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yuk is set to debut as a K-pop boyband member this year
혁은 올해 케이팝 보이그룹 멤버로 데뷔할 예정입니다.
Yu Hyuk was just nine years old when he started begging on the streets of North Hamgyong, one of the poorest provinces in North Korea, nestled along the northern border with China and Russia.
유혁이 중국과 러시아 북쪽 국경에 위치한 북한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인 함경북도 길거리에서 구걸을 시작한 것은 겨우 아홉 살 때였습니다.
Besides begging, he ran errands for soldiers and sold foraged mushrooms.
구걸 외에도 군인들의 심부름을 하고 채취한 버섯을 팔기도 했습니다.
Sometimes he stole food out of sheer hunger: once he snatched a lunchbox that sat unattended at an underground station. Inside was a scoop of spoiled rice.
때로는 배가 고파서 음식을 훔치기도 했는데, 한 번은 지하철 역에 아무도 없는 도시락을 훔치기도 했습니다. 도시락 안에는 상한 밥 한 숟가락이 들어 있었습니다.
This was just "part of everyday life" for many North Koreans, he says, adding that his own life was so consumed with survival that it left little room for dreams.
많은 북한 주민들에게 이런 일은 "일상의 일부"였을 뿐이라고 그는 말하며, 자신의 삶은 생존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꿈을 꿀 여지가 거의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But dream he did. Later on this year, the 25-year-old will debut in the US as a member of a K-pop boy band.
하지만 그는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올해 말, 25살인 그는 케이팝 보이밴드의 멤버로 미국에서 데뷔할 예정입니다.
1Verse (pronounced "universe") is made up of five members: Hyuk, Seok who is also from North Korea, Aito from Japan, and Asian Americans Kenny and Nathan - all prefer to go by their first names.
1Verse('우주'로 발음)는 다섯 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혁, 북한 출신인 석, 일본 출신 아이토, 아시아계 미국인 케니와 네이선 등 모두 자신의 이름으로 활동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They are set to make history as the first K-pop boy band to debut with North Korean defectors.
이들은 탈북자 출신으로 데뷔한 최초의 케이팝 보이 밴드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것입니다.
From scraps to rap 폐품에서 랩으로
Hyuk was born in a seaside village in Kyongsong county and raised by his father and grandmother, after his parents broke up when he was just four.
혁은 경성군 바닷가 마을에서 태어나 네 살 때 부모님이 헤어진 후 아버지와 할머니 손에 자랐습니다.
Later, his mother fled the North to settle in the South and reached out to him in an attempt to get him to join her.
나중에 그의 어머니는 북한을 탈출해 남한에 정착했고, 그를 데려오기 위해 그에게 연락을 취했습니다.
But he refused as he was close to his father and did not want to leave him.
그러나 그는 아버지와 친했고 아버지를 떠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거절했습니다.
Hyuk says his family was "not extremely poor" to begin with, but the situation quickly deteriorated after his parents separated.
혁은 자신의 가정이 처음부터 "극도로 가난하지는 않았다"고 말하지만, 부모님이 헤어진 후 상황은 빠르게 악화되었습니다.
His father didn't want to work and his grandmother was too old, so Hyuk was left to his own devices to survive.
아버지는 일을 하고 싶지 않았고 할머니는 너무 늙으셨기 때문에 혁은 혼자서 생계를 꾸려야 했습니다.
Eventually, his father persuaded him to join his mother, and in 2013 Hyuk escaped from North Korea.
결국 아버지가 그에게 어머니에게 가라고 설득해 2013년 혁은 북한을 탈출했습니다.
It took months for him to arrive in the South, after going through several countries.
여러 나라를 거쳐 남한에 도착하기까지 몇 달이 걸렸습니다.
He has chosen not to reveal specifics of the route, as he fears putting other future defectors at risk.
그는 다른 탈북자들이 위험에 처할 것을 우려해 구체적인 경로를 밝히지 않기로 했습니다.
사진2
Hyuk lived in North Hamgyong Province
Once in the South, he lived with his mother for just a year, before moving to a boarding school with his mum's financial support.
남한에 도착한 그는 어머니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기숙학교로 옮기기 전 1년 동안만 어머니와 함께 살았습니다.
However, he struggled to cope with South Korea’s fiercely competitive education system, as Hyuk had barely finished primary school before his defection.
하지만 탈북 전 초등학교를 겨우 마친 혁은 남한의 치열한 경쟁 교육 시스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Writing was the one thing he found solace in, he says.
글쓰기는 그가 위안을 얻을수 있는 유일한 것이었다고 말합니다.
He started with short poems alluding to his past life in North Korea. “I couldn’t openly share what I’d been through, but I still wanted to make a record of it.”
그는 북한에서의 과거 생활을 암시하는 짧은 시로 시작했습니다. "제가 겪은 일을 공개적으로 공유할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습니다."
At first, Hyuk believed his story couldn’t be understood by others, but was encouraged by friends and teachers in his school's music club - and eventually found his passion in rap.
처음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학교 음악 동아리의 친구들과 선생님들의 격려를 받으며 결국 랩에 대한 열정을 발견했습니다.
Growing up, music had been a luxury, let alone K-pop which was something he had barely heard of.
어릴 적 그에게 음악은 사치였고, 케이팝은커녕 들어본 적도 없는 음악이었죠.
But now, he channelled his thoughts of feeling lonely and of missing his father into music, referring to himself as “the loneliest of the loners” - a line in Ordinary Person, a rap song he composed as a part of a pre-debut project.
하지만 데뷔 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작곡한 랩 곡 '보통 사람'에서 자신을 "외톨이 중 가장 외로운 사람"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외로움과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음악에 담았습니다.
Hyuk graduated from high school aged 20. Afterwards, he worked part-time at restaurants and factories to support himself.
혁은 20살에 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그 후 식당과 공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꾸려나갔습니다.
But it was in 2018 when he was featured in an educational TV programme that his luck changed.
하지만 2018년 한 교육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운명이 바뀌었습니다.
His unique background and rapping talent caught the eye of music producer Michelle Cho, who was formerly from SM Entertainment, the agency behind some of K-pop's biggest acts.
그의 독특한 배경과 랩 실력은 K팝의 대세 아티스트들이 소속된 SM 엔터테인먼트 출신의 음악 프로듀서 미셸 조의 눈에 띄었습니다.
She offered him a spot in her agency, Singing Beetle.
그녀는 그에게 자신의 소속사인 싱잉비틀에서 일할 수 있는 자리를 제안했습니다.
"I didn't trust Michelle for about a year because I thought she was cheating me," Hyuk says, adding that defectors are often targeted by scams in the South.
"미셸이 나를 속인다는 생각에 1년 정도 미셸을 믿지 못했다"며 남한에서는 탈북자들이 사기의 표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혁은 덧붙였습니다.
But gradually he realised that Ms Cho was "investing way too much time and money" for it to be anything but genuine.
하지만 점차 조 씨가 진심이 아니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Singing Beetle
사진3
Hyuk (top), Aito (bottom left), Seok (middle), and Kenny (right) - Nathan (not pictured) joined later
'I thought North Koreans might be scary'
'북한 사람들은 무서울 거라고 생각했어요’
Kim Seok, 24, also defected and arrived in the South in 2019, though his experience was vastly different to that of Seok's.
24살의 김석 씨도 2019년에 탈북해 남한에 도착했지만, 그의 경험은 석 씨와 크게 달랐습니다.
Coming from a relatively better-off family, Seok lived close to the border with China and had access to K-pop and K-drama through smuggled USBs and SD cards.
비교적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석 씨는 중국 국경 근처에서 살며 밀수한 USB와 SD카드를 통해 케이팝과 케이드라마를 접할 수 있었습니다.
Due to safety reasons, we are unable to reveal much more about his life in the North and how he came to the South.
안전상의 이유로 그의 북한에서의 생활과 남한으로 오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더 이상 밝힐 수 없습니다.
Both boys were described by Ms Cho as "blank canvases", adding that she had never encountered trainees quite like them.
조 씨는 두 남학생을 "빈 캔버스"라고 표현하며, 자신은 그들 같은 훈련생들을 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Unlike Aito and Kenny, who had been immersed in music and dance from an early age, Hyuk and Seok were complete beginners.
어릴 때부터 음악과 춤에 푹 빠져 있던 아이토와 케니와 달리 혁과 석은 완전히 초보자였습니다.
“They had absolutely no grasp of pop culture," she said.
"그들은 대중문화에 대해 전혀 몰랐어요."라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But their ability to “endure physical challenges” astonished Ms Cho.
하지만 '육체적 어려움을 견뎌내는' 그들의 능력은 조 씨를 놀라게 했습니다.
They pushed through gruelling hours of dance practice with such determination that she was worried they were “overdoing it”.
이들은 조 씨가 "너무 무리하는 것 아니냐"고 걱정할 정도로 결연한 의지로 힘든 댄스 연습 시간을 견뎌냈습니다.
Apart from music and dance lessons, their training also covered etiquette and engaging in discussions, to prepare them for media interviews.
음악과 댄스 수업 외에도 미디어 인터뷰에 대비하기 위해 에티켓과 토론에 참여하는 방법도 교육했습니다.
“I don’t think they were used to questioning things or expressing their opinion,” says Ms Cho. “At first, when a trainer asked the reasoning behind their thoughts, the only response was, ‘Because you said so last time'.”
조 씨는 "아이들이 질문을 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라고 말합니다.
But after more than three years, Hyuk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she says.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혁이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뤘다고 조 씨는 말합니다.
"Now, Hyuk questions many things. For example, if I ask him to do something, he'll reply 'Why? Why is it necessary?' Sometimes, I regret what I've done," says Ms Cho chuckling.
"지금 혁이는 많은 것을 질문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어떤 일을 시키면 '왜요? 왜 필요한데'라고 대답하죠. 가끔은 후회할 때도 있어요." 조 씨가 웃으며 말합니다.
But what do the other two boys think of their bandmates?
그렇다면 다른 두 소년은 밴드 동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I was kind of afraid at first because North Korea has a hostile relationship with Japan. I thought North Koreans would be scary, but that turned out not to be true,” says Aito, who at 20 is the youngest of the four.
"북한이 일본과 적대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조금 두려웠어요. 북한 사람들이 무서울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어요." 네 명 중 막내인 20살의 아이토는 이렇게 말합니다.
Kenny, who spent much of his life in the US, adds that there were also small cultural differences that have taken him time to get used to.
미국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케니는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렸던 작은 문화적 차이도 있었다고 덧붙입니다.
"Korean culture is very [communal] in that you eat together... that was a culture shock [to me]", he said. "I usually don't like eating with people, I prefer Netflix in my ear. But their joy comes from being collective."
"한국 문화는 함께 밥을 먹는다는 점에서 매우 [공동체적]인데... 저에게는 문화적 충격이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저는 평소 사람들과 함께 식사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넷플릭스를 더 선호합니다. 하지만 함께 하는 것에서 기쁨을 느낍니다."
Late last year, the band added a fifth member, Nathan, an American of mixed Laotian and Thai heritage to the group.
작년 말, 이 밴드는 라오스와 태국계 혼혈인 미국인 네이선을 다섯 번째 멤버로 영입했습니다.
They aim to debut in the US later this year - a decision that the label hopes could attract more American fans.
이들은 올해 말 미국에서 데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더 많은 미국 팬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4
Hyuk (C) had to learn singing and dancing from scratch
Playing one day - in North Korea?
Dozens of K-pop groups make their debut each year and only a few, typically those managed by major labels, become popular.
언젠가 북한에서 공연한다고요?
매년 수십 개의 케이팝 그룹이 데뷔하지만, 일반적으로 메이저 레이블에서 관리하는 소수의 그룹만이 인기를 얻습니다.
So it's still too early to say if 1Verse will go on to resonate with audiences.
따라서 원버스가 대중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지는 아직 말하기는 이르다.
But Hyuk has big dreams, hoping that it might be possible one day for his fellow North Koreans to listen to his songs.
하지만 혁은 언젠가 북한 주민들이 자신의 노래를 들을 수 있기를 바라며 큰 꿈을 꾸고 있습니다.
With human rights activists often sending leaflets and USBs containing K-culture content via balloons and bottles towards the North, this may prove to be less of a pipe dream than it sounds, though Hyuk also has his worries.
인권 운동가들이 풍선과 병을 이용해 K-컬처 콘텐츠가 담긴 전단지와 USB를 북한으로 보내는 일이 잦아지고 있는 만큼, 혁 씨도 이런 꿈이 허황된 꿈이 아닐 수도 있겠지만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To avoid being seen as a vocal critic of North Korea, he refers to his homeland as “the upper side” in interviews and avoids mentioning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북한을 비판하는 사람으로 비춰지지 않기 위해 그는 인터뷰에서 조국을 '윗쪽'이라고 부르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한 언급을 피합니다.
Kim has in recent years been ratcheting up his crackdown on the inflow of K-culture.
김 위원장은 최근 몇 년 동안 K-컬처 유입에 대한 단속을 강화해 왔습니다.
Since 2020,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such content has become a crime punishable by death.
2020년부터는 이러한 콘텐츠의 소비와 유통이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범죄가 되었습니다.
A rare video obtained by BBC Korean last year, believed to be filmed in 2022, shows two teenage boys publicly sentenced to 12 years of hard labour for watching and distributing K-dramas.
지난해 BBC 한국어판에서 입수한, 2022년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희귀 영상에는 10대 소년 두 명이 K-드라마를 시청하고 유포한 혐의로 공개적으로 12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는 장면이 담겨 있습니다.
One academic says it would cause a "stir" in North Korea should 1Verse's music become a hit.
한 학자는 원버스의 음악이 히트를 치면 북한에 '동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합니다.
"If a North Korean defector openly embraced their identity and went on to become a world-class activist, I think that would cause a stir in the North," said Ha Seung-hee, an academic specialising in music and media at Dongguk University's Institute of North Korean Studies.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의 음악 및 미디어 전문 학자인 하승희 교수는 "탈북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공개적으로 받아들이고 세계적인 활동가로 성장한다면 북한에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ut his main motivation, Hyuk says, is to prove that defectors can be a success.
하지만 혁은 탈북민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가장 큰 동기라고 말합니다.
“Many defectors see an insurmountable gap between themselves and K-pop idols. It is hardly a career option for us," said Hyuk.
"많은 탈북민들은 자신과 케이팝 아이돌 사이에 극복할 수 없는 격차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에게는 직업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라고 혁은 말합니다.
“So if I succeed, other defectors might be encouraged [to] have even bigger dreams. That’s why I am trying my hardest.”
"제가 성공하면 다른 탈북민들도 더 큰 꿈을 꿀 수 있을 거예요. 그래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