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광주정씨 화이팅 원문보기 글쓴이: 정철중(23세)
세 | 파 | 인 명(자, 호) | 이력, 주요 직책 |
16 | Ⅰ-3 지평 | 정득성(鄭得成) (1754 ~ ?) | 통덕랑(通德郞)
* 자 이직(履職), 손 현(玹) 무후(无后) |
16 | Ⅰ-1 절제사 | 정지(鄭持) 경숙(景叔) (1691 ~ ?) | 통덕랑(通德郞) |
16 | Ⅰ-2 응교 | 정진(鄭搢) 여경(汝敬) (1710~1769) | 통덕랑(通德郞) |
16 | Ⅰ-2 응교 | 정협(鄭梜) 직경(直卿) (1742~1769) | 통덕랑(通德郞) |
16 | Ⅰ-3 지평 | 정득성(鄭得成) 자승(自承) (1754 ~ ?) | 통덕랑(通德郞) |
16 | Ⅰ-3 지평 | 정운필(鄭運弼) 여량(汝良) 신의재(愼義齋) (1756~1783) | 1783년 성균진사(成均進士)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간 우애가 깊고 행실을 삼가하고 성실히 하였다. 예와 법도대로 처신하므로 모두 우러러 존경하였으나 불행이 일찍 별세하므로 모두 애석해 했다
孝友謹篤以禮律身世仰重望不幸早世人皆惜之 |
16 | Ⅰ-6 승지 | 정동규(鄭東奎) 군오(君五) 유헌(幽軒) (1825~1896) | 효릉참봉(孝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효릉 : 서삼릉(西三陵)의 하나. 경기도(京畿道)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에 있는 인종(仁宗)과 그의 비 인성왕후(王后)의 능(陵) |
16 | Ⅰ-7 진사 | 정운추(鄭運樞) 경칠(景七) 묵재(默齋) (1824~1883) | 고종 갑술 1874년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1875년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가감역(假監役) : 선공감(繕工監)의 한 벼슬. 21대 영조(英祖) 이후 선공감에서 토목 영선(土木營繕)을 맡아 보던 종9품(從九品)의 임시(臨時) 관직(官職)으로, 정원(定員)은 3명이었음 |
16 | Ⅱ-6 양촌 | 정재원(鄭載遠) 사의(士毅) 덕촌(德村) (1742~1801) | 진사(進士)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간 우애로우며 문장이 뛰어나 사람들에 이름을 알렸다 孝友文章 擅名當世 |
16 | Ⅱ-9 성재 | 정희중(鄭喜重) 사홍(士弘) (1767 ~ ?) | 통덕랑(通德郞) |
16 | Ⅱ-9 성재 | 정희우(鄭喜禹) 경연(景淵) (1780 ~ ?) | 진사(進士) |
16 | Ⅱ-9 성재 | 정희현(鄭喜賢) 희재(喜哉) (1822~1889) | 1874년 영릉참봉(寧陵參奉)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6 | Ⅱ-9 성재 | 정재충(鄭載忠) 성화(聖和) (1749~1828) | 통덕랑(通德郞)
문장이 뛰어나고 의를 행하니 사람들의 본보기로 명망이 높으므로 여러 번 감역에 천거되었으나 성은을 받지 못했다
文章行義爲時標望累擬監役未蒙點 |
16 | Ⅱ-10 봉사 | 정재용(鄭載鎔) (1863~1883) | 창릉참봉(昌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창릉 : 서오릉(西五陵)의 하나. 조선(朝鮮) 시대(時代) 8대 예종(審宗)과 예종비(審宗妃) 안순 왕후(安順王后)의 능. 고양군(高陽郡) 신도읍(神道邑) 용두리(龍頭壞.)에 있음 |
17 | Ⅰ-1 절제사 | 정이칠(鄭履七) 인보(仁甫) (1830~1913) | 서사 능참봉(筮仕 陵參奉) 수승 가선대부(壽陞 嘉善大夫)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고향 나주 * 수가선(壽嘉善, 종2품)은 80세가 넘어야 되나, 이 시기는 이미일제강점기임 * 서사(筮仕) : 처음으로 벼슬을 얻음 |
17 | Ⅰ-1 절제사 | 정이일(鄭履一) 명중(明仲) (1736 ~ ?) | 통덕랑(通德郞) |
17 | Ⅰ-2 응교 | 정이찬(鄭履燦) 중명(重明) (1723~1791) | 통덕랑(通德郞)
남천으로 무과선전관에 천거 받았으나 부친(정즙, 鄭檝)의 유훈으로 나가지 않았다. 용인의 선친 묘소 아랫마을로 내려와 거문고와 바둑을 즐기며 지냈다
擬薦武南宣傳官以親遺訓不就 撤歸龍仁墓下琴棋自娛 |
17 | Ⅰ-2 응교 | 정이규(鄭履規) 도원(道源) (1730~1799) | 통덕랑(通德郞) |
17 | Ⅰ-2 응교 | 정문국(鄭文國) 몽뢰(夢賚) (1731 ~ ?) | 종사랑(從仕郞) * 문음관(文蔭官)의 정9품(正九品) 벼슬 |
17 | Ⅰ-2 응교 | 정이상(鄭履祥) 서이(瑞而) (1741~1808) | 성균생원(成均生員) |
17 | Ⅰ-2 응교 | 정이록(鄭履祿) 의지(宜之) (1752~1788) | 1783년 진사(進士) |
17 | Ⅰ-2 응교 | 정이건(鄭履健) 숙겸(叔謙) (1753~1817) | 남천(南薦, 음관) 1806년 부장(部將), 1808년 선공감주부(繕工監主簿) 1809년 북부령(北部令), 홍릉령(弘陵令) 1810년 영릉령(英陵令) 1811년 연풍현감(延豐縣監) 1813년 예산현감(禮山縣監) |
17 | Ⅰ-3 지평 | 정이준(鄭履俊) 화직(和直) 학양재(鶴陽齋) (1825~1886) | 부성이 어질고 마음이 넓었으며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간 우애가 깊었다. 인근 혼사·흉사를 발 벗고 도우면서도 스스로 부덕하다 하였다. 1876년 선공감 가감역을 제수 받았다. 유고가 있다
賦性仁恕孝友純至多恤婚喪自如不德 高宗丙子(1876년)繕工監假監役 有遺稿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7 | Ⅰ-5 능파정 | 정이택(鄭履澤) 영수(永壽) 모은(茅隱) (1848~1923) | 천품이 명민하고 행의가 삼가고 인정이 많았다. 근검으로 집안을 다스렸으며 자녀를 교육함에 법도가 있었다. 초야에 은둔하여 오랫동안 속세를 멀리하였다. 天資明敏行誼純謹勤儉治家敎子有方遯跡林泉與世長謝 1891년(신묘) 광릉참봉 행 사복시정(光陵參奉行 司僕寺正)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ㅇㅇ행 □□’은 ㅇㅇ에는 직급을 □□은 직책을 적는 것인데, 예를 들면, 통정대부(정3품상)행 사복시정(정3품하)로 직급보다 직책이 낮을 때 행(行)을 쓴다. 위의 경우는 ‘9품 직책 행(行) 정3품 직책’을 썼으니 그 형식도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직급의 차이가 천지만큼 다르다. 후일 행적에 출사내용을 끼워 넣은 듯하다. |
17 | Ⅰ-7 진사 | 정이홍(鄭履洪) 준성(俊成) 일헌(逸軒) (1838~1887) | 고종 을해 1877년 경릉참봉(景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景陵 : 조선(朝鮮) 헌종(憲宗)과 그의 비 효현(孝顯) 왕후(王后) 및 계비(繼妃) 효정(孝定) 왕후(王后)의 능(陵) |
17 | Ⅰ-7 진사 | 정이형(鄭履瀅) 계명(啓明) 둔정(遯亭) (1843~1917) | 1875년 화릉참봉(和陵參奉) 1876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1879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3년 만에 종9품에서 정3품 당상관으로 승자 * 화릉(和陵) : 조선 환조(桓祖)의 비 의혜왕후(懿惠王后) 최씨(崔氏)의 능. 함경남도 함흥(咸興) 동쪽 함주군 동천면 경흥리에 있다 |
17 | Ⅰ-7 진사 | 정이호(鄭履浩) 도연(道然) 일재(逸齋) (1858~1946) | 중암 김평묵(金平默) 선생에게 배웠다 受業于 重菴金先生門 1884년 익릉참봉(翼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7 | Ⅰ-7 진사 | 정이은(鄭履殷) 경국(慶國) 송암(松菴) (1830~1892) | 1876년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 1879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경기전(慶基殿) : 태조(太祖)의 영정(影幀)을 봉안(奉安)한 곳. 4대 세종(世宗) 24(1442)년 시조(始祖)의 출생지(出生地)인 전라북도(全羅北道) 전주(全州)에 건립(建立) |
17 | Ⅰ-7 진사 | 정이영(鄭履英) 평국(平國) (1847~1914) | 1893년(계사년) 인릉참봉(仁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인릉(仁陵) :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에 있는 조선 제23대 왕 순조와 비 순원왕후 김씨를 합장한 능 |
17 | Ⅱ-6 양촌 | 정석의(鄭錫儀) 주보(周甫) (1797~1851) | 통덕랑(通德郞) |
17 | Ⅱ-9 성재 | 정도수(鄭度洙) 성노(聖魯) (1832 ~ 1893) | 지조와 행실이 독실하고 굳건하였다 操履篤實 志介堅確
돈녕부도정(行敦寧府都正)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7 | Ⅱ-9 성재 | 정석영(鄭錫永) 치망(致望) 석릉(石陵) (1840 ~ 1911) | 고산 임헌회 선생 문하에서 배웠으며 경행이 현저하였다 내부주사 통훈대부로 승자
受業于鼓山任先生門 經行著世 內部主事 陞通訓
* 승정원일기의 1897년 군부군의(軍部軍醫) 및 1903년 광제원위원(廣濟院委員), 1905년 승육(陞六), 1905년 사릉참봉(思陵參奉) 기록이 동일인인지 확인 필요 |
17 | Ⅱ-11 사간 | 정석홍(鄭錫鴻) 양여(陽汝) 질사(臷士) (1821~1880) | 1846년 생원(生員) 유고(遺稿)가 있다 |
17 | Ⅲ-3 판관 | 정이준(鄭履俊) 민수(珉洙) 운봉(雲奉) (1861 ~ ?) | 참봉(參奉)
천품이 영민하였다. 부모님을 봉양하고 조상을 모심에 있어 조금도 가문의 명성을 실추시키지 않았다. 1876년과 1877년에 기근과 질병(염병, 장티푸스)이 창궐하여 부모를 잃는 화를 입었다. 친족과 이웃의 출입이 없는 가운데 어머니 병에 손가락을 베어 진혈(피를 내어 입에 넣어드림)하니 깨어나시기를 여러 차례 끝내 돌아가셨다. 만약 먹고 살 것이 없으면 어려서 부모 잃은 사람(당시 만 16세)에게는 기대어 의지할 곳이 없으니, 세상의 온갖 어려움과 고초(풍상)를 견디며 사는 것이라, 그 험한 삶의 우레 소리가 마치 복수하려고 날뛰는 자와 같았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지금, 비록 조정으로부터 정려 포상은 받지 못했으나 공론이 일어 성공회에서 이에 대한 찬양문 일책을 보냈다
天資穎悟 事親奉先不墜家聲 歲値丙丁年(1876~1877) 飢癘熾 喪禍荐疊 族隣遮斷 母病露禱血指甦數時 終號絶韻 若將無生 孤露弱齡 靡所靠依 備經風霜 震剝如復讎雪恥者然而時異今古 雖乏旌褒 公儀存慕 聖公會讚揚文一冊惠送
* 역병(癘) : 염병(染病: 장티푸스) * 부친 1877.5.20 졸, 모친 1877.4.16 졸(공은 만16세 나이) * 고로약령(孤露弱齡) : 어려서 부모를 잃은 사람 * 부모님이 3남 3녀를 두셨는데, 공의 두 형은 출계(出系)하였고, 세 딸은 출가하였다. 부모의 묘가 ‘동산(桐山) 임좌 합조’라 하는 데, 14세 세규(世圭) 공의 배위 나주나씨의 묘소가 고군 내면 동산등(古郡 內面 桐山登)으로 그 후손들의 묘소가 모셔진 선영으로 보인다. 현재 지명으로는 전남 진도군 고군면이다(1872년 지리지를 살펴보니, 옛 진도 읍성 터라 한다) |
18 | Ⅰ-1 절제사 | 정주(鄭珠) 화권(化權) (1857~1922) | 서사(筮仕) 후릉참봉(厚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고향 나주이면 한양 객지생활 * 厚陵 : 조선(朝鮮) 2대 정종(定宗)과 정종비(定宗妃) 정안왕후(定安王后)의 능. 경기도(京畿道) 개풍군 홍교면 홍교리 |
18 | Ⅰ-1 절제사 | 정림(鄭琳) 미중(美仲) (1866~1934) | 서사(筮仕) 경릉참봉(景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고향 나주 * 景陵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朝鮮) 헌종(憲宗)과 효현(孝顯) 왕후(王后) 및 계비(繼妃) 효정(孝定) 왕후(王后)의 능(陵) |
18 | Ⅰ-1 절제사 | 정갑(鄭土甲) 행삼(行三) (1778 ~ ?) | 1814년 성균진사(成均進士) * 성균관 출신의 진사 |
18 | Ⅰ-3 지평 | 정한필(鄭漢珌) 덕원(德源) 회곡(悔谷) (1858~1916) | 장릉참봉(章陵參奉)
부모에 효도하고 형제가 우애가 깊었으며 덕행이 높아 행리에서 존경받았다. 족손 월파 정시림이 호기를 쓰고, 조카 준석이 가장을 쓰고, 사위 이병구가 행장을 썼다 孝友德行鄕里推重 族孫 月波 時林撰 號記, 姪 晙錫述家狀, 外甥 李炳龜撰 行狀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章陵 :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는 인조의 아버지로 추존된 원종(元宗)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具氏)의 능
|
18 | Ⅰ-4 자의 | 정림(鄭琳) 찬숙(贊淑) (1864~1928) | 서사 영릉참봉(筮仕 英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서사(筮仕) : 첫 벼슬에 나가다 |
18 | Ⅰ-4 자의 | 정가(鄭珈) 행문(行文) (1852~1919) | 1897년(고종 정유) 궁내부주사(宮內府主事) 1898년(무술) 승 중추원의관(陞 中樞院議官)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8 | Ⅰ-5 능파정 | 정용(鄭墉) 대규(大珪) (1830 ~ ?) | 고종 계사(1893년) 음 참봉(蔭 參奉), 승가선 공조참판(陞嘉善工曹參判)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8 | Ⅰ-6 승지 | 정림(鄭琳) 윤서(潤瑞) (1823~1874) | 음 사헌부감찰(蔭 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8 | Ⅰ-6 승지 | 정현(鄭玹) 찬순(贊順) (1831~1886) | 태어날 때부터 영민하였다. 부모에 효도하고 형제가 우애가 깊어 마을에 이름이 알려졌다
天賦穎悟孝友純篤名重鄕里
고종 갑신년(1884년) 영릉참봉(高宗甲申 筮仕 寧陵參奉) 의금부도사(歷義禁府都事), 사헌부감찰(蔭 司憲府監察) 첨지중추부사로 승자(陞 僉知中樞府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884년에 벼슬을 참봉으로 시작하여 2년만에 정3품 승진 |
18 | Ⅰ-6 승지 | 정규(鄭珪) 치서(致瑞) 추당(楸堂) (1828~1891) | 천성이 바르고 순수했다, 가정을 도(道)로서 제가하고 자녀를 의(義)로 교육하니 동리에서 칭송하였다. 고종 정해 년인 1887년에 동몽교관으로 특진 제수되었다
賦性純正處家有道敎子義方鄕里稱頌 高宗丁亥(1887년) 以特進除童蒙敎官 |
18 | Ⅰ-7 진사 | 정봉필(鄭奉珌) 도일(道一) 노암(魯菴) (1864~1926) | 1887년 공릉참봉(恭陵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8 | Ⅱ-9 성재 | 정익수(鄭益洙) 겸여(謙汝) (1829~1891) | 통덕랑(通德郞) |
18 | Ⅱ-9 성재 | 정택수(鄭宅洙) 인옥(仁玉) (1870~1917) | 1891년 진사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간 우애가 깊고 문장에 능하여 명망이 높았다 孝友文章 著名于世 * 子 : 동학선봉장 정필수(鄭弼洙) |
18 | Ⅱ-9 성재 | 정헌수(鄭憲洙) 원로(元老) (1852~1912) | 통덕랑(通德郞) 글이 뛰어나고 행의가 두터우며 덕행이 높아 세상 사람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文行德望爲世模範 |
18 | Ⅱ-9 성재 | 정기진(鄭基鎭) 자익(子益) (1852~1912) | 1888년 사릉참봉(思陵參奉) 1897년 의녕원참봉(懿寧園參奉) 승 통정대부(陞 通政大夫)
* 다른 집안이 산소 이장 중 공의 지석를 발견하여 종친회에 연락이 왔으나 후손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함(2017년 봄) * 묘소위치 : 공주시 상왕리(上旺里) 명덕봉(明德峰) |
18 | Ⅱ-9 성재 | 정진수(鄭進洙) 여진(汝進) (1839~1902) | 승자 통정대부(陞資 通政大夫)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8 | Ⅱ-9 성재 | 정진수(鄭晋洙) 사명(士明) (1847~1911) | 순강원수봉관(行 順康園守奉官)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순강원(順康園)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동에 있는 조선 제14대 왕 선조의 후궁이며 원종(元宗 : 후에 추존됨.)의 생모인 인빈김씨(仁嬪金氏)의 묘(墓). * 수봉관(守奉官) : 조선시대에 원소(園所)를 맡아 지키던 종9품(從九品)의 벼슬아치 |
18 | Ⅱ-9 성재 | 정영수(鄭榮洙) 치영(致英) (1848~1920) | 수릉참봉(緩陵參奉) 증 통덕랑(贈 通德郞)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수릉(緩陵) : 조선 순조(純祖, 재위 1800∼1834)의 원자로 왕세자(효명세자)로 책봉되고, 사후에 왕으로 추존된 익종(翼宗 1809~1830)과 부인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1808~1890)를 합장한 무덤 * 부친 석범(錫範) 공이 수직으로 동지중추부사가 되어, 장남이므로 음직으로 참봉을 제수받은 것으로 보임 |
18 | Ⅱ-9 성재 | 정한수(鄭翰洙) 윤장(允章) (1854~1921) | 통덕랑(贈 通德郞) |
18 | Ⅱ-11 사간 | 정겸수(鄭謙洙) 치겸(致謙) (1855 ~ ?) |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 확인 |
19 | Ⅰ-1 절제사 | 정만석(鄭萬錫) 화국(和國) (1833~1869) | 통덕랑(通德郞) |
19 | Ⅰ-2 응교 | 정구석(鄭龜錫) 몽서(夢瑞) 석당(石唐) (1790~1865) | 1865년 효문전참봉(孝文殿參奉) 통례원인의(引儀) 1865년 전라도사(全羅都事) 1868년 별세 후 숭보지전을 입었다(爲請隱卒崇報之典事)
일찍이 가훈을 받들어 경서 학문을 닦고 도와 덕을 숭상하여 유학의 태두가 되었다. 1865년 영상 조두순이 주상에게 천거하여 그해 나이 들어 학문에 힘쓴즉 효문전 참봉을 제수하고 이어 통례원인의로 승자한 후 외직으로 전라도사로 나갔으며, 이어 경연참찬관에 추천되셨으나 그즈음 별세하시므로 조야에서 애석해 하였다.
早襲庭訓經術道德爲世儒宗乙丑領相趙斗淳筵奏其年老篤學卽除孝文殿叅奉旋陞通禮院引儀以外臺拜全羅都事朝廷擬望於經筵參贊而這爾棄世有文集 |
19 | Ⅰ-2 응교 | 정준현(鄭俊鉉) 여준(汝俊) (1833~1893) |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 | Ⅰ-4 자의 | 정태석(鄭泰錫) 찬조(贊朝) 백포(栢圃) (1862~1946) | 1891년 서사 강릉참봉(筮仕 康陵參奉) 1893년(계사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승 통정(陞 通政)
천품이 순수하고 후덕하며 행실이 바르고 무거웠다. 세상이 상전벽해되어 험하니 은둔하여 살았다 賦性純厚 行誼正重 値世滄桑隱遁自終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과거기록도 없이, 10년 이내에 9품에서 관직을 시작하여 정3품 당상관으로 승진 |
19 | Ⅰ-4 자의 | 정병석(鄭秉錫) 찬보(贊普) 경재(敬齋) (1857~1938) | 1893년 서사 사헌부감찰(筮仕 司憲府監察) 승자 통훈대부(陞資 通訓大夫)
효도하고 형제간 우애로우며 경서와 행의가 고명하여 명성이 자자하므로 사람들로부터 존경받았다 孝友純至 經行高名 聲望藹蔚 爲世推重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과거기록도 없이, 10년 이내에 9품에서 관직을 시작하여 정3품으로 승진은 어려움. 특히 문과 급제자도 첫 관직을 사헌부 감찰로 시작할 수 없음(대개 가주서로 시작) |
19 | Ⅰ-4 자의 | 정방현(鄭邦鉉) 국서(國瑞) (1838~1884) | 1882년 서사 영릉참봉(筮仕 英陵參奉) 1883년(계미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 | Ⅰ-4 자의 | 정방진(鄭邦鎭) 유성(有聲) 남은(南隱) (1869~1949) | 1903년(계묘년) 효행으로 강원도 교관(以孝行薦江原道敎官)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 | Ⅰ-4 자의 | 정문석(鄭文錫) 치중(致中) (1873~1955) | 서사 헌릉참봉(筮仕 獻陵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헌릉(獻陵) : 조선(朝鮮)의 태종(太宗)과 그의 비 원경(元敬) 왕후(王后)의 능. 서울시 강남구(江南區) 내곡동에 있음 |
19 | Ⅰ-6 승지 | 정언주(鄭彦周) 자신(子信) (1793~1831) | 참봉(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 | Ⅰ-6 승지 | 정인석(鄭麟錫) 윤성(允聖) (1858~1932) | 1886년 서사 선공감가감역(筮仕 繕工監假監役) 승훈랑으로 승진하고(陞 承訓郞) 사헌부감찰을 거쳐(歷 司憲府監察) 돈녕부도정으로 마쳤다(至 敦寧府都正)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과거기록도 없이, 10년여에 정3품으로 승진 |
19 | Ⅱ-5 청백리 | 정낙응(鄭樂應) 화국(和國) (1856~1933) |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 | Ⅱ-9 성재 | 정낙윤(鄭樂允) 경진(敬進) (1841~1879)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낙현(鄭樂賢) 경명(敬明) (1844~1903)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낙준(鄭樂俊) 경승(敬升) (1849~1910)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낙인(鄭樂寅) 경기(敬己) 제원당(濟元堂) (1863~1945) |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중추원 : 구한국(舊韓國) 때 의정부(議政府)에 딸린 관아(官衙). 고종(高宗) 31년에 중추부(中樞府)를 고쳐서 중추원(中樞院)이라 일컫고, 내각(內閣)의 자문 기관(機關)으로 정(定)했음 * 의관 : 1895년(고종 32) 중추원 관제에 따라 설치되었다. 의장·부의장 밑에 속하며 1·2·3등으로 나뉘고 인원은 50명 안팎이다. 자격은 칙임관·국가유공자 및 정치·법률·이재(利財)에 대한 학식이 풍부한 사람들로서 내각회의를 거쳐 내각 총리대신의 추천에 의하여 칙선(勅選)으로 임명되었다. 1898년(광무 2) 1·2·3등의 구별을 없애고 이듬해인 1899년(광무 3)에는 정원 중 10명을 칙임관으로, 나머지 40명은 주임관으로 임명했다(두산백과) |
19 | Ⅱ-9 성재 | 정낙온(鄭樂溫) 치명(致明) (1841~1899)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낙연(鄭樂淵) 기서(岐瑞) (1849~1909) | 1903년 관리서주사(管理署主事) |
19 | Ⅱ-9 성재 | 정낙신(鄭樂臣) 형명(形明) (1856~1926) | 음 참서(蔭 參書) 1901년 내부주사(內部主事) * 참서(參書 : 대한제국 박문원(博文院)의 한 벼슬. 감서(監書)를 고친 이름으로 주임(奏任) 벼슬이다 |
19 | Ⅱ-9 성재 | 정낙윤(鄭樂允) 경진(敬進) (1841~1879)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낙현(鄭樂賢) 경명(敬明) (1844~1903)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낙준(鄭樂俊) 경승(敬升) (1849~1910) | 통덕랑(通德郞) |
19 | Ⅱ-9 성재 | 정화식(鄭和植) 여공(汝恭) (1846~1921) | 1886년 서사 영릉참봉(筮仕 英陵參奉) 승 의금부도사(陞 義禁府都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 | Ⅱ-9 성재 | 정낙현(鄭樂賢) 공일(公日) (1858~1933) | 1895년 궁내부주사(宮內府主事) 1900년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
19 | Ⅱ-9 성재 | 정낙현(鄭樂賢) 공인(公仁) 송죽당(松竹堂) (1875~1946) | 순종 갑술과(純宗 甲戌科) 진사(進士) * 갑술년은 1874년과 1934년이고 과거제는 1894년에 폐지되었으며, 순종연간에 진사라는 시험제도는 없음 * 부친 관수(官洙)의 증 통훈대부 용양위부호군(通訓大夫 龍驤衛副護軍), 조부 석준(錫俊)의 증 동부승지(同副承旨), 증조부 도승(道升)의 증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은 공(公)이 종2품 이상의 승자가 있었어야 추증이 가능한 것임 |
20 | Ⅰ-2 응교 | 정제효(鄭濟孝) 충백(忠伯) (1827~1898) |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의 승은을 입었다(蒙恩授折衝僉知) 1888년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陞嘉善同樞)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同知 加設單) * 加設單付 : 임시직(臨時職)이나 명예직(名譽職)에 세 사람을 추천(推薦)하는 삼망(三望)을 따르지 아니하고, 한 사람만을 후보(候補)로 추천(推薦)하던 일 |
20 | Ⅰ-2 응교 | 정제하(鄭濟夏) 여홍(汝洪) (1827~1898) | 부호군(副護軍) 1893년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호군(護軍) 선조유지와 공덕을 잘 받들어 집안의 유대를 돈독히 하고 어려운 이웃을 도와 원근에 칭송이 자자하였다 誠奉於先志功敦宗周恤貧民遠近感頌 |
20 | Ⅰ-2 응교 | 정제홍(鄭濟洪) 치백(致伯) (1843~1916) | 효도하고 친족 간 돈독하여 마을의 칭송을 받았다. 기근이 들었을 때 구휼에 앞장서 생계를 의지하는 사람이 매우 많았다. 1896년(병신년) 태릉참봉
孝親敦族 鄕里稱頌 饑歲施恤 賴活甚多 丙申拜 泰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Ⅰ-2 응교 | 정제원(鄭濟遠) 성탁(聖鐸) (1842~1910) | 통정첨추(通政大夫 僉知中樞府事), 향년 69세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대한제국의 년간 기준으로도 수직으로 보기에는 고령이 아님 |
20 | Ⅰ-2 응교 | 정제승(鄭濟升) 원유(元有) (1853~1886) | 통덕랑(通德郞) |
20 | Ⅰ-2 응교 | 정제만(鄭濟萬) 경무(景武) (1857~1920) |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Ⅰ-4 자의 | 정병석(鄭秉錫) 찬보(贊普) 경재(敬齋) (1857~1938) | 1893년 서사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승자 통훈(陞資 通訓)
효도하고 형제간 우애로우며 경서와 행의가 고명하여 명성이 자자하므로 사람들로부터 존경받았다 孝友純至 經行高名 聲望藹蔚 爲世推重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 안 됨 * 과거기록도 없이, 10년 이내에 9품에서 관직을 시작하여 정3품으로 승진은 어려움. 특히 문과 급제자도 첫 관직을 사헌부 감찰로 시작할 수 없음(대개 가주서로 시작) |
20 | Ⅰ-4 자의 | 정제휴(鄭濟烋) 보인(普仁) 기은(箕隱) (1853~1924) | 1890년 서사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1893년(계사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부모에 효도가 지극하고 형제간 우애로웠다 행적이 「기성지」에 실렸다(事親至孝友愛又篤事載「箕城誌」)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 안 됨 * 기성지(箕城誌) 1926년 정내근(鄭乃根)이 엮은 전라남도 함평군 읍지4권 2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권두에 오광은(吳光殷)의 서문과 정방현(鄭邦鉉)의 후서(後序), 함평군수였던 박준승(朴準承)의 구서(舊序)와 범례가 첨부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은 건치연혁·고적·관원·성지(城池)·지계(地界)·도리(道里)·방리(坊里)·공해(公廨)·누관(樓觀)·창고·결총(結摠)·부세(賦稅)·균세(均稅)·진공(進貢)·봉름(俸廩)·환총(還總)·호액(戶額)·인구·지적(地積)·군액(軍額)·산천·형승(形勝)·도서진포(島嶼津浦)·제언·교량·관방(關防)·역원·봉수·사찰·장시·물산·속상(俗尙)·성씨·단묘(壇廟)·향교·원우(院宇)·정사유지(亭榭遺趾)·제각·읍선생안(邑先生案), 권2는 사마안·문과안·학행·일덕(逸德)·행의(行誼)·인물·음사(蔭仕)·가자(加資)·증직, 권3은 충의·효행·효부·삼강문, 권4는 문행·유림, 안시량(安時良)의 구발(舊跋), 안종태(安鍾泰)의 발문, 임원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수군기집물(水軍器什物)·육군기집물·봉수집물 등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어 당시의 군비사정을 알아볼 수 있는 유익한 자료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
20 | Ⅰ-4 자의 | 정제규(鄭濟奎) 보현(普賢) (1857~1935) | 1888년 서사 영릉참봉(英陵參奉), 승자 승훈랑(陞 承訓郞) 1892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1893년(계사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과거기록도 없이, 5년 이내에 종9품에서 정3품으로 승진 * 영릉(英陵) : 경기도(京畿道) 여주시(驪州市) 능서면에 있는 조선(朝鮮) 세종(世宗)과 그의 비 소헌(昭憲) 왕후(王后)의 능 * 사헌부감찰 : 사헌부(司憲府)에 두었던 정육품(正六品) 관직으로 정원은 13원이다. 모든 면을 감찰하여 기강을 세우고 풍속을 바로잡는 일을 맡아보았다. * 돈녕부 : 조선시대 종친부에 속하지 않은 종친과 외척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도정(都正)은 정3품 당상관 |
20 | Ⅰ-4 자의 | 정제두(鄭濟斗) 경칠(景七) 오월암(梧月菴) (1863~1898) | 1863년 서사 장릉참봉(筮仕 章陵參奉)
효성이 지극하고 형제가 우애가 돈독하였고 덕행으로 세상에 이름이 높았다 筮仕 章陵參奉 孝友德行名重當世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Ⅰ-4 자의 | 정제룡(鄭濟龍) 덕현(德玄) 해운(海雲) (1866~1922) | 1863년 서사 정릉참봉(筮仕 靖陵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정릉(靖陵) : 조선(朝鮮) 11대 중종(中宗)의 능. 서울 강남구(江南區) 삼성동(三成洞)에 있음 |
20 | Ⅰ-6 승지 | 정제린(鄭濟麟) 성서(聖瑞) (1787 ~ ?) | 참봉(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Ⅰ-6 승지 | 정해윤(鄭海潤) 학형(學亨) (1871~1898) | 대한제국 궁내부 주사, 세자사범
문장에 재예가 넘치고 경륜이 높아 쇄신정치를 베풀 만하였다. 그러나 불행히 일찍 세상을 뜨니 조야에서 매우 애석해 하였다
宮內府主事至世子師範 文章才諝 經綸韜略宣可刷新政治 而不幸早世 朝野嗟惜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Ⅰ-6 승지 | 정제관(鄭濟寬) 재경(在敬) 죽헌(竹軒) (1874~1960) | 서사 헌릉참봉(筮仕 獻陵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Ⅰ-6 승지 | 정제면(鄭濟면) 재삼(在三) 국사(菊史) (1881~1974) | 서사 경기전참봉(筮仕 慶基殿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20 | Ⅱ-1 참봉 | 정태환(鄭台煥) 원삼(元三) (1856~1924) | 1890년 행영릉참봉(行寧陵參奉) 1891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1893년 승 돈녕부도정(陞 敦寧府都正)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종9품 참봉직 3년 후에 정3품 당상관인 돈녕부 도정 승자 |
20 | Ⅱ-9 성재 | 정태환(鄭台煥) 성삼(星三) (1876~1940) | 1902년 忠淸北道觀察府主事,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尙衣院主事 |
20 | Ⅱ-9 성재 | 정성환(鄭成煥) 성칠(星七) (1871~1938) | 음관 시종원시종(蔭 侍從院侍從)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1 | Ⅰ-2 응교 | 정기림(鄭箕林) 성언(聖言) (1843~1910) | 주사(主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대한제국 관직) |
21 | Ⅰ-2 응교 | 정영식(鄭榮植) 정여(廷汝) (1876~1946) | 1902년 경효전참봉(景孝殿 參奉) * 경효전 : 명성(明成) 황후(皇后) 신위(神位)를 모시던 혼전(魂殿). 덕수궁(德壽宮) 안에 있음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1 | Ⅰ-2 응교 | 정홍림(鄭泓林) (1867~1932) | 1903년 경남지계위원(慶南地契委員), 궁내부기사원(宮內府記事員) 1906년 태의원주사(太醫院主事), 돈녕사주사(敦寧司主事) 도지부세무주사(度支部稅務主事) 1907년 재무서주사(財務署主事), 임시 재원조사국주사(臨時財源調査局主事) 승 승훈랑(陞 承訓郞) 글과 학문 행의로 명망이 높았다(文學行誼著名于世) |
21 | Ⅰ-2 응교 | 정태림(鄭台林) 군삼(君三) (1865~1933) | 참봉(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1 | Ⅰ-6 승지 | 정원림(鄭源林) 원오(元五) 오와(梧窩) (1838~1913)
*문인중복기재 | 박학하였고 부지런히 학문은 연마하였다. 주위의 가난한 친척을 도왔으며, 종제인 월파 정시림과 일신재 정의림과 함께 도의를 연구하고 실천하였다
博學篤行 敦族周窮 與從弟月波 日新義林講磨道義
1890년(고종 경인) 영릉참봉(除 英陵參奉) 승 통훈대부행 사헌부감찰(陞 通訓行司憲監察) 1902년(고종 임인) 승 통정대부 오위장(陞 通政 五衛將)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통훈(정3품 당하관) 행 사헌부감찰(정6품) *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는 조선시대 군제(軍制)의 근간이었으나 1882년 폐지되었으므로 동시에 오위장 직책도 폐지됨 * 훌륭한 유림이신 공의 명성에 ‘조작된 관직의 오명‘을 씌워 작은 집안의 위신을 세우겠다 하여 분식하니 역사의 사실은 변할 수 없는 것이며 범죄의 사실만 들어날진대 식자는 모두 실소를 금치 못할 것이다. |
21 | Ⅰ-6 승지 | 정현림(鄭賢林) 군원(君元) (1827 ~ ?) | 통훈대부행 사헌부감찰(通訓大夫行 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1 | Ⅱ-1 참봉 | 정규명(鄭圭明) 윤덕(潤德) 월천(月川) (1863~1940) | 1903년 영릉참봉(英陵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2 | Ⅰ-4 자의 | 정상욱(鄭尙昱) 영중(永仲) (1872~1961) | 정릉참봉으로 관직을 시작하다(筮仕 貞陵參奉) 통훈대부(通訓大夫) 만년에 집 한 채를 지어 지내며, 시를 짓기를, 산에 들어가려는데 너무나 험하구나! 다시 바다로 가 물에 떠있기에는 바다는 끝이 없다네! 산도 아니요 바다도 아닌 중간지에 초가삼간 지어 만년을 지내보세!
晩構一屋 有詩曰 將欲入山山有險 更營浮海海無緣 非山非海中間地 建草三間送暮年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과거급제 없이 약관에 참봉되어 통훈대부(정3품 당하관) 승자 * 1900년에 29세, 을사보호조약 체결 년도인 1905년에 34세 |
22 | Ⅰ-6 승지 | 정상조(鄭尙祚) 송헌(松軒) (1837~1899) | 참봉(參奉) 부모에 효도하고 형제간 우애가 돈독하였으며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주위의 곤궁하고 가난한 사람을 구휼하였다(孝友篤學 周窮恤貧)
1890년(고종 경인) 공릉참봉, 승훈랑으로 승자(筮仕 恭陵參奉 陞 承訓郞) 1891년(신묘)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2 | Ⅰ-6 승지 | 정상웅(鄭尙雄) 국윤(國允) 우강(愚岡) (1825~1900) |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 승 승의랑(陞 承議郞)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22 | Ⅰ-6 승지 | 정상소(鄭尙昭) 사겸(士兼) (1850~1907) | 참봉(參奉)
* 승정원일기에서 확인되지 않음 * 1977년 정사보에는 없는 기록 |
22 | Ⅱ-5 청백리 | 정규석(鄭圭錫) 평숙(平淑) 송암(松菴) (1882~1969) | 1903년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9品) 경무청총순(警務廳摠巡) 1904년 전화과주사(電話課主事) 1905년 6품 승서 승훈랑(陞六 承訓郞) |
23 | Ⅰ-6 승지 | 정사술(鄭思述) 대진(大振) 운암(雲庵) (1867~1953) | 서사 사헌부감찰(筮仕 司憲府監察)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
23 | Ⅰ-6 승지 | 정사균(鄭思均) 기준(奇俊) 농천(農川) (1862~1935) | 서사 영릉참봉(筮仕 英陵參奉)
* 승정원일기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