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자존감 높이는 대화법
1. 부모와 따뜻한 대화가 자녀의 자존감을 높인다!
지녀와 원활한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는 자녀의 감정을 부정하지 말고 받아
들여야 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의 감정을 제대로 받아주지 못하고, 자녀와 대화가 아닌 언쟁을 벌이지요. 자녀의 감정을 무시한 채 무조건 부모의 느낌을 받아들이라고 강요할 때 부모와 자녀 사이에 적대감만 쌓인답니다. 자녀의 말을 집중해서 진지하게 들어주고 공감해주기만 해도 자녀는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나간다는 것을 기억
하세요
2. 자녀의 문제 행동이 자존감을 낮추고, 낮은 자존감이 문제 행동을 부추긴다!
자녀의 자존감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자녀의 문제행동을 바꾸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브모들은 잔소리가 자녀
들에게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어요. 잔소리는 대부분의 부모가 기분이 좋지 않을 때 하게 되기 때문에 자녀를 옆집 자녀와 비교하거나 자녀 자체를 빈정거리거나 훈계의 말이 되기 쉽답니다. 그런 말을 들으면 자녀는 기분이 상할 뿐만 아니라 알아서 하려던 것도 더 하기 싫어지지요. 자녀에게 잔소리가 아닌 대화를 하려면 관찰한 것이나 문제점을 이야기하고, 더 나아 질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한마디로 짧게 말해야 한답니다.
3. 혼내거나 벌주지 않고도 스스로 하는 자녀를 만드는 대화법이 있다?
자녀에게 벌을 주면 잘못된 행동을 고칠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녀는 반항과 복수심에 사로잡히게 되지요. 그로 인해 자녀 스스로 자신의 잘못과 마주하는 중요한 내적 과정을 빼앗기게 됩니다.
자녀에게 벌을 주지 않고도 잘못된 행동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부모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후 자녀의 인격을 존중하는 선에서 불만을 표시하세요. 그리고 자녀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고, 그래도 자녀의 행동에 변화가 없을 때는 부모가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4. 자녀의 자기 주도적인 힘을 길러주자!
독립심이 부족하고 부모에게 의존하
려고만 하는 요즘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은 좋은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빠져 있습니다.
요즘 부모들은 자녀들을 위해 생각까지 기꺼이 해주는 수고를 감수하지요. 자녀는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동안 실수도 하게 되고 그러는 과정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운답이다. 부모가 개입할수록 자녀는 더욱 어려
지고, 점점 더 미숙해지며, 부모에게 더욱 의지하게 되지요.
도움을 받으면 도와준 사람에게 고마운 마음보다는 무력감이나 불만, 좌절, 또는 분노를 경험하게 됩니다. 따라서 스스로 선택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자녀의 노력을 존중해 주며 옆에서 지켜보고, 자녀의 질문에 서둘러 대답하지 않고 자녀 스스로 집 밖 세상에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그렇게 할 때에 자녀는 자기 주도적인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5. 칭찬으로 자녀의 자존감을 키워주자
칭찬에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흔히 부모들은 자녀에게"좋아"."잘했어"
,"훌륭해","멋있어,"라고 뭉뚱그려 칭찬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말들은 자녀를 만족스
럽지 못한 감정에 빠지게 합니다.
바람직한 칭찬은 두 가지 요소를 갖고 있어야 하는데,
첫째는 보고 느낀 것을 감탄하여 표현
해야 하는 것이고,
둘째는 자녀 스스로 자랑스럽게 생각
하는 행동에 대해 칭찬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그런 칭찬을 받을 때 자녀는 자신의 장점을 잘 발견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자녀로 자란답니다.
6. 높은 자존감이 자녀의 재능과 가능성을 키워준다.
부모가 자녀에게'고집쟁이','말썽꾸러
기'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순간 지녀는
그 말대로 따라갑니다.
일상에서 대화의 시간이 늘어나면 자녀는 부모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
는가에 영향을 받아 자녀 또한 부모와 똑같이 인식하게 되고, 나아가 자녀에게 대한 부모의 감정뿐만 아니라 행동 또한 영향을 받게 됩니다. 부모의 말 한마디가 자녀의 인생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잊지 마세요.
가족사랑실천 시민모임/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