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산에서 큰도로를 따라 내려오다 보면 왼쪽에 태을암이란 조그마한 암자가 있다.
그 암자 안쪽에 국보가 하나 있는데 그 정식명칭이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이다.
이 불상은 우리나라 마애불상의 초기 예로 부채꼴 바위 면에 사각형 감실을 마련하여 중앙에 보살상을 두고
좌우에 불상을 배치해 놓음으로써, 1구의 불상과 2구의 보살상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삼존불상과 달리
2구의 불입상과 1구의 보살입상이 한 조를 이루는 특이한 삼존불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2구의 불입상은 양감 풍부한 얼굴에 크게 번지는 미소, 넓게 벌어진 당당한 어깨와 장대한 체구, U자형 주름과
y형 내의가 보이는 착의법, 도톰한 듯 날카로운 대좌의 연꽃무늬 등 세부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좌우 두 불상 사이에 끼여 있는 듯 뒤로 물러나 작게 새겨진 보살입상은 높은 관에 아무런 무늬도 나타나 보이지
않지만 본래는 장식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타원형으로 길고 통통한 얼굴은 잔잔한 미소를 머금어 원만상이다.
어깨를 덮어 내린 천의는 길게 내려와 무릎 부분에서 X자형으로 교차하며 묵중하게 처리되었으며 배 앞에 모은 두
손은 오른손을 위로 하여 보주를 감싸 쥔 이른바 봉보주인(捧寶珠印)을 나타내고 있다.
불신의 하반부가 노출되어 백제시대의 연화대좌가 확인됨으로써 그 도상적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다.
중국과의 교류상 요충지에 자리함으로써 6세기 중반 경 중국 북제양식 불상과의 영향 관계 파악에 매우 중요한 작품
이며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에 선행하는 조형양식을 지닌 백제 최고(最古)의 마애불상이란 점에서 국보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
태안마애삼존불
태안마애삼존불의 영향을 받은것으로 추정되는 서산마애삼존불. 좀더 세련돼 보인다.
차 서너대를 주차할수 있는 공간이 있고 이 안내판이 있다.
태을암 대웅전
대웅전에서 불상으로 올라 가는길
한번 웃는계곡 이라는 일소계
태을동천
감모대
태을동천이 새겨진 석벽위 암반
암반위에는 바둑판이 새겨져 있다.
마애삼존불이 모셔져 있는 건물. 전에는 없던 건물이다.
태을암 삼성각
불두화가 제철이다.
약수터
요사채
태을암 입구
우단국화
자주달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