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8 ○ 논어(論語) 1 신축년(1781)에 이시수(李時秀), 홍이건(洪履健), 이익운(李益運), 이종섭(李宗燮), 이현묵(李顯默), 박종정(朴宗正), 서용보(徐龍輔), 김재찬(金載瓚), 이조승(李祖承), 이석하(李錫夏), 홍인호(洪仁浩), 조윤대(曺允大), 이노춘(李魯春) 등의 대답을 뽑았다
위령공(衛靈公)
같은 일관(一貫)인데, 주자(朱子)가, 증자(曾子)에게 고해 준 것에서는 행(行)에다 소속시키고 자공(子貢)에게 고해 준 것에서는 지(知)에다 소속시킨 것은 어째서인가? 어떤 이가 말하기를 “저것은 도(道)로써 말한 것이기 때문에 행(行)이 되는 것이고 이것은 학(學)으로써 말한 것이기 때문에 지(知)가 되는 것이다.”고 하였는데, 도에서 어찌 지를 말할 수 없으며 학에서 또한 어찌 행을 말할 수 없겠는가.
[서용보가 대답하였다.]
증자는 진적력구(眞積力久)이니 행(行)의 일관(一貫)으로 고해 준 것이 마땅하고 자공은 문일지십(聞一知十)이니 지(知)의 일관으로 고해 준 것이 마땅합니다. 그리고 본장(本章)의 말씀으로 보건대, 충서(忠恕)가 행(行)에 속하고 다식(多識)이 지(知)에 속하는 것은 도(道) 자, 학(學) 자와 같을 뿐만이 아닙니다.
위는 위령공편(衛靈公篇)이다.
[衛靈公]
同一一貫。而朱子於告曾子者。則屬之於行。於告子貢者。則屬之於知。何也。或云。彼以道言。故爲行。此以 學言。故爲知。道上豈不可言知。學上亦不可言行耶。龍輔對。曾子眞積力久。則當告以行之一貫。子貢聞一知十。則當告以知之一貫。而且以本章所訓觀之。忠恕之屬於行。多識之屬於知。不但如道字學字而已也。衛靈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