. 마을의 모양이 마치 오리의 모습을 하였다 해서 오리 압(鴨)자 압수골이 되었다고 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유래]
*건들ㆍ건평(乾坪)ㆍ건평동(乾坪洞)
이 마을 앞에 있는 들이 새로 개척한 들이었지만, 평야가 높고 주위의 내가 낮아서 논에 물을 대기가 몹시 어려웠다 한다. 그래서 마른들 즉 건들ㆍ건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이죽전(50) 제보).한자로만 보면 마를 건(乾)이나 우리말로 볼 수 있다면 이는 걸다에서 갈라져 나올 가능성이 있다. 물건이 걸려 있으려면 높이 있어야 한다. 들의 자리가 내보다 상당히 높아 물대기의 어려움을 들어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압수골ㆍ압수곡(鴨水谷)
압수골은 김씨 성을 가진 어떤 선비가 약 400년 전에 임진왜란을 피하여 이 곳 깊은 산골짜기에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며 그 후에 마을 뒷산에 올라가 내려다 보니 마을터의 형상이 마치 오리가 물 위에 떠 있는 모양과 같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압수골이라 불렀다 한다(김상규(51) 제보). 압록강의 풀이에서도 밝힌 것과 같이 오리 압(鴨)의 오리는 올-위-웃과 같은 걸림으로 보아서 맨 위에 자리한 골짜기란 말이 된다.
*배밭골ㆍ이전곡(梨田谷)
지금은 없어졌으나 옛날에는 이 마을의 밭둑에 큰 돌배나무가 많이 서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김상규(51) 제보). 이전곡은 배밭골을 한자로 뒤친 이름이다. 본래 마을의 부름말은 배밭골로 보인다.
*웃들ㆍ상평(上坪)
신평리 화랑재에서 주남리 남악실로 넘어가는 산마루에 위치한 곳이며 지금은 나무를 심어 산으로 변했으며 신평보다 위쪽에 있다고 하여 웃들이라 불리었다(유연복(68) 제보). 웃들을 한자로 뒤쳐 상평이라고 하였으니 웃들이 본래의 이름으로 보인다.
*안골ㆍ내곡(內谷)
신평리에서 택전리(宅田里)로 가는 길목에 있는 마을로 마을의 위치로 보아서 택전리의 민실보다 안쪽에 자리잡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은 석보면 소재지에서 동으로 약6킬로 떨어진 곳에 있다(유연복(68) 재보). 안골을 한자로 뒤쳐서 내곡으로 굳혀 부른다.
*세거리
이 마을은 화랑재ㆍ안골 그리고 택전리의 민실 등의 세 마을로 가는 길이 갈라지는 곳이어서 세거리라고 부른다(유연복(68) 제보). 갈라진 세 갈래의 길이 곧 마을의 이름이 된 것이다.
*화랑재(花郞재)
고개 등성이의 모양이 활처럼 휘어 있다고 해서 화랑재라고 고개의 이름을 붙였으며 동시에 이 고개의 아래에 있는 마을 이름이기도 하다(유연복(68) 제보). 활처럼 휘어져 있다하여 붙인 이름이고 보면 활-화랑이라 함은 소리나 그 뜻의 이어짐을 중심으로 하여 붙인 마을의 부름말이라고 하겠다.
[참고문헌 : 영양군지]
----------------------------------
※되집어 보는 영양말(사투리)※
근바, 그랑, 디게, 에라워, 꼭뚜배기, 댁낄로.
----------------------------------
(영양말캉 마실소개 /163, 244) 석보면 신평리(新坪里)가 궁금니껴?
신평리(新坪里)는 지리적으로
석보면 전체를 볼때 복판에 위치하고 있꼬
처음부터 석보면에 속해 있었니더.
1914년 행정구역 바낄때
점리, 신촌, 건평, 답하 일부를 엄체가
신촌(新村)의 "신"캉, 건평(乾坪)의 "평"를
따가, 신평(新坪)이라 카게 된니더.
(건들ㆍ건평)
신평리경노당이 있는데로
마실 앞 높은지대에
새로운 들판이 맹글어 졌는데.
이뜰은 그랑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높아
뜰에 물대기가 디게 에라운 데로.
물끼가 없어 늘상 말라가꼬 있따꼬
마른뜰, 혹은 건뜰(乾坪)이라 카니더.
(압수골ㆍ압수곡)
신평리새마을회관이 있는데로
1600년경 임진왜란을 피해 피난온
김씨들이 모데가 새로운 마실을 맹글면서
처음에는 신촌(新村)이라꼬 카다가
마실 모양이 오리가 물 우에
뜨 있는 거캉 비슷하다꼬 케서
압수골(鴨水谷)이라 켔니더.
압(鴨)은 맹 꼭뚜배기라는 뜻도 있꼬
마실 앞에 그랑이 있따는 뜻또 있니더.
(배밭골ㆍ이전곡)
마실 내의 밭뚝에 디게 큰 똘빼낭기
댁낄로 많았따케서 배밭꼴 이라 켔니더.
이전곡(梨田谷)은 배밭골을 한자로 쓴거시더.
(웃들ㆍ상평)
신평(화랑재)서 주남(남악실)로 넘어가는
산때배기에 있는 뜰이름 이시더.
신평 우쪽에 있는 들판이라꼬
웃들 또는 상평(上坪)이라 카니더.
(안골ㆍ내곡)
신평서 택전(宅田里)으로 넘어 가는
길목에 있는 마실이시더.
민실(택전리) 보다 더 안쪽 마실이라꼬
안골 혹은 내곡(內谷)이라 카니더.
(세거리)
화랑재, 안골, 민실(택전리)로 갈라지는
세갈래 갈림길이 있따꼬 세거리라 카니더.
(화랑재)
산등성이 활가꺼러 휘가 있따고 화랑재(花郞嶺)라꼬 카니더.
이 고개 알개 있는 마실 이름또한 화랑재(花郞嶺)라 카니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