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추리 : 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알지 못하는 것을 미루어 생각한 것. 즉, 앞일에 대한 예측, 불확실한 것을 확실하게 하는 것.
ㅇ 귀납추리
- 특수한 것에서 일반적인 것을 추리(일반화)
- 통계적 추정
- 장점 : 사용하기 쉽다
- 단점 : 1) 한 사건과 개인 또는 소수의 사건과 사람을 가지고 일반화하므로 필요한 자료가 생략 2) 자료수집, 종합하는 사람의 능력에 의존하므로 정확도가 의심됨 3) 무고한 사람이 용의자로 지적될 우려
- 자료의 생산성은 높으나 전제가 잘못될 경우 정확도 떨어짐
- FBI의 VICAP, 한국의 VICAT 등의 자료가 귀납추리의 형태
ㅇ 연역적 추리
- 처음부터 범행자를 추상하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물적, 행동적 증거를 종합하고 해석하기까지 범죄자의 추정을 아낌
- 귀납추리에 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
- 추리의 연속
- 자료의 수집, 종합, 해석하는 과정에서 번번히 비판적 사고를 강하게 요구
ㅇ 귀납추리는 '어떤 사람이 범죄자일 것이다'라고 잠정적인 결론을 가지고 시작되는 한편 연역추리는 처음에 범인에 대한 추정을 뒤로 미루고, 자료를 수집하고 종합해서 분석한 후에 '어떤 사람이 범인이다' 라고 확인함
ㅇ 연역적 프로파일링의 자료 출처 : 피해자, 범죄자, 범행장소
- 피해자 : 피해자의 모든 특성을 파악하면 범죄자의 범행동기, 습관과 기호, 특별한 행동을 추정 가능
- 범죄자 : 피해자에게 접근한 방법, 공격방법, 사용흉기, 언어적 표현, 범행 과정과 결과, 행동 등을 조사
- 범행 장소 : 범행자의 동기, 범행계획, 마음 상태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됨
ㅇ Turvey의 연역추리 : 행동증거분석이라고 하며, 3단계를 거침 1) 법의학적 분석, 피해자와 범행 현장 분석, 2) 물리적, 행동적 증거를 종합하여 범죄자 특성 추리, 3) 지금까지 수집한 자료를 통합하여 결론에 이르는 절차 밟기
ㅇ 연역적 추리 과정시 유의 사항
- 어떤 범죄자도 동기 없이 행동하지 않는다
- 모든 범행들은 각각 특이한 행동과 동기를 갖는다
- 범죄자들은 완전히 다른 동기를 갖지만, 동일하거나 비슷한 행동을 한다
- 인간의 행동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환경과 유전의 영향으로 특이하게 발달한다
- 범죄자의 일반적 행동은 시간의 경과와 다른 여러 범죄를 거치면서 변화되고 발전된다
- 한 범죄자라도 여러 범행을 하는 중에 각기 다른 동기를 가질 수 있고 또한 한 범죄를 행하는 중에라도 동기가 바뀔 수 있다
-> 즉, 범죄자의 범행 동기, 범죄 현장, 피해자, 증인들이 언제나 고정적이 아니고 늘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며 따라서 과거의 정보로 현재 정보를 해석할 수 없듯이 현재의 정보로 과거의 것을 해석할 수 없다는 것이다
ㅇ 연역적 프로파일링의 목적과 개입 단계
- 정의를 목적으로 사실을 발견 : 용의자를 누구누구라고 지적하여 애매한 사람에게 해를 주는 것을 방지
- 조사 단계와 재판 단계에서의 개입
ㅇ 연역적 프로파일러의 금기 사항
- 생활의 누적, 단순 느낌에 의한 직관련, 편견, 도덕적 판단, 폐쇄된 마음, 자신은 범죄자와 다르다는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