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박물관대학에서 경주답사여행 중 영천휴게소의 풍경(화장실의 별자리관찰)1

청산식당에서 맛있는 비빔밥을 먹은 후에2

경주 利見臺(사적159호)3
신라 신문왕의 혼이 깃든 대왕암을 바라보는 언덕위에 자리잡은 정자이다.삼국유사 기록에 의하면 신문왕은
616년 즉위하여 호국용이 된 부왕 문무왕을 위하여 감은사를 창건하고 용이 된 아버지가 다닐 수 있게 법당
밑에 동해를 향하여 구멍을 하나 뚫어두었다고 한다.
다음해 감은사 앞바다에 작은산이 떠내려오자 신문왕이 이견대로 행차하여 그 산을 바라보았으며 며칠 뒤에
신문왕이 그 산으로 들어가 용을 만나 검은 옥대를 받았다.또한 산위에 있던 대나무를 배도록 하였는데 그 대
나무로 만든 피리가 바로 세상을 구하고 평화롭게 한다는 만파식적으로 그 후 나라의 보물로 삼았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이견대라는 명칭을 중국의 주역에 있는 글귀인 飛龍在天 利見大人에서 빌려온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이는 신문왕이 바다에 나타난 용을 보고 나서 나라에 크게 이익이 있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정자는 1979년에 신라건축양식을 추정하여 세웠다고 한다.

이견대(현판)4

이견대에서 바라본 문무대왕 수중릉5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112호)(경주 양북 용당리)6
感恩寺는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뒤 왜구의 침략을 막고자 이곳에 절을 짓기 시작하여 682년 신문왕2년
완공한 절이다.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동해의 대왕암에 장사를 지낸
뒤 용이 된 부왕이 드나들 수 있도록 금당밑을 특이한 구조로 된 공간을 만들었다.
금당앞에 동서로 서있는 삼층석탑은 높이가 13.4m로 장대하며 제작연대도 확실하다.이중 기단위에 몸체돌을
세우고 처마밑은 층단을 이루었으며 지붕위는 곡면을 이루어 우리나라 전형적인 석탑의 형식을 이룬다.
59년에서 60년에 서탑을 96년에 동탑을 해체 복원하였다.서탑.동탑에서 금동제 사리함과 사리가 들어있는 사리
병 등이 발견되어 사리장구연구에 열쇠가 되고 있다.

감은사지 가람 배치도7
1중문터.2동탑.3서탑.4금당터.5회랑터.6강당터로 구분되어 있다.

감은사지 동탑8

감은사지 서탑9

서탑과 금당터10

열심히 공부하는 박물관대학생11

감은사지 금당터12

감은사지 강당터13

감은사지 회랑터14

감은사지 중문터15

감은사지 동.서탑을 본 후에 잘 만들어진 데크를 내려오고 있다16

경주 시티투어(사인보드)17
동해안코스-골굴사-경주전통명주전시관-감은사지-양남주상절리-문무대왕릉-한수원 홍보관
세계문화유산코스-태종무열왕릉-대릉원(천마총)-분황사-석굴암-불국사
테마파크코스-경주민속공예관(신라역사과학관)-동궁원(동절기).경주산림환경연구원(하절기)
-통일전-황룡사역사문화관
양동마을.남산코스-양동마을-전통시장-삼릉가는길(포석정.삼불사.삼릉.석조여래좌상.경애왕릉)
야간시티투어-동궁과월지(안압지)-첨성대-계림.교촌마을-월정교

이야기가 있는 경주여행(사인보드)18
文武王과 萬波息笛
신라30대 문무왕은 태종무열왕의 장자이며 이름은 법민이다.재위21년동안 많은 일을 했으며
당과 연합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고 후에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어 삼국을 통일하게 만들었다.
문무왕은 평소에 말하기를 내가 죽은 후에는 동해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고 했는데 사람
들은 문무왕이 죽자 그 유언에 따라 동해바다의 큰 바위에 장사를 지내고 가까운 곳에 감은사를
세워 명복을 빌었다.
만파식적은 31대 신문왕 때 있었던 대나무로 만든 피리로 죽어서 용이된 문무왕과 하늘의 신이
된 김유신이 나라의 평안을 위해 신문왕에게 보내준 선물이라고 생각된다.어진왕은 소리로서
나라를 다스릴 것이니 대나무를 베어 피리를 만들어 불면 비를 내리기도하고 멈추기도 할 것이
며 적군을 물리치고 나라를 태평하게 만들 것이다.신문왕은 용의 말에 따라 대나무를 잘라 피리
를 만들어 만파식적이라고 이름을 짓고 소중히 보관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하였다.그후 만파식적
은 32대 효소왕 때 잃어버린 적이 있었는데 백율사의 관세음보살의 도움으로 다시 찾게 되었다
는 이야기도 있다.
處容傳說
신라49대 헌강왕이 어느날 개운포(현재 울산)로 가서 물가에 쉬고 있는데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몰려와 길을 잃게 되었다.이것은 필시 동해의 용이 조화를 부리는 것이온데 용을 위해 절을 짓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라고 신하가 이야기를 했다.동해의 용이 기뻐하며 자신의 일곱아들 중 처용을
왕에게 보냈다.처용을 데려와서 벼슬도 주고 아름다운 여자와 결혼도 시켜주었다.그러나 처용은
벼슬과 아내에게는 관심도 없었다.난 서라벌의 밤 나들이가 더 좋다네...호시탐탐 지켜보던 역신
이 어느날 처용의 아내와 잠을 자려했는데 집에 돌아온 처용은 이것을 보고 크게 놀랐다.처용은
역신을 혼내주는대신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 그후 사람들은 처용의 얼굴을 그려 문앞에 붙
여 귀신을 물리치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처용의 너그러움에 역신도 감탄하고 말았다.이제는
당신의 얼굴만 보아도 멀리 도망치겠습니다 리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경주 원성왕릉(사26호)19
이 능은 신라 제38대 원성왕(재위785-798년)을 모신 곳으로 울산 방향으로 12km 떨어진 곳에 있다.
밑둘레69m.지름22m.높이 약7.4m로 능의 호석에는 십이지신상이 돋을새김으로 되어있고 주위로
돌난간이 에워싸고 있다.또한 화표석.문인석.무인석과 돌사자를 좌우로 마주보게 세웠으며 특히 무
인석은 서역인의 얼굴을 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신라의 능묘중 완벽하게 갖추어져 있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원래 이곳에는 鵠寺(곡사)라는 절이 있었으나 현재의 崇福寺터로 옮기고 그 자리에 왕
릉을 만들었다.별칭으로 掛陵(괘릉)이라 부르는 이유는 무덤의 구덩이를 팔 때 물이 괴어 널을 걸어
묻었다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왕은 독서삼품과라는 것을 두어 인재를 뽑았으며 벽골제를 고
치기도 하였다.

원성왕릉 입구의 화표석(망주.석주)한쌍20

원성왕릉을 지키는 서역인을 닮은 무인석21
원성왕릉의 석상 및 석주일괄(보1427호)
원성왕릉 입구에는 남쪽으로부터 화표석.무인석.문인석 각각1쌍과 돌사자 4마리가
일정한 간격으로 놓여있다. 이 중 무인석은 박진감이 넘치며 그 얼굴에 서역인의 특
징이 고스란히 담겨있어 통일신라가 서역과도 활발한 물물교류를 하였음을 보여준
다.이 석조물들은 8세기말 신라인의 사실적이며 예술적인 감각을 아주 잘 보여주는
걸작이다.

원성왕릉을 지키는 문인석22

원성왕릉을 지키는 돌사자23

원성왕릉을 지키는 돌사자24

원성왕릉의 십이지신상25

원성왕릉의 십이지신상26

원성왕릉(제단.호석.문무석.원성왕릉 원경)26
(2018.05.23)
첫댓글 여행매니아 님. 문무대왕 수중릉 과 감은사지를 비릇한 경주 유적들을 잘 감상 하였습니다. 기해년 새해를 맞아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그리고 즐거운 여행도 많이 다니세요. 여행은 우리 삶에 항상 설레임과 활력을 주는것 같습니다.
비봉님!! 감사합니다.
己亥年에도 健康하시고 幸福
하십시요~~늘 여행은 우리의
마음을 기분좋게 하지요😅🌍
대구박물관에서도 교육을 받고 답사 여행을 다녔던 모양이구나. 가는 곳마다 세세한하게 빠뜨리지 않고 잘 담아오는 정성은 놀랍도다.
요즈음은 인문학 강의와 여러 일이 많아서 카페를 정리할 시간이 많이 부족하구나~이제
천천히 할 생각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