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 : 코액션The Korean Actions(大高麗國復興會) : http://www.koaction.org
— 젤렌스키, 돈바스 친러주민 무차별 폭격…서방, 사태직전 러 민스크협정 준수요청 거부
— 미, 유엔총회서 “평화협정후 무기지원 중단 포함” 수정안에 “러만 중단, 우린 중단 못해”
— 중국 전문가 “유라시아로 시야 넓힌 중국, 대서방 적극 비판 대국 외교…조기종전 난항”
— 러 “돈바스 민간인 8년간 1.4만명 사망…애당초 서방이 시작, 종전 거부 장기전 모드로”
[서울=스푸트니크] 이상현 기자 = 지난 24일로 만 1년을 맞은 우크라이나 군사분쟁 사태는 근본적으로 미국의 전략적 이익 추구에 따른 결과로, 미국은 전략적 이익 실현을 위해 장기화를 추구할 것이며, 이런 징후는 사태 발발전 러시아의 각종 협상 제안을 묵살할 때부터 조짐이 나타났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조형진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교수는 지난 2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러·우 전쟁 1년,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국회 세미나에서 “미국은 전쟁을 장기화, 러시아의 국력을 소진시키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미국이 탈냉전 이후에도 냉전적 사고를 유지하면서 완전무결한 ‘절대안보(絕對安全)'를 추구하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러시아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확장을 일관되게 반대했으나, 미국이 러시아의 안보 불안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박종수 전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은 <스푸트니크>와의 인터뷰에서 “러-우 양측 모두 승자의 관점이 도출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박 전 위원장은 “미국과 나토가 우크라이나 자국인과 무기를 철수할 것 같지 않으며, 반러시아 활동도 계속할 것”이라며 “합의에 의한 휴전보다 양측간 갈등과 긴장이 더 고조, 당사국 지도자들이 죽는 극단적 상황에서야 휴전할 가능성도 높다”고 덧붙였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중국연구센터장은 <스푸트니크>와의 인터뷰에서 “시진핑 3기를 맞은 중국은 그동안의 외교 방식과 달리 북핵 문제와 이란 핵문제, 우크라이나 문제에도 적극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우크라이나 사태는 쉽게 끝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우크라 사태가 끝나면 포커스가 아시아로 돌아오는데, 중국의 초점이 과거 아시아에서 유라시아로 확대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우군들의 직간접 지원을 받으려는 중국이 먼저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히는 대국 외교를 보여야 하는 국면이라서, 긴장이 지구촌 전역으로 퍼진다는 분석이다.
최근 유엔 총회에서 미국이 보여준 모습이 바로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를 원하는 증거로 읽혔다. 미국은 지난 22일(뉴욕 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평화 유엔 결의안’ 지지를 촉구했다. 이 과정에서 “평화협상이 시작되면 무기 지원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하자”는 벨라루스의 수정안을 거부해야 한다고 강변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이틀 뒤인 2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장관급 회의에서 “안보리는 (양국 모두에 전쟁을 멈추라고 하는) ‘동등성의 오류’에 빠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침략 전쟁을 일으켰으니 이에 맞선 우크라이나가 계속 싸우는 것은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 결국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계속 지원해서 전쟁을 장기화 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됐다.
러시아는 특별군사작전 이전부터 미국과 나토가 군사적 충돌로 사태를 몰아갔다는 점을 강조했다. 안드레이 쿨릭(Andrey B. Kulik) 주한 러시아 대사는 최근 한국의 <월간조선>과의 인터뷰에서 “2021년 말, 러·우 접경 지역의 긴장이 극도로 고조됐고, 러시아는 당시 우크라이나 정부가 돈바스를 향한 대규모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후 2021년 12월 서방과 미국에 러·미 안보 보장 조약과 러·나토 안보 보장 조약 체결을 제안했는데, 완전히 무시당했다”고 밝혔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1일 연방의회 연설에서 “미국과 나토 등 서방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켰고, 러시아는 그것을 막기 위해 무력을 사용했다”고 공식 밝혔다.
한편 노르망디 4개국(독・러・불・우)은 2014년 우크라이나 정부가 자국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주민들을 인정하고 군사적 적대행위를 중단, 돈바스 내전을 사실상 종결하자는 ‘민스크협정’을 제안, 성사시켰다. 하지만 이후 우크라이나 반러 정권이 협정 당해와 이듬해인 2015년 2차 합의된 민스크협정을 거듭 어겼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의 만류에도 돈바스 친러 민간인들에게 무지막지한 박격포 공격을 가했다. 2022년초 80여명이 사망에 이르렀고, 이것이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의 직접적 계기가 됐다. 쿨릭 대사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키예프(키이우) 정권에 의한 폭격을 받았던 돈바스 지역은 8년간 무려 1만4000명의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스푸트니크 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