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운주산
2024년 04월 10일(수요일)
산행코스 : 고산사(08:45) - 운주산성(09:05) - 운주산(09:30) - 임도삼거리(09:50) - 삼각점봉(10:35) - 고삿재(11:00) - 망경산(11:25) - 동림산(12:40) - 민태절(13:10) - 삼중리스포츠센터(13:15)
산행거리 : 12.7km
저멀리 운주산이 보입니다.
고산사 일주문이 보입니다.
고산사 일주문
고산사(高山寺) 일주문 편액 서예가 박양재(朴良在) 글씨
고산사가 보입니다.
백제루(百濟樓)
사천왕상
남방증장, 북방다문
서방광목, 동방지국
도침당
백제국의자대왕위혼비 (百濟國 義慈大王 慰魂碑)
백제극락보전 (百濟極樂寶殿)
백제극락보전 (百濟極樂寶殿) 현판
여래각(如來閣)
여래각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곳입니다. 여래각의 석가모니 부처님은 옛날 장인이 거룩한 불심을 담아 오직 망치와 정으로 조각한 석불입니다.
통일신라시대 석불이라는 말도 있고, 조선말 또는 20세기 초기 작품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정확한 제작연대와 작가는 알수 없습니다.
고산사를 둘러보고 계곡 좌측 등산로를 따라 올라갑니다.
운주산성(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운주산성은 항상 구름이 머문다 하여 이름 지어진 해발 460m의 운주산 정상을 기점으로 서쪽. 남쪽 3개의 봉우리를 감싸고 있눈 포곡삭(계곡을 감싸고 축성된) 산성입니다.
이 산성은 전동면 3개 마을과 전의면 2개 마을에 위치한 대단히 큰 성으로 길이가 약 3.1km인 외성과 543m인 내성이 있습니다.
외성과 내성은 모두 돌로 쌓았으며, 산성 내부의 평지와 구릉에는 크고 작은 건물터가 남아 있습니다.
성내에서는 백제시대 토기 조각과 고려.조선 시대의 자기 조각, 백제 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기와 조각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운주산성(雲住山城) (서)문지
고산사 0.7km, 운주산 정상 1.0km, 임도, 등산로
우물
운주산 정상 0.6km, 고산사 1.1km
미곡약수터
운주산 정상 0.5km, 고산사 1.2km, 성곽순환로
동문지
성곽순환로, 청송약수터 0.5km, 운주산 정상 0.4km
반듯한 곳은 모두 최근에 복원한 곳입니다.
무너진 운주산성
운주산 정상 직전에 이정표.
고산사 1.6km, 청송약수터 0.8km, 뒤웅박고을 2.2km, 전동면사무소 5.4km, 성곽순환로, 등산로 등등 표시되어 있습니다.
운주산 정상이 보입니다.
고유문(告由文)
고유문이라 하면 옛날 국왕 등이 국가의 큰일 등을 치르고자 할 때나 치른 뒤에 그 이유를 신명이나 사당에 모신 조상에게 고하는 글을 읽는 곳, 즉 제를 지내는 장소입니다.
운주산 정상
운주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야할 능선
당겨본 망경산, 동림산
백제의 얼 상징탑
이 탑은 백제 부흥군의 호국 충혼이 서려 있는 운주산의 정상에 위치하며 독립 기념관과 마주 보며 찬란했던 백제문화의 전통을 이어 받아 서로 화합하는 평화로운 터전위에 온유하고 순박한 인정을 가꾸며 충의롭게 살아온 충효의 고장 연기에서 충청인의 위상을 재 정립하여 진취적 기상을 드높이고 예지에 빛나는 미래 문화의 원동력으로 삼아 민족통일의 염원을 이룩하고자 건립하였습니다.
삼층 기단과 삼각 모형은 백제. 신라. 고구려 삼국의 정립을 의미하며 삼층 기단 위의 조형물은 백제 산성과 찬란했던 삼국 문화를 의미합니다.
북 모형은 구국 항쟁의 투혼을 상징하며 아울러 삼면 중앙 방패 모습의 입체석은 호국 의지와 진취적 기상을 표현합니다.
삼각 탑신은 웅비하는 충남인의 기상과 국가 수호의 방패로서 자주 통일을 염원하는 뜻을 담은 것입니다.
망경산 정상 4.8km, 고산사 1.7km, 성곽순환로, 등산로
급경사 하산길
급경사 하산길에 옆에 로프를 잡고 조심조심 내려갑니다.
망경산 갈림길(임도 삼거리)
미곡리, 운주산 정상 0.6km, 망경산 정상 4.2km, 노곡리, 봉대리
임도
임도길을 따라갑니다.
송전탑
밤실고개
망경산 정상 2.3km, 운주산 정상 2.5km, 등산로 아님
망경산 정상 2.13km, 운주산 정상 2.56km
삼각점봉이 보입니다.
삼각점, 높이 240m
도로공사중입니다.
가야할 망경산이 보입니다.
운주산 정상 3.9km, 망경산 정상 0.9km
세종시국가유공자묘역과 망경산
관정약수 약8.4km, 고삿재 약 100m
고삿재
고삿재
심중리(민태절) 5.2km, 동림산 3.5km, 망경산 0.5km
민태절~상조천교 6.3km
망경산까지 500m가 쉬운 길은 아닙니다.
망경 110 이정목
망경산 정상 0.13km, 운주산 정상 4.66km
망경산 정상이 보입니다.
망경산 정상
망경산 정상에서 바라본 운주산
저멀리 흑성산, 은석산이
당겨본 흑성산
당겨본 은석산, 작성산과 병천면
고삿재 0.8km, 망경산 0.3km, 구룡사 0.6km, 심주리(민태절) 4.4km, 동림산 정상 3.0km
삼거리
동림산 2.4km, 심중리(민태절) 4.1km, 고삿재 1.1km, 망경산 0.6km, 동림산 정상 2.7km
동림산 2.3km, 심중리(민태절) 4.0km, 망경산 0.7km, 고삿재 1.2km
망경 108 이정목
동림산 정상 2.4km, 망경산 정상 0.87km
고삿재 1.5km, 망경산 1.0km, 동림산 2.0km, 심중리(민태절) 3.7km
동림산 정상 2.2km, 망경산 정상 1.1km, 고삿재 1.7km, 심중리(민태절) 3.5km
장동저수지, 공영주차장 1.9km
송전탑
동림산 정상 2.0km, 망경산 정상 1.3km, 봉대리
뒤돌아본 운주산, 망경산
산림욕장 삼거리
망경산 정상 2.2km, 산림욕장 1.0km, 동림산 정상 1.1km
망경산 정상 2.3km, 동림산 정상 1.0km
고삿재 2.8km, 망경산 2.3km, 심중리(민태절) 2.4km, 동림산 0.7km
송전탑을 지나갑니다.
병천 방향
동림 104 이정목
동림산 정상 0.4km, 망경산 정상 2.87km
동림산 정상이 보입니다.
동림산 정상
동림산 삼각점
동림산 정상, 금성 1.9km, 망경산 정상 3.3km, 심중리 1.6km
충북 청주, 옥산과 오창이 보입니다.
심중리편입기념비
동림산성 (東林山城)
동림산성은 해발 457m의 동림산 정상에 축조된 석축산성으로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과 충남 연기군 그리고 천안시에 걸쳐 있으며 남북으로 뻗은 능선과 북서쪽으로 분기한 지맥 및 그 사이의 2개의 계곡을 포위하여 쌓은 산정식 석성으로 둘레 819.5m의 비교적 큰 성입니다.
남단의 망대 바로 북쪽 능선에서 지름 5m, 깊이 14m의 역원추형으로 파인 저수시설이 확인된 바 있고, 유물로는 백제계의 토기편과 통일신라~고려중기의 토기 및 기와편이 발견됩니다. 망대가 성의 남동단에 배치되어 있고, 동벽이 가장 험한 지형을 이룬데다 성벽 안쪽으로 1~2.4m를 삭평하여 도로로 이용한 흔적 등으로 보아 백제에 의해 처음 축성된 후, 고려시대까지 이용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동림 103 이정목
심중리 1.5km, 동림산 정상 0.1km
구절터삼거리
고삿재 3.9km, 망경산 3.4km, 심중리(민태절) 1.3km, 동림산 0.3km, 구절터, 상동림 2.0km
송전탑
떼제베CC
전동삼거리
동림산 정상 1.0km, 상동림 1.28km, 전동
조형아파트 약 9.0km, 동림산 약 0.9km
임도를 따라 내려갑니다.
민태절
고삿재 5.2km, 망경산 4.7km, 동림산 1.6km, 상조천교 6.3km
민태절고개
생활폐기물통합처리시설(심중리 스포츠센터)
91번 버스가 자주 없어서 전동역까지 3.5km 정도 걸어서 갑니다.
전의향교
전의향교는 연기현과 합쳐졌다가 다시 분리 독립되는 태종 16년경(1416) 창건된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 위치는 동교리에 있었으나, 양란 후 숙종 8년(1684)에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습니다. 향교 건물은 "전학후묘(前學後廟 : 앞쪽에 학업용 건물을, 뒤쪽에 묘당을 배치)"식 배치이며, 대선전(제향공간)고 명륜당(강학공간), 동서재(학생들의 기숙사)와 전사청(제사 물건을 관장하는 전사관이 머물며 제례를 총관하는 공간), 제기고(제사 그릇이나 기구 등을 넣어 두는 창고), 내외삼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대성전은 정면5칸, 측면3칸 규모에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에 홀처마 팔작지붕으로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던 곳입니다. 조선 말기 고종 년간에 명륜당과 대성전을 몇 차례 중수하였습니다. 소장 전적으로 정조 때의 "어제윤음"과 유생들의 명부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외삼문
명륜당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