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 비거리와 방향이 지속적으로 문제일때는 ?
골프운동을 하면 누구나 비거리 욕심 내고 싶어 하지요.
고가의 신형드라이버라고 거리가 더 잘나온다는법은 없지요.
가격과 브랜드를 논하기전 샤프트의 FLEX ( 강도 ) 가 본인의 파워와 일치할때 신체에
무리도 안가고 공의 정확한 방향성이나 거리가 최상으로 나오지요.
첫째로 비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자세가 중요합니다.
어드레스는 스윙의 시작입니다. 어드레스가 잘못되면 스윙 전체에 영향을 미칠수 있지요.
그리고 그 결과는 미스 샷으로 이어집니다.
어드레스를 취할 때는 몇 가지 확인할 사항이 있습니다 .
타깃과의 정렬상태와 몸의 구부림 정도 그리고 볼의 위치 및 그립의 상태 등을 체크 하세요.
정렬이 잘못 되었다면 볼이 타깃을 벗어나기 때문에 그만큼 비거리에 손실을 가져오고
몸의 구부림 정도가 잘못되었다면 정확한 임팩트를 만드는데 곤란을 겪는 것은 물론
파워의 손실까지 감수해야 합니다.
그립도 마찬가지 이지요 . 손의 위치와 쥐고 있는 힘의 세기 등에 따라 근육의 움직임이
달라지기 때문에 히팅이나 거리, 그리고 방향성에 있어 차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마추어 골퍼들은 어드레스 때 지나치게 몸을 구부리는 경향이 있어요.
볼을 좀 더 정확히 때려내겠다는 욕심이 앞서기 때문이지요.
볼을 똑바로 쳐다보기 위해 지나치게 고개를 숙이는 것이 대표적이지요.
그러나 고개를 숙이면 톱 오브 스윙에서 어깨가 충분히 회전하지 못해 그만큼 파워를
낭비하게 됩니다.
볼은 눈으로 직접 볼을 보는 게 아니라 코 끝에 걸쳐 내려다본다는 느낌이 들도록 들어주는게 좋습니다.
다음은 볼의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하세요 .
각 클럽에 따라 볼 위치를 세심하게 조절하세요.
그 이유는 볼을 어디에 놓느냐에 따라 샷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드라이버 샷과 같은 경우에는 어드레스의 중심에서 앞쪽에 볼을 놓는데 정확하게
표현한다면 왼발 뒤꿈치의 앞이라고 할 수 있지요 .
이는 대부분의 골퍼들 역시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이렇게 볼을 앞쪽에 놓는 이유는 헤드가 최저점을 통과해 위로 떠오르는 순간 볼과 만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렇게 해야 충분한 파워를 실어 높은 탄도의 샷을 날릴 수 있습니다.
보통 어드레스의 경우 넓어야 장타를 칠 수 있다는 말이 있지요. 그러나 이는 보다
안정적으로 몸을 지탱해준다는 의미일뿐 어드레스가 넓다고 반드시 장타를 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드레스 폭을 줄이더라도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다면 어드레스는 어깨넓이가 가장
적당합니다.
본인의 발 안쪽을 양 어깨의 끝 선에 정렬한다는 느낌으로 어드레스 넓이를 조절해 보세요. 또한 튼튼한 하체는 골프를 하는데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요 .
하체가 안정적으로 받쳐주지 못한다면 좋은 샷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체운동도 어떤 근육을 훈련 하느냐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뉘지만 안정적인 어드레스에
도움이 되는 트레이닝 방법은따로 있지요.
골프 스윙에 있어 하체 중 가장 중요한 근육은 퇴부(넓적다리)의 근육입니다 .
백스윙이나 다운스윙에서 하체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튼튼한 퇴부 근육이 기본이지요.
발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당겨주면 퇴부의 안쪽 근육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또 바깥쪽 근육의 경우 반대로 하면 됩니다.
트레이닝 장비의 활용이 어려울 경우 선 채로 벽을 짚어 몸을 지탱하고 다리만 천천히 움직이는 것도 효과적이지요 .
또 모래주머니를 발목에 차고 훈련할 수도 있지요.
퇴부와 엉덩이 뒤쪽을 감싸고 있는 근육인 슬와부근은 어드레스 및 스윙 동작에 있어
안정적인 추 역할을 합니다 .
처음 어드레스 상태의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한 근육이기 때문입니다.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고 클럽은 어깨에 매고 시작합니다.
역기를 등에 진 후 발은 어깨넓이로 벌리고 등을 곧게 편다고 생각하시고 그 다음에는
무릎을 구부렸다가 그대로 다시 일어서는 것을 반복해 보세요 .
이때 허리는 곧게 편 상태를 끝까지 유지해야 합니다
등을 쭉 펴고 머리를 숙이지 않고 다리를 구부렸다 일어서기를 반복해서 하는 것으로 20회
3세트 정도 실시하는 것이 좋지요.
본인의 체력을 안배해 하체가 강하다면 30회씩 3~5회 를 실시해 보세요.
너무 빠른 속도로 하지 말고 하체 근육의 움직임을 느끼는 속도로 천천히 해야 효과가 더
높아 집니다.
처음 해보는 골퍼라면 너무 무리하지 말고 주3회 정도 하다가 점차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운동을 꾸준히 하면 자연스럽게 몸에 무리가 안가며 거리는 늘어난다고 봅니다.
드라이버 샷과 다운스윙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초구인 드라이버샷의 중요성은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죠. 스윙은 어드레스→백스윙→
다운스윙→임팩트→팔로스루→피니시 단계로 이어지죠.
티샷 하기 전에 볼에서 한 두발 뒤로 물러나 볼이 날아갈 목표방향을 확인해야 보다 정확한
샷을 할 수 있습니다.
볼을 중심으로 양발을 정렬하는 스탠스와 무릎, 허리 기울기를 가다듬는 어드레스에
들어가게 되는데 몸에 힘을 빼고 엉덩이에서 목까지 등이 일직선이 되어야 좋은 샷을
할 수 있습니다.
발은 어깨넓이 정도가 좋습니다.
스윙의 시발점인 백스윙의 핵심은 몸통 회전과 오른쪽으로의 체중 이동입니다.
이때 왼팔을 오른쪽 뒤편으로 쭉 뻗어준다는 느낌으로 해주고 어깨와 클럽을 쥔 양손이
역삼각형 모양을 유지한 채 어깨턴과 몸통 회전을 해주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체중이 실린 오른쪽 무릎을 견고하게 해줘야 안정되고 폭발적인 샷을 할 수
있습니다.
다운스윙은 백스윙의 궤도대로 따라 내려오는 단계로 생각하면 됩니다.
다만, 체중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되죠.
이때 오른쪽 팔꿈치는 옆구리에 붙인 상태로 다운스윙을 해야 일정한 스윙궤도를 유지할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순간인 볼을 맞히는 임팩트 단계에서는 몸의 왼쪽 축을 견고히 해야 합니다.
헤드업은 금물이구요. 이제 뒷마무리가 중요하죠.
임팩트 이후의 동작인 팔로스루와 피니시의 중요성을 뜻하죠.
몸통은 볼이 날아가는 방향쪽으로 이동해주고 양팔도 목표지점을 향해 쭉 뻗어 클럽을
뿌린다는 느낌을 가져야합니다.
다음은 다운스윙을 정확히 출발시킬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을 말씀드릴께요.
다운스윙의 출발 단계는 동작이 잘못되면 그 여파가 큰 매우 중요한 순간입니다.
다운스윙의 순서가 잘못되면 볼의 방향을 걷잡을 수 없게 되지요.
백스윙 때 축적된 파워는 방향을 바꾸어 풀어놓어야 하기 때문에 백스윙 동작을 매끄럽게
다운스윙 동작으로 바꾸려면 전환의 중심축이 필요합니다.
클럽이 톱단계에 도달했을 때 왼쪽 엉덩이와 허벅지 근육을 유연하게 유지하여 다운스윙시
정확한 회전을 가능하게 해주는 안정된 중심축을 마련하는 것으로 방향 전환을 시작하도록
하세요.
스윙 방법 으로는
왼쪽 다리를 중심축으로 잡아주었다면 이번에는 몸을 틀어줄 차례입니다.
왼쪽 엉덩이를 타깃 방향으로 틀어주세요.
손목을 꺾어준 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손과 팔을 아래쪽으로 떨어뜨려 주시고요.
엉덩이의 회전과 손의 이동에 맞추어 어깨를 틀어주세요.
이때 기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어깨의 동작이 마지막이란 것이지요.
이렇게 하면 임팩트 순간을 위해 백스윙 때 축적한 모든 에너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더더욱 중요한 점은 클럽이 스윙면 위로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드라이버를 잘 치려면 ?
첫째, 드라이버와 같이 긴 경우는 보폭도 여유있게 벌이는 것이지요.
그럼 이렇게 볼의 위치가 아이언과 다른 이유는 무었일까요?
이는 아이언 스윙과 드라이버 스윙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아이언 스윙은 도끼를 땅바닥에 내려 찍 듯이 휘두르는 반면에 드라이버는 빗자루로 쓸 듯이 스윙을 한다는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둘째, 어드레스 자세는 상체를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여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드라이버를 스윙하는 시점에서 공을 전방에 두고 바라보는 입장에서 타격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스를 발생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다운스윙을 할 때 상체가 지나치게
전방에 쏠려서 공을 타격할 때 각이 틀어지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상체를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공을 칠 경우는 공을 보다 더 편안한 각도에서 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해소되지요.
셋째, 백스윙을 할 때 팔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상체가 팔과 함께 자연스럽게 돌아가야
합니다.
그리고 백스윙이 최고조에 달할 때는 클럽 끝을 높이 쳐드는 것이 아니라 지면과 거의
수평선을 유지할 정도로 클럽헤드를 낮추어야 합니다.
백스윙은 어느정도까지 해야 좋은가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왼쪽 어깨가
턱에 닿을 정도면 족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넷째, 백스윙이든 다운스윙이든 모든 과정에서 왼쪽 팔꿈치는 곧게 펴야 합니다.
공을 타격 한 이후에야 왼쪽 팔꿈치는 자연스럽게 구부러지게 하여야 합니다.
한편 오른팔은 공을 실제적으로 타격할 때도 완전히 펴지지 않으며 타격이 끝난 이후에
완전하게 펴세요.
다섯째, 다운스윙을 할 때 양 손목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슬라이스를 바로잡는데 바로 이 부분이 가장 크게 기여를 하지요.
손목의 컨트롤이 없이 무조건 스윙을 할 때는 공이 엉뚱한 곳으로 휘어서 날아갔지만
손목을 제대로 통제하면서 부터 공이 제대로 직선으로 날아가기 시작합니다.
여섯째, 일반적으로 골프의 스윙은 왼손이 주도를 하며 오른손은 보조를 하는 입장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장타를 날리기 위해서는 오른손의 힘이 뒷바침해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원리는 특히 야구 배팅과 많이 비유되지요.
왼팔은 주로 방향을 유도하고 파워는 오른팔이 뒷받침해주는 것인데 드라이버 스윙에도
이 원리는 동일합니다.
또한 오른 팔은 공을 타격한 이후 끝까지 팔꿈치를 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노력을 지속할 때야 비로소 공을 타격하는 핵심은 손목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지요.
드라이버 스윙을 정확하게 하여 공을 타격할 때는 자신의 에너지가 전혀 흐트러지지 않고
공에 전달되는 특이한 경험을 하게 되며 이렇게 날아간 공은 직선으로 한없이 뻗어서
날아가게 됩니다.
신체에 무리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연습을 하시고 즐거운 골프 운동 하세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F1734535EF62004)
![](https://t1.daumcdn.net/cfile/cafe/212CF734535EF6200E)
![](https://t1.daumcdn.net/cfile/cafe/23555D34535EF6200A)
![](https://t1.daumcdn.net/cfile/cafe/266BAA34535EF62137)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86034535EF62133)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C0134535EF62110)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2AE34535EF6210F)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C4434535EF62109)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3D437535EF62202)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02837535EF62301)
![](https://t1.daumcdn.net/cfile/cafe/266CB937535EF62329)
![](https://t1.daumcdn.net/cfile/cafe/2175BF37535EF62333)
- 옮겨온글 -
http://cafe.daum.net/t.o.mgolf
"세월호“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