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출 8g |
마황 |
진피 각4g |
후박 |
길경 |
지각 |
당귀 |
건강 |
백작약 |
백복령 |
백지 |
천궁 |
반하 |
계피 각3g |
감초 2g |
o풍한에 상하여 머리와 몸이 아프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가슴과 배가 아프고, 토하고 설사하는 것과 속으로는 날것과 찬 음식에 상하고, 컽으로는 풍냉에 상한 것도 다 치료한다.
*이 약을 1첩으로 하여 생강3쪽. 총백 3대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어떤 처방에는 계피와 백지를 제외한 나머지 약제를, 약한 불에 색깔이 좀 변할 때까지 볶아 펼쳐 식힌 다음, 계피와 백지를 넣어서 쓰게 되어 있다. 이것을 일명 숙료오적산이라고 한다. 약을 볶지 않고 쓰는 것은 일명 생료오적산이라고 한다.
인삼양위탕
창출 각6g |
진피 |
후박 |
반하 각5g |
복령 |
곽향 각4g |
인삼 |
초과 |
감초구 각2g |
|
o 상한 음증과 겉으로는 풍한에 상하고, 속으로는 날것과 찬 음식에 상하여, 오한 이 나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몸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생강3쪽. 대추 2개. 오매 1개를 넣어서 물에 달여 먹은 다음, 약간 땀을 내면 한사가 저절로 없어진다. 만약 열이 좀 남아 있으면 삼소음을 쓴다음 잘 조리해야 한다.
곽향정기산
곽향 |
자소엽 |
백지 |
대복피 |
백복령 |
후박 |
백출 |
진피 |
반하 |
길경 |
감초 |
|
|
|
|
o 상한음증으로 머리가 아프고, 몸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약을 1첩으로 하여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불환금정기산
창출 8g |
후박 |
진피 |
곽향 |
반하 |
감초 각4g |
|
|
|
|
o 상한 음증 때 머리와 몸이 아프고, 오한과 신열이 반복되는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1첩으로 하여 생강3쪽. 대추 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상한표증
상한에 걸려 2-3일이 되었을 때, 머리와 몸이 아프고, 오한과 신열이 나는 것은 다 표증 이다.
* [중경]이 태양 병은 다 표증 인데, 이 때는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머리와 목덜미가 아프다고 하였다. *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몸이 아프면서 맥이 부한 것은 표증이다. 표증이라는 것은 오한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오한은 태양 병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런 때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한다.
* 목덜미가 뻣뻣하여 꼼짝 못하는 것은 태양 표증이다. 꼼짝 못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날개가 짧은 새가 먼저 목만 빼들고 날지는 못하는 모양과 같다는 뜻이다. 목덜미와 등이 뻣뻣하다고 하는 것도 이와 같은 것이다. 어떤 데는 날개가 없는 새가 날려고 하는 모양과 같다고 하였다. 한사에 영혈이 상한 데는 마황탕을 쓰고, 풍사에 위기가 상한 데는 계지탕을 쓴다. 겨울철을 제외한 3계절에 발표시키려면 구미강활탕을 쓴다.
* 표증에는 인삼패독산을 쓴다.
인삼패독산
강활 |
독활 |
시호 |
전호 |
지각 |
길경 |
천궁 |
적복령 |
인삼 |
감초 각4g |
o 상한과 돌림병으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목덜미가 뻣뻣하고, 팔다리와 몸이 번거롭고 아픈 것과, 상풍으로 기침이 나며, 코가 메고 목쉰 소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과 박하를 조금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처방에 천마와 지골피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은 것을 인삼강활산이라고 한다.
형개와 방풍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은 것을 형방패독산이라고 한다.
삼소음
인삼 |
자소엽 |
전호 |
반하 |
갈근 |
적복령 각4g |
진피 |
길경 |
지각 |
감초 각3g |
o 풍한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기침이 나는 것과 속으로 7정에 상하 여 담이 성해져 가슴이 그득하고 조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생강 3쪽, 대추 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쌍해산
활석 12g |
감초 4g |
석고 |
황금 |
길경 각3g |
방풍 |
천궁 |
당귀 |
적작약 |
대황 |
마황 |
박하 |
연교 |
망초 |
형개 |
백출 |
치자 각2g |
|
|
|
o 상한 때 표증과 이증이 풀리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생강 3쪽, 총백 3대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약은 익원산과 방풍통성산을 섞은 것이다. 대체로 익원산은 이(裏)를 통하게 하고, 통성산은 표(表)를 발산시키므로 표증과 이증에 다 알맞은 약이다.
상한이증
상한으로 속에 열이 있어서, 불에 찌는 것 같고, 그 열이 속에서 겉으로 나올 때는, 오직 설사시키는 한가지 방법 밖에 없다.
* 열이 나고 땀이 나며, 오한이 없고 도리어 열을 싫어하는 것은 양명 이증이므로 반드시 설사시켜야 한다.
* 양명 병 때는 위가 가득 찬다. 위가 가득 차면 대변이 막히는데, 대변이 막히면 조열이 나고 헛소리를 한다. 이런 데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 양명 병 때 조열이 있고 6-7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것은 대변이 말랐기 때문이다. 이런 때 소승기탕을 조금 먹여 보아 방귀가 나오면, 마른 대변이 있는 것이므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나 방귀가 나오지 않으면, 마른 대변이 없는 것이므로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만약 잘못 설사시키면, 반드시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지며,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된다.
* 열이 나고 땀이 나며, 오한은 없고 도리어 열을 싫어하는 것은, 이증에 속하는데, 이것이 바로 양명 병이다. 땀을 낸 다음 오한은 없어지고, 열을 싫어하는 것은 위가 가득 찬 것이므로 조위승기탕을 써야 한다.
* 대시호탕과 삼승기탕은 속에 열사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 설사를 시키는 약으로서는 대승기탕이 제일이고, 그 다음이 소승기탕. 그 다음이 조위승기탕. 그 다음이 대시호탕이다.
* 만일 오한이 없고 오히려 열을 싫어하며, 갈증이 나고 헛소리하며, 배가 그득하면서 숨이 차고, 손발이 축축하게 땀이 날 때는 빨리 설사시켜야 하는데, 대승기탕을 쓴다. 사기가 깊이 들어가지는 않았으나, 마른 대변이 있는 것 같고, 아랫배가 아플 때는 소승기탕을 약간 써서 위를 조화시켜야지, 세게 설사시켜서는 안 된다. 만일 오한은 없고 대변이 막혔을 때는, 반드시 위기를 조화시켜야 하는데, 조위승기탕을 쓴다.
* 위의 3가지 방법을 조금도 틀리지 않게 써야 한다. 만약 틀리게 쓰면 없던 증상이 생기게 되고, 있던 증상은 오래 끈다. 가령 조위승기탕을 써야 할증에 대승기탕을 쓰면 낫는다고 해도, 그 후에 원기가 회복되지 못하는데, 그것은 기를 상하게 하는 약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대승기탕을 써야 할증에 조위승기탕을 쓰면 낫는다고 해도, 그 후에 정신이 깨끗하지 못하다. 그것은 기를 치료하는 약이 들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소승기탕을 써야 할증에 대승기탕을 쓰면 설사가 멎지 않으면서 허증으로 변한다. 후세 사람들이 이 3가지 약을 섞어서 하나의 처방을 마들어 놓고 그것을 삼일승기탕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중경의 본래의 뜻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증 에는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하는데, 삼일승기탕을 쓴다.
상한의 반표 반리 증
반표 반리는 매우 알기 어려운데, 몸의 앞뒤에서 보기도 하고, 몸의 위아래에서 보기도 하며, 태양과 양명의 사이를 가리켜 말하기도 한다. 몸의 뒤는 태양이 되고, 몸의 앞은 양명이 된다. 소양은 그 가운데 있기 때문에 오한과 신열이 나는 것이 일정하지 않다. 이것은 몸의 앞뒤에서 보는 것이다. 소시호탕은 주로 소양의 반표 반리증을 치료한다. 방광 한수(寒水)는 양명 조금(燥金)과 접근해 있는데, 물이 많으면 차고, 조한 기운이 많으면 열이 나기 때문에,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오령산은 방광의 반표 반리를 분리시키고, 이중탕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일정치 않은 위아래의 반표 반리때에 주로 쓴다.
* 열이 나고 맥이 현세하고 머리가 아픈 것은 반표 반리증에 속하는데, 이것을 소양증이라고 한다.
* 상한 표증 때는 땀을 내고, 이증 때는 설사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어길 수 없는 방법이다. 그러나 맥이 부대(浮大)한 것은 표증이므로 응당 땀을 내야 한다. 또한 열이 나고 번갈이 나며, 오줌이 벌거면 응당 설사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표증과 이증이 다 있을 때는 쌍해산을 주로 쓴다.
* 가령 대변을 보지 못한지 6-7일이 되어, 머리가 아프고 몸에 열이 있으면 이증이고, 오줌이 맑으면 병이 속에 있지 않고, 겉에 있는 것인데, 이때는 땀을 내야 한다. 이 2가지 증상이 다 있으면 계지탕을 쓴다.
* 가령 명치 밑이 그득하여 먹고 싶지 않고, 대변이 굳으며 맥이 침삭한 것은 이증인데, 이때는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머리에서 땀이 나고 오한이 약간 나며, 손발이 차면 땀을 내야 한다. 이것은 반표 반리증이기 때문에 소시호탕을 써야 한다.
* 표리와 내외가 다 열이 있는 증상을 치료할 때, 맥이 부하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바람이 싫거나, 오한이 나는 것은 표증이고, 헛소리를 하거나, 손발을 내젓는 것은 이증이다. 이 때 땀을 내려면 이증이 이미 급하고, 설사시키려면 표증이 아직 있기 때문에 대시호탕을 쓰는 것이 좋다.
* 표증과 이증 때는 다 오한이 나는데, 열이 나면서 오한이 나는 것은, 병이 양경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이때는 마황탕. 계지탕. 소시호탕을 쓴다. 열이 없으면서 오한이 나는 것은, 음경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부자탕이나 사역탕을 쓴다.
상한 음궐
궐(厥)이라는 것은 손발이 싸늘한 것이다. 손, 발가락 끝이 조금 찬 것을 청궐 (淸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경한 증상이다.
* 음궐(陰厥)이라는 것은 병든 초기에 팔다리가 싸늘한 것이다. 이 때 맥은 침(沈). 미(微) 하면서 삭(數) 하지 않으며, 흔히 다리를 오그리고 눕는다. 그리고 때로 오한이 나고, 옷을 더 입으려 하며, 물은 마시지 않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오줌은 순조롭다. 그리고 겉으로 볼 때는 정신이 맑고 안정되는데, 이런 데는 사역탕. 통맥사역탕. 당귀사역탕을 쓴다.
* 태음 궐 때는 손. 발가락 끝이 좀 찬데, 이중탕을 쓰고,
* 소음궐 때는 정강이가 차고 발이 시린데, 심하면 손에서 팔꿈치까지와 발에서 무릎까지가 다 차다. 사역탕을 쓴다.
* 궐음궐 때는 온 몸이 다 싸늘한데, 당귀사역탕을 쓴다.
상한 양궐
양궐(陽厥)이 생긴 초기에는 몸에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겉에는 양증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4-5일이 되면 손발이 싸늘해지고, 이런 증상이 한나절이 지나면, 갑자기 몸에 열이 난다. 대체로 열이 심하면, 곧 손발이 싸늘해진다. 손발이 약간 싸늘하면서도 열이 나는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맥은 복맥이나, 꾹 누르면 활 해지는 것은 속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물을 마시거나, 손발을 내 저으며, 번조해서 자지 못하고, 대변이 굳으며 오줌이 벌겋다. 겉으로 보아서 정신이 혼미할 때는 승기탕이나 백호탕을 증상에 맞게 써야 한다.
* 설사시켜야 할 증상이 다 있으면서 팔다리가 싸늘한 것은, 설사할 시기를 놓쳐서 혈기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팔다리가 다 싸늘해진 것이다. 이것을 의사가 잘 모르고 음궐로 오진한 다음, 성질이 더운약을 쓴다면 매우 위험하게 된다. 대체로 열궐 때 맥이 침복 하고 활 하면, 손은 싸늘하지만 때로 손톱이 따뜻하니, 이 때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 상한 때 사기가 3양에 있으면 팔다리가 열이 나고, 반표 반리와 태음으로 사기가 들어가면 팔다리가 따뜻해진다. 이 사기가 소음과 궐음 까지 깊이 들어가 잠복하게 되면, 팔다리가 싸늘해진다.
음궐과 양궐을 구분하는 방법
양궐 때는 손발톱이 때로 따뜻해지나 음궐 때는 늘 차다.
* 음궐과 양궐을 구분하기 힘들 때는, 이중탕을 써서 알아내는데, 이것을 써서 열이 나는 것은 양궐이고, 열이 나지 않는 것은 음궐이다.
궐과 사역은 같지 않다
사역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은 것이고, 궐이라는 것은 손발이 싸늘한 것이다. 상한 때 사기가 3양에 있으면, 손발이 반드시 달아오르고, 이것이 태음에 전경되면 손발이 저절로 따뜻해진다. 사기가 소음에 들어가면, 열이 점점 깊이 들어가게 되므로, 팔다리가 싸늘하게 되고, 따뜻해지지 않는다. 궐음에 들어가면 손발이 싸늘해진다. 이것은 사역보다 심한 것이다. 사역산은 성질이 서늘한 약이기 때문에, 팔다리가 따뜻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며, 사역탕은 성질이 따뜻한 약이므로, 찬 기운이 심하여 손발이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팔다리가 다 찬 것은, 손발만 싸늘한 것과 차이가 있다. 죽는 다는 것은 팔다리가 싸늘한 것으로서 말한 것이고,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은 손발만 찬 것으로써 말한 것이므로,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과, 손발만 싸늘한 데는 중한 것과 경한 것, 깊은 것과 얕은 것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팔다리가 다 싸늘하면 병이 중하고, 손발만 싸늘하면 병이 경하다. 팔다리와 손발이란 의미가 다른데, 넉 사 자를 거스를 역 자위에 덧붙여, 사역이라고 한 것은, 손발과 팔뚝과 정강이 위를 가리켜 말한 것이고, 수족이라는 두 글자를, 궐역(厥逆) 또는 궐랭(厥冷)이라는 글자 위에 덧붙인 것은, 손발만 가리켜 말한 것이다
상한 음독
상한 때 3음경 병이 심해지면 반드시 음독으로 변하는데, 그 증상은 팔다리가 싸늘하고, 토하며 설사하고, 갈증은 없으며, 가만히 몸을 구부리고 누워 있는 것이다. 심하면 목구멍이 아프고, 정성(잘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서 땀이 나고, 눈알 속이 아파서 햇빛을 보기 싫어하며, 얼굴. 입술. 손발톱이 검푸르게 되고, 손등에서 찬 땀이 나며, 명치 밑이 뜬뜬 하며, 배꼽 노리가 툭툭 튀면서 아프다. 몸은 마치 매를 맞은 것 같이 아프며, 음낭이 얼음처럼 차고, 맥은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는다. 정양산을 쓴다.
* 몰린 음기가 하초로 내려가면 미약한 양기는 상초에서 소모된다. 그러므로 이 때의 증상은, 팔다리가 무겁고 싸늘하며 배가 아프고, 목구멍이 불편하며, 혹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면서 뜬뜬 하며 갈증이 나고, 허해서 땀이 계속 나며, 때로 미친소리를 한다. 그리고 손발톱과 얼굴빛이 검 푸러지고 6맥이 침 세 하면서 한번 숨쉴 동안에 7번씩 뛴다. 이 때는 빨리 기해. 관원 혈에 뜸을 각각 200-300장씩 떠야 하는데, 손발이 더워질 때까지 뜬 다음, 곧 퇴음산을 써야 한다.
* 배꼽에 찜질하는 방법도 좋다.
* 어떤 사람이 상한을 만나서, 팔다리가 싸늘하고 배꼽 노리가 툭툭 튀면서 아프고, 몸은 매를 맞은 것처럼 아팠다. 이것은 상한 음독이기 때문에, 급히 금액단을 먹였다. 그러자 맥이 곧 침하고 활 해 졌기 때문에, 비록 음증 증상은 있으나 양맥이 나타나므로 살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배꼽아래에 뜸 100장을 뜨니 곧 손발이 더워지고 양기가 회복되어 땀이 나면서 풀렸다.
정양산; 부자 초 40g. 건강 초. 감초 구 각10g. 조협1 꼬투리.
o 상한 음독 증을 치료한다.
* 이 약을 가루 내어 한번에 8g 씩 물1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 채로 따끈하게 하여 먹는다. 어떤 처방은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퇴음산; 천오두. 건강 각 등분.
o 상한 음독을 치료한다.
* 이 약을 빛이 변하도록 볶은 것을 가루 내어, 한번에 4g씩 소금을 조금 넣고,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배꼽에 찜질하는 방법
총백
o 음독이 중해져서 몸이 차고 맥이 짚이지 않으며, 숨결이 끓어지려고 하거나, 정 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짓찧어 직경이 2-3치 되게 떡 4-5개를 만든다. 그 다음 먼저 사향과 유황을 각 1g씩 섞어서 배꼽에 채워 넣고, 그 위에 파 떡을 놓는다. 다음 다리미질을 하는데, 만일 파떡이 익으면 갈아붙이면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의 기운이 배에 들어가면, 곧 손발이 따뜻해지면서 땀이 나고 곧 낫는다. 이때는 다시 사역탕을 먹여서 속을 덥혀야 한다. 만약 파 찜질을 한 다음에도 손발이 더 차지고, 손발톱의 밑의 살이 검어지면 죽는다.
상한 양독
상한 때 3양병이 심해지면 반드시 양독으로 변한다. 혹 잘못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거나, 혹 본래는 양증인데 성질이 더운약을 잘못 써서, 열독이 깊이 들어가게 되면, 미쳐 날 뛰고, 얼굴빛이 붉어지며, 눈에 피가 지고, 몸에 누런 반진이 생기거나, 피가 섞인 설사를 하며, 6맥이 홍 대 해 진다. 이것을 양독 발반이라고 한다. 삼황석고탕을 쓴다.
* 상한 때는 먼저 두 눈을 보아야 하는데, 벌겋거나 황적색이 나면 양독이다. 이 때는 6맥이 홍대하고, 힘이 있으면서 갈증이 나는데, 경하면 삼황석고탕을 쓰고, 중하면 대승기탕으로 설사 시킨다.
삼황석고탕
석고 12g |
황금 |
황연 |
황백 |
치자 각6g |
마황 4g |
약전국 반홉 |
|
|
|
o 양독으로 반진이 돋고, 몸이 누렇게 되며, 눈이 벌겋고, 미쳐서 달아나려 하고, 헛소리를 하며, 6맥이 홍대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생강 3쪽. 차를 조금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물 찜질 하는 법
양독으로 열이 몹시 나서 발광하는 것을 억누를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청포를 들인 천 5-6자를 여러 겹 접어서, 새로 길어온 물에 적시어, 앓는 사람의 가슴에 찜질한다. 더워지면 또 물에 담갔다가 다시 찜질하는데, 하루에 수 십 번씩 바꾸어 하는 것이 좋다.
* 또 한가지 방법은 녹두를 달인 물을 솥에 넣고 덥히는데, 약간 따뜻해지도록 덥힌 다음, 여기에 쪽 물을 들인 천을 여러 겹 접어서 적시어 가슴에 찜질하는 것이다. 식으면 다시 물에 담갔다가 찜질하는데, 하루에 수 십 번 한 다음, 이불을 덥고 땀을 내면 낫는다. 대체로 녹두와 쪽 물을 들인 천은 성질이 차기 때문에 열을 잘 내리게 한다.
음성격양 (陰盛隔陽)
상한 때 음성격양의 증상은, 몸은 차나 번조증이 나서 물에 들어앉고 싶어하며, 입술이 푸르고 얼굴이 검으며,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려고는 하나, 마시면 다시 토하고 검은 물 같은 것을 설사하며, 6맥이 침세 하면서 빠르거나 나타나지 않기도 하는 것이다. 음성격양은 몹시 허한 증상이다. 몸에 열이 있는데 맥은 세게 뛰지 않는 것과, 몸은 차지만 물 속에 들어앉고 싶어하며, 물로 양치 하려 고는 하나 넘기지 않는 것은, 진짜 열증 증상이 아니다. 이런 데는 회양반본탕을 쓴다.
양성거음 (陽盛拒陰)
상한 때 양성거음의 증상은 몸이 싸늘하고 맥이 활 삭한 것이다. 이것은 몹시 열한 증상이다. 맥이 삭 하면서도 몸이 도리어 차면 삼황거승탕을 써야한다.
회양반본탕
부자초 |
건강초 |
인삼 |
진피 |
맥문동 |
오미자 |
감초구 |
작설차 각4g |
|
|
o 음성격양을 치료한다.
* 이 약을 1첩으로 하여 누런 흙을 우린 웃물 2잔에 넣고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꿀5숟가락을 타서 식혀 먹고, 땀을 내면 효과가 있다. 얼굴이 벌거면 여기에 총백7대와 황연을 조금 넣어서 함께 달여 먹어야 한다.
삼황거승탕
석고12g |
황금 |
황연 |
황백 |
치자 |
대황 각6g |
망초 4g |
|
|
|
o 양독으로 몹시 발광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빨리 써야한다.
* 이 약을 생강1쪽. 대추 2개를 넣고 물에 달이는데, 거의 달여진 때에 황토 흙물 을 2숟가락 타서 먹는다.
음극사양(陰極似陽)
양사가 심하지 않으면, 궐역까지는 되지 않고, 음사가 심하지 않으면, 번조증까지는 되지 않는다. 수(水)가 극도에 달하면, 화(火)같아지고, 화가 극도에 달하면 수 같아진다는 것은 반대로 작용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하나가 지나치면 해가 된다는 뜻이다. 음증이 극도에 달하면, 화가 겉으로 나와서 요란스럽게 설치게 되는데, 그 증상은 양증 비슷하다. 그러나 이때는 번조 해 하면서도 이불을 당겨 덮고, 갈증이 심하게 나나, 물로 양치만 하고 마시지는 않는다. 이때의 맥은 반드시 침세 하면서 힘이 없다. 이것이 음극사 양증이다. 이런 데는 통맥사역탕을 쓴다.
양극사음(陽極似陰)
양증이 극도에 달하면, 열이 속으로 잠복되기 때문에 몸이 차고 팔다리가 싸늘한데, 이것은 음증 때와 비슷하다. 그렇지만 몸이 차면서도 이불을 더 덮으려 하지 않고, 정신은 혼미하나, 얼굴에는 윤기가 있고, 맥이 침활 하면서 힘이 있다. 이것은 양극사 음이다. 이런 데는 대시호탕을 쓴다. 음양이 뒤섞인 증상이 나타날 때는 반드시 종치 법을 써야한다. 종치 법이라는 것은 반치 법을 말하는 것이다. 즉 성질이 더운약은 식혀 먹이고, 성질이 찬 약은 뜨겁게 해서 먹이는 것, 혹은 성질이 더운약을 군약으로 하고 성질이 서늘한 약을 좌약으로 하거나, 혹은 성질이 찬 약을 군약으로하고 성질이 더운약을 좌약으로 해서 치료하는 것을 말한다.
통맥사역탕
부자 10g |
건강 6g |
감초 4g |
|
|
o 소음 병으로 설사가 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미하면서 끊어질 것 같거나, 맥이 뛰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이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얼굴빛이 붉을 때는 총백 3대를 넣어 서 달여 먹는다.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하는 것(惡寒. 惡熱. 往來寒熱)
상한 때 사기가 표에 들어온 것을 한사라고 하는데, 한사가 양기와 싸울 때는 추워한다. 사기가 이에 들어온 것을 열사라 하는데, 열사가 음기와 싸울 때는 열이 난다. 사기가 반표 반리에 있으면, 표(表)에서는 양기와 싸워서 오한이 나고, 이(裏)에서는 음기와 싸워서 열이 나기 때문에, 오한과 신열이 오락가락한다. 이때는 소시호탕으로 화해 시켜야 한다. 병으로 열이 나고 오한이 나는 것은, 양에서 생긴 증상이고, 열은 없고 오한만 나는 것은, 음에서 생긴 증상이다. 양에서 생긴 증상은 7일이 되면 낫고, 음에서 생긴 증상은 6일이 되면 낫는다. 그것은 양의 수는 7이고, 음의 수는 6이기 때문이다. 양이 적으면 오한이 나고, 음이 적으면 열이 난다. 오한이 심하면 쉽게 낫고, 열이 심하면 낫기 어렵다. 땀을 낸 다음 병이 낫지 않고, 도리어 오한이 나는 것은 허한 것이다. 이런 때는 작약감초탕을 쓴다. 오풍(惡風)이라는 것은 바람을 싫어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것은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 방에 있으면 안정되어 평온해져서 자연히 없어진다. 오한(惡寒)이라는 것은, 바람이 없어도 절로 추워하고, 비록 몸에 열이 몹시 나도, 옷을 벗으려 하지 않는 것이다.
{활인}에는 오한이라는 것은 바람을 맞지 않았어도, 스스로 찬 것을 싫어하는 것이고, 오풍이라는 것은 바람을 맞아야 찬 것을 싫어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환자가 맥이 미 하면서 삽 한 것은 망혈증인데, 이때는 오한이 나다가 열이 계속 난다. 몹시 더운 여름에는 겹옷을 입으려 하고, 추운 겨울에는 겹옷을 벗으려고 한다. 이러한 것은 양이 미약해서 오한이 나고, 음이 미약해서 열이 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의사는, 땀을 지나치게 내서 양기가 약해지거나, 몹시 설사시켜서 음기가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름에는 양기가 표에 있기 때문에, 위(胃) 속이 허하고 차다. 이때는 속에 양기가 부족해서 찬 기운을 이기지 못하기 때문에 겹옷을 입으려 하고, 겨울에는 양기가 이에 있기 때문에 위장 속에서 번열이 난다. 이때는 속에 음기가 부족하여 열을 이기지 못하기 때문에 겹옷을 벗어버리려고 한다. 상한 때 비록 이증이 다 있다 하더라도 약간의 오한이 나는 것은, 표에 사기가 다 없어지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 표사를 풀고 다음에 이증을 다스려야 한다. 열이 나고 오한이 나는 것이 상한과 비슷한 것은 5가지이다.
1, 맥이 부하면서 긴하고, 열이 나며 오한이 나는 것은 상한이다.
2, 맥이 부하면서 삭하고, 열이 나며 오한이 나고, 혹 일정하게 아픈 곳이 있는 것은 옹저가 생기려는 것이다.
3, 맥이 부하면서 삽하고, 열이 나며 오한이 나면서 혹 가슴이 그득하고, 토하는 것은 음식에 상한 것이다.
4, 맥이 부하면서 활하고, 열이 나며 오한이 나면서 혹 어지럽고 토하는 것은 풍 담이다.
5, 맥이 부하면서 현하고, 열이 나며 오한이 나면서 혹 음식을 먹으려 하는 것은 학질이 되려는 것이다.
상한 때에는 얼굴. 눈. 혀의 빛깔을 보아야 한다
소음 병 때 설사하고, 맥이 침 하면서 지하고, 얼굴이 약간 벌건 것은, 반드시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다가 땀이 나면서 풀린다. 그것은 얼굴에 양기가 떠오르고, 하초가 허하기 때문이다.
* 태양 병 때 땀을 잘 내지 못하여 얼굴색이 연하게 빨간 것은, 양기가 표에 몰려 있기 때문이므로 반드시 발산시켜야 한다.
* 얼굴에 대양증이 나타난다는 것은, 얼굴빛이 비록 붉으나 생기 있게 붉지는 못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하초가 허하기 때문이다. 또한 음이 성한 사람은 얼굴이 붉으면서 검은 빛을 띠며, 양이 성한 사람은 얼굴이 붉으면서 윤기가 있다고 하였다.
* 상한 음증 때는 머리도 아프지 않고, 몸에 열도 나지도 않지만 안타깝게 답답해하고, 얼굴빛이 붉으며 물을 마시지 못한다. 이것은 기가 허약하기 때문이다. 근거 없이 허 화가 위로 떠오르는 것을 대양증이라고 하는데, 이 때는 도씨익원탕을 쓴다.
* 나으려고 하는 병은 눈초리가 누렇게 되고, 눈두덩이 꺼져 들어가는 것은 죽으 려는 것이다.
* 상한 6-7일에 맥이 고르고 답답증이 심하며, 눈이 텁텁하면서 눈두덩이 다 누 렇게 되는 것은 병이 나으려는 것이다.
* 상한 때 눈이 벌거면 양독 이고, 눈이 누러면 황달이다.
* 상한 과 열병 때 눈을 잘 보지 못한 것은, 신수가 이미 말라 들어서 사물이 잘 비쳐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병이 심하게 된 것인데, 이 때는 빨리 육일순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 열병이 신에 있어서 갈증이 나고, 혀가 마르면서 누렇고 벌겋게 되며, 물을 계 속 마시고 눈에 광채가 없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
* 혀에 백태가 낀 것은 사기가 부에 들어가지 않고, 반표 반리에 있는 것이다. 이 때는 소시호탕으로 화해시켜야 한다.
* 혀에 누런 설태가 낀 것은, 열이 벌써 위에 들어간 것이다. 이 때는 조위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 혀에 검은 설태가 끼고 혹 혓바늘이 돋는 것은, 신수가 심화를 억제하지 못한 것이다. 이때는 빨리 대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이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치료하는 방법은 우물물에 쪽 물을 들인 천을 담갔다가, 그것으로 혀를 깨끗하게 씻어낸 다음, 생강조각을 물에 담갔다가, 그것으로 혀를 수시로 문지르면 검은 설태가 벗어진다.
도씨익원탕
감초구 8g |
부자초 |
건강초 |
인삼 각4g |
오미자 20개 |
맥문동 |
황연 |
지모 각3g |
애엽 1g |
|
o 상한대양증을 치료한다.
* 이 약을 생강 5쪽 . 대추 2개. 총백 3대를 넣고 물에 달여 동변 3숟갈을 넣고 식혀서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