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모토 미쓰마사의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는 고혈압에 대해 평소에 가지고 있었던 나의 의문을 어느 정도 해소해 주었다. 40여 년 동안 10만 명 이상을진료한 끝에 필자가 내린 결론은 "약간 신경 쓰이는 정도의 혈압이 큰 병을 일으킬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는 것이다. 그는 "고혈압이 국민병이라는 새빨간 거짓말이 퍼져 수많은 사람들을 환자로 만들고 있다"며 "고혈압증이야말로 제약회사의 이익 때문에 만들어진 허구의 병"(13쪽)이라고 주장했다.
고혈압을 소리없이 찾아오는 '죽음의 암살자'로 알고 있는 '상식'을 완전히 뒤집는 이야기다. 그는 어째서 이런 주장을 하게 된 것일까.
첫 번째로 문제가 되는 것은 '기준치'다. 한국에서는 정상수치를 '120-80'으로 본다. 일본에서는 2011년 현재 '130-85'다. 1987년에는 '180-100'이었다. 그러니까 1987년에는 수축기 혈압 180도 정상이었던 셈이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나는 고혈압 환자가 아니게 된다. 이것부터가 이상했다. 기준치를 무엇으로 잡느냐에 따라, 고혈압 환자가 될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는 것이다. 이 무슨 요지경 같은 이야기란 말인가.
일본에서는 고혈압 기준치가 불과 8년 사이에 50mmHg(밀리미터 수은주)나 낮춰졌다고 한다. 일본의 고혈압 기준치는 '일본고혈압학회'라는 조직에서 결정하는데 '고혈압 치료 가이드라인'을 5년 마다 개정 발표하고 있다. 그때마다 고혈압 기준치가 내려갔다. 이 때문에 1980년대 후반에는 230만명이던 고혈압 환자가 지금은 5,500만명으로 늘었다. 무려 20배 이상의 증가율이다.
그렇다면 무슨 이유로 고혈압 수치가 그렇게 크게 낮아진 것일까. 고혈압의 위험성에 대한 획기적인 의학 연구라도 나왔나. 저자는 "고혈압과 관련된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는 수없이 발표되었어도, 고혈압 수치를 낮출 만한 획기적인 연구는 보지 못했다"(23쪽)고 한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고혈압 수치와 관련된 조작 사건이 발생해 열도가 들끓기도 했다. 2013년 7월 도쿄 부립의대, 도쿄 자애회 의대, 지바 대학, 시가 의대와 제약회사 노바티스파머가 짜고 혈압약 데이터를 조작한 사건이다. 문제가 된 약품은 일본에서 널리 판매된 '발사르탄'이라는 혈압약이다.
나중에 해석 데이터를 실은 논문이 조작되었고, 이 연구팀에 대학 비상근 강사라는 직책으로 제약회사 직원이 섞여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고혈압학회는 "부정한 데이터 조작은 없었다"고 부인했지만, 2014년 1월 후생노동성은 노바티스파머를 약사법 위반으로 도쿄 지검에 고발했다.
2008년 3월 30일자 <요미우리 신문>에는 '지침 작성 의사 90%에게 기부금 전달, 제약회사로부터'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내용은 고혈압이나 고콜레스테롤 등의 가이드라인을 만든 276명 가운데 87%인 240명이 제약회사로부터 기부금을 받았다는 것이다. 특히 2004년 고혈압 가이드라인의 경우, 위원 아홉 명 전원에게 총 82억여원이라는 거액의 기부금이 전달된 것(45쪽)으로 드러났다.
저자는 "혈압약이야말로 제약회사에 아주 매력적인 약이고 약간의 조작만으로도 엄청난 이익을 챙길 수 있는 수단"이라며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의약품이 제약회사, 학자, 미디어의 유착관계에 의해 이익만을 최우선시하는 대상으로 전락했다"고(41쪽) 개탄했다. 또한 "건강 진단 후 의사로부터 갑자기 '혈압이 높다'는 선고를 받으면 그대로 믿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언가'가 바뀌고, 기업은 떼돈을 벌고, 결국은 그 돈을 국민이 내는 셈"이라며 " 그러므로 우리는 눈을 더 크게 뜨고 살피면서 목소리를 높여 진실을 밝히라고 요구해야 한다"고(61쪽) 주장했다.
1. 고혈압 환자 [중중환자까지 모두 포함]에게 투여한 혈압강하제로 혈압을 낮춤으로써 수명이 연장 되었다는 확실한 자료는 일본을 포함하여 외국 어디에도 없다
2. 혈압강화제를 복용하는 경우 언젠가는 효과가 저하되고 부작용만 남게 된다.
3. 혈압강화제를 복용 한 후에 암발생율이 높아 졌다. 그 이유는 이 약들이 면역세포의 활성을 약화 시키기 때문이다.
4. 혈압이 높아도 혈압강화제를 전혀 먹지 않는 노인들이 혈압약을 먹는 사람보다도 훨씬 건강하다[혼자 스스로 일을 하는 자립도가 놓았다.] 그 이유는 혈압이 높다는 것은 말초혈관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반응인데 이를 강압적으로 낮게 만드는 것은 뇌라든가 모세혈관에 혈액이 원할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 뇌의 영양부족으로 뇌가 둔해지고 자립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5. 핀란드에서 15년동안 사망한 고혈압 환자들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적극적으로 혈압약을 복용한 환자들과 혈압약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들중에 오히려 혈압약을 적극적으로 복용한 환자들의 사망자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놀라운 자료가 나왔다고 한다. 특히 심장병으로 사망한 고혈압 환자가 많았다고 한다.[고혈압 약물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이 혈관을 막아 심장병을 유발하였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