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 라면이야기
라면의 왕국, 일본
일본과 라멘 그리고 우동
면요리를 이야기 할 때 빠질 수 없는 나라가 일본입니다.일본의 우동과 라멘은 세계적인 관광컨텐츠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일본 면 요리는 지역적인 특성이 뚜렷한데 메밀국수는 관동, 우동은 관서 지방에서 발달되었습니다. 국물 또한 차이가 있는데 관동 지방은 진한 색의 간장을 쓰고 향이 진한 가다랑어포나 멸치포, 고등어포 등으로 국물을 내기 때문에 색이나 맛이 진하고, 관서 지방은 옅은 색의 간장을 쓰고 다시마를 기본으로 국물을 내기 때문에 색이 연하고 깔끔합니다.
일본의 우동
우동은 우동에 넣는 건지에 따라 이름이 달라집니다. 가케우통은 삶은 우동에 장국을 붓고 파와 고춧가루만 뿌려서 먹는 간단한 우동이며 간장에 조린 유부를 넣은 것은 여우(기츠네)우동, 튀김 할 때 생기는 자잘한 건지(아게다마)를 넣은 것은 너구리(다누키)우동, 새우튀김을 얹은 것은 튀김(덴뿌라)우동, 장국에 녹말을 풀어 걸죽하게 만든 것은 앙가케우동, 우동과 닭고기, 어묵, 채소, 달걀 등을 한데 넣고 끓인 것은 냄비(니베야키)우동입니다. 삶은 우동을 장국에 찍어먹는 것은 나베아게우동이라 하고, 이를 식혀서 채반에 담은 것을 사라우동이라고 합니다.
일본 사람들은 매운 것을 즐겨먹지 않지만 우동을 먹을 때는 시치미를 뿌려 먹는데 시치미는 고춧가루에 산초, 진피(귤 껍질을 말려 가루 낸 것), 마 씨, 양구비 씨, 참깨, 파래 등을 섞은 양념으로 국물 맛을 더욱 맛있게 해줍니다.
일본의 메밀국수
관동 지방에서 더욱 발달한 메밀국수는 여름철 삶은 면을 채반에 담아 차가운 장국에 담갔다 먹는 것을 즐깁니다. ‘소바’란 원래 메밀을 가리키는 말인데, 그 가루로 만든 국수도 소바라 합니다. 혼히 보는 채반에 담은 메밀국수는 ‘자루소바’라 하고 뜨거운 장국에 만 것은 ‘시루소바’라 합니다. 소바도 우동처럼 가케소바, 기츠네소바, 덴뿌라소바, 다누키소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먹습니다.
일본의 라멘
일본에서는 하카다, 삿포로, 키타카타 이 세 지방의 전통 라면을 일본 3대 라면으로 꼽고 있습니다.
삿포로식 미소(된장)라면
삿포로 특유의 추운 날씨탓에 음식이 짜고 메운 맛을 띠고 있어서 라면 역시 그러한 맛을 지니고 있습니다.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라면 인기투표에서 하카다 라면과 항상 1, 2회를 다툰다고 할 정도로 팬층이 두텁다고 합니다. 정통 삿포로라면은 파나 양배추 등의 잘게 썬 야채를 얹어 마무리합니다.
하카다 라면
돼지벼를 푹 고아 만든 국물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기 때문에 돈코츠 라면이라고 하는데 한국인들에겐 굉장히 느끼하게 느껴져서 쉽사리 먹기가 힘들다고 하지만 한번 맛을 들이면 그 진한 국물 맛을 한시도 못 잊게 된다고 합니다. 때파를 잘게 썰어 푸짐하게얹고 김도 고명으로 올려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키타가타 소유(간장) 라면
간장 특유의 깔끔하고 산뜻한 맛으로 한국인들도 처음부터 거부감 없이 먹기가 어렵지 않은 키타가타 라면은 돼지뼈와 해산물, 야채 등으로 육수를 내서 간장으로 양념한 국물을 좋은 물과 밀가루를 사용해 얇게 반죽한 면에 부어 내 줍니다. 고명은 보통 기기와 야채를 올려 줍니다.
쌀국수의 본고장 동남아시아
베트남을 찾는 사람들이 누구나 한 번쯤 맛을 보게 되는 음식이 쌀국수 포(Pho)일 것입니다. 포는 베트남 어느 곳에서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팔고 있으며 베트남 국민들은 주로 아침식사로 쌀국수를 즐깁니다. 베트남 쌀국수는 커다란 대접에 쌀국수를 담고 샬롯, 파슬리, 생숙주, 계피 등을 얹고 그 위에 다시 얇게 썬 쇠고기나 닭고기 등을 얹습니다. 그런 다음 고기 뼈를 곤 육수를 붓고 참새우, 생강, 느억맘(생선 젓갈)을 넣습니다. 먹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칠리소스나 레몬을 곁들여 먹기도 합니다. 이는 베트남 남부의 전통적인 방법이고 북부에서는 숙주나 계피를 넣지 않고 육수도 담백합니다.
쌀국수를 이야기 할 때 빠뜨릴 수 없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이웃나라 태국입니다. 태국은 세계 최고의 쌀 생산국으로 쌀을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발달되었습니다. 주식으로는 몇 가지 반찬을 곁들인 밥을 주로 먹고 이와 함께 국수도 즐겨 먹습니다. 국수로는 쌀가루로 만든 국수인 쿠이티오, 셈미, 카놈친과 밀가루, 달걀로 만든 바미(중화면)가 있습니다.
태국 쌀국수와 베트남 쌀국수의 차이는 그 맛에 있습니다. 같은 쌀국수라도 태국의 쌀국수는 국물맛이 더 진하고 양념이 강합니다. 바로 이것이 태국 요리의 특색으로 태국은 고유의 음식문화에 중국, 인도, 유럽의 음식문화 요소가 융합되어 음식에서 각종의 향신료를 사용합니다. 마늘, 고추는 물론 생선으로 만든 장유인 남플라, 새우를 발효시켜서 만든 카피, 고수, 라임, 코코넛 밀트 등을 향신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베트남도 장류를 많이 쓰고 태국과 비슷한 향신료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베트남 음식은 소박한 맛을 냅니다. 이에 비해 태국 음식은 맵고 시고 달고 향이 강하여 자극적이고 화려한 맛을 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도 태국과 베트남의 쌀국수가 인기를 끌며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비록 본토의 맛과는 달리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음식들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동남아시아의 음식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고 하겠습니다.
이탈리아의 파스타
파스타란 무엇인가?
파스타는 밀가루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든 이태리 음식을 총칭합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파스타 종류로는 스파게티나 라지냐, 펜네, 파팔레가 있습니다. 파스타 형태나 들어간 재료에 따라서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특히 이태리에는 파스타를 디자인하는 전문 디자이너까지 있어서 파스타의 모양, 파스타에 소스가 묻는 정도, 입안에서의 감촉, 파스타와 소스의 어울림 정도를 고려해서 매년 수많은 파스타가 디자인 된다고 합니다. 파스타의 주재료는 듀럼이라는 딱딱한 밀에서 나온 세몰리나라는 밀가루입니다. 세몰리나는 입자가 거칠고 딱딱해서 천천히 소화, 흡수되고 칼로기가 적어 다이어트 음식으로 좋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로 스파케티와 같이 긴 국수 종류를 많이 먹지만 이태리에서는 짧은 파스타(숏파스타)를 많이 먹습니다. 파스타틑 크게 그 길이와 모양으로 롱(Long)파스타, 숏(Shot)파스타로 나눌 수 있는데 롱파스타는 스파케티, 스파게티니, 링귀니, 탈ㄹ아텔레, 라자냐 등이 있고 숏파스타로는 펜네, 로텔레, 푸질리, 마카로니, 파르팔레 등이 있습니다.
파스타의 시작은 파스타가 언제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파스타의 역사가 아주 오래되었다는 것입니다. 이탈리아인들은 이미 기원전 4세기에 파스타를 만들어 먹기 시작하여 역사와 함께 발전하여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대 로마인들은 물과 밀가루로 만든 간단한 반죽으로 라가네(lagane)라고 불리는 라자냐와 비슷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는데, 이 시대의 유명한 미식가인 아피시우스(Apicius)가 자신의 요리책에서 이 요리에 대해 언급한 바 있습니다.
또한 1세기에 마르티노 코르노(Maritno CoMo)가 쓴 “De arte Coqunaria per vermicelli e maccaroni siciliani(시칠리아식 마카로니와 베르미첼리 요리)”라는 책에는 최초로 파스타의 조리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파스타가 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이를 부정하는 의견도 많지만 밀이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온 고대작물인 만큼, 인류가 농사를 시작하여 정착생활을 하게 되면서 처음에는 그대로 먹던 밀을 소화되기 쉬운 형태로 갈아 반죽해 먹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파스타가 어느 한 곳에서 발명되어 다른 곳으로 전해졌다기 보다는 밀을 재배했던 지역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파스타를 만들어 먹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의 면요리
우리나라 면요리의 경우 통일신라 시대까지는 문헌 상에 보이지 않다가 송과 교류했던 고려시대에 송나라 사신의 여행기인 ‘고려도경(高麗圖經 1123년)에서 면이라 말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한 대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밀에서 얻은 밀가루를 면이라 하였으며, 이것으로 만든 제품을 통털어 병(?)이라 하여 널리 전파되게 되었습니다. 병이 면으로 호칭이 바뀐 것은 진대(晋代)에 수인병(水引병)을 손으로 눌러서 새끼처럼 길게 이어 짓도록 하는 것이라 하면서 색병(索병)을 색면(索麵)이라 칭하여 비롯되었습니다. 그 이후 밀가루로 만든 식품을 면이라는 명칭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메밀국수나 밀국수는 생일⋅혼례 등 경사스러운 날의 특별 음식이 되었는데, 이것은 국수의 길게 이어진 모양과 관련하여 생일에는 수명이 길기를 기원하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한국의 인스턴트라면은?
한국에서는 1963년 일본 메이세이식품(明星食品)의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된 삼양라면이 그해 9월 15일 최초로 시판을 했고, 당시 식량사정이 안 좋았던 시대적 배경으로 정부가 혼분식장려정책을 펼치면서 라면은 큰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됩니다. 그 인기와 판매에 힘을 얻어 1970년대에 들어서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 제품이 나왔습니다.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용기에 직접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 컵라면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었으며 짜장라면, 냉면, 칼국수 등 다양한 종류의 인스턴트 라면은 식사대용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습니다.
일본의 라면, 세계적인 관광상품이 되다
일본은 라면에 대한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유일한 라면 박물관을 만들었다. 일본의 라면 박물관은 요코하마라면 박물관, 닛신라면 박물관이 대표적인 곳으로 꼽힙니다. 라면 박물관에서는 라면의 역사와 제조 과정을 보여 주고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상점을 마련해 놓았습니다. 또한 각 지역과 맛의 특성을 살린 상점가를 조성하여 손님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라면 박물관의 내부는 지금까지 생산된 라면의 종류가 전부 진열되어 있고, 기계로 만드는 라면 제조 과정과 손으로 만드는 작업과정에 도구도 보여 주는 전시장이 1층과 2층에 있습니다. 라면도 맛보고, 라면에 대한 자료와 역사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하나의 테마파크가 조성되어 있는 것입니다.특히 라면 가게마다 준비된 적은 양의 시식용 라면은 전국 각지의 라면을 맛볼 수 있는 인기있는 메뉴입니다.
원래 요코하마 라면 박물관은 개인 소유지였지만 토지를 유용하게 활용하고 싶어 하는 소유자가 기획사의 도움을 받아 테마파크 형태로 개발하게 된 것입니다. 이곳은 샐러리맨과 젊은이들이 많이 오가는 지역이어서 연간 100만명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라면 테마파크의 경우 1인당 소비액은 1,000~1,200엔 정도에 불과하지만 계절이나 요일, 날씨에 관계없이 고객을 모을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버블붕괴 이후 경기침체가 지속도면서 현금흐름을 중요시하는 시대인 만큼 테마파크는 비교적 적은 자본으로도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신종 비즈니스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선구자인 신요코하마 라면박물관의 브랜드사업부 담당 나카노씨는 “초기투자 35억엔을 9년에 걸쳐 회수했으며 최근에는 초기설비를 5억엔 정도로 낮춰 효율이 높은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내고 있다.”고 말합니다. 이처럼 단순한 음식이 하나의 관광상품으로 성장한 일본 라면 박물관은 세계적으로도 성공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일본 못지않게 다양하고 세계적인 음식문화와 면요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궁중음식을 소재로한 드라마 대장금이 아시아에서 큰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의 표현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WORLD NOODLE FESTIVAL 2007은 한국의 면을 세계화시키고 새로운 관광 컨텐츠로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합니다.
면의 역사
우리가 먹는 면요리들,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을까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는 음식중의 하나가 바로 면요리 입니다. 다양한 요리방법과 재료를 활용한 면 요리는 이제 끼니를 때우는 음식이 아닌 하나의 요리로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면 요리는 BC 6000~BC 5000년경 아시아 지방에서 처음으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면 요리의 원조는 요리의 천국, 바로 중국입니다. 6세기 전반에 쓰여진 ‘제민요술(齊民要術)’이란 중국의 농서를 보면 이미 면을 만드는 요령이나 제법 등 면에 대한 기록이 상세히 나와 있어 세계 면 요리의 기원이 중국이라는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이 책에 따르면 끓는 물에 재료를 넣고 재료와 함께 긇여내는 밀가루 음식인 ‘탕핑(湯餠)’ 이라는 요리가 오늘날 면 요리의 기원이라고 합니다. 초기 중국의 면은 우리가 요즘 알고 있는 그런 면의 모양이 아니라 우리의 수제비와 같은 형태의 반죽된 밀가루를 손으로 떼어서 끓여먹는 것이 그 최초의 모양새인데 오늘날 중국에도 그런 면류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중국 면의 발명은 밀의 재배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밀은 기원 전 7천년 경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그 때부터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던 작물로서 바로 이 밀의 재배 기술과 밀을 가루로 만드는 기술이 실크로드를 따라 함께 중국에 전해짐으로써 새로운 식 문화인 ‘면’이 생겨났습니다. 중국은 시작으로 전파된 면요리는 오늘날의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사랑 받고 있는데요, 특히 원조국인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 베트남에서 많이 먹고 있습니다.
면을 조리하는 방법, 재료 먹는 습관까지 각 나라의 특색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쌀 수확이 많은 동남아시아에서는 쌀을 이용한 국수를 즐겨 먹으며, 몽고 사람들은 보통 손으로 식사를 하지만 국수를 먹을 때 만은 젓가락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면 요리의 원조 중국
중국 면요리의 중심, 대동시
세계 면 요리는 중국에 있으며 중국의 면요리는 산서성에 있고 산서성 면요리의 원조는 바로 대동시입니다. 대동시는 유명한 관광코스와 더불어 미식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도시입니다.대동시에는 칼국수를 비롯하여 라면, 당기면, 한오리면, 뽑는면, 발라낸 면, 얇은면 등 뛰어난 기교로 만든 다양한 면요리가 있습니다.
‘산서에 와서 대동시에 면요리를 맛보지 않는다면 산서에 오지 않은 것과도 같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산서성, 그 중에도 산서성의 면 요리는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서성의 면 요리가 발달한 이유는 그 척박한 지형적인 이유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남부지방과 달리 척박한 지형 북서부 지방은 예로부터 메밀을 많이 재배했고 당연히 메밀을 사용한 면 요리가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메밀은 다이어트 음식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혈압과 혈당을 낮추는 건강음식ㅇ로 현대인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최상의 명성을 간직한 도삭면(刀削面)
도삭면(刀削面)은 산서성의 면 음식중에서도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이 큰 먹거리입니다. 칼로 면을 잘라내는 기술이 절묘하여 사람들이 도삭면이라고 부르는데, 칼로 자른 면의 잘린 모습이 버드나무 잎과 비슷하여 면엽(麵葉)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도삭면은 북경의 타로면, 산동의 이부면, 하남의 어배면, 사천의 딴딴면과 더불어 중국 오대 면 음식으로 불리우며 세계적인 면요리로 명성을 얻고 있다. 도삭면의 특징은 바깥은 미끄럽지만 안은 끈기가 있고, 부드러우나 달라붙지 않고, 씹으면 씹을수록 향이 느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면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들로부터 환영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도삭면은 면에 대해서 매우 엄격한 기술을 요구합니다. 물과 면의 비율이 정확해야 하며, 면의 반죽 또한 중요하여 면을 제대로 반죽하지 않으면 칼로 자를 때 쉽게 칼에 면이 묻게 되고, 면발이 잘리게 된다. 일정한 속도로 일정한 모양을 만들어 내야하는 도삭면, 뛰어난 맛과 더불어 화려한 기술과 볼거리로 사람들을 사로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