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패러16.hwp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전환기 교육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부천정보산업고등 학교 교사 황 정 애
|
|
|
|
Ⅰ. 전환기교육의 정의
ehman, Kregel 과 Barcus(1985)는 전환기교육을 특수교육 관계자나 직업재활 전문가가 3∼5년 이내에 학교를 졸업하거나 떠나게 될 장애아동에게 취업 혹은 직업훈련을 계획하고 시행하기 위하여 세밀히 계획되는 과정이며, 특수 교사, 직업 교사, 재활 전문가, 장애 학생, 부모, 그리고 가능하다면 고용주가 함께 계획을 세우는 서비스라고 정의하였다.
Wehman(1992)은 또한 학교에서 보다 독립적인 생활과 직업 세계로의 전환의 시기에 발생하는 생활의 변화, 적응, 누적된 경험이라고 하였고, Will(1984)은 전환기교육은 고등학교 졸업 시기, 졸업 이후 교육 시기, 혹은 성인 초기 그리고 취업 초기에 취업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하는 결과 지향적인 과정으로 학교에서 제공하는 안전하고 구조화된 환경과 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위험스러운 환경을 이어 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Halpern(1985)의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교량 역할 모델(bridges model)"은 전환기교육의 범위를 보다 넓혀 연속적인 평생 서비스로서의 전환기교육을 정의하였다. 전환서비스의 주된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아나가는 것이며, 취업 이외에 주거환경과 대인관계의 질을 중요시 하였다. 즉, 전환기교육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Halpern(1993)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신체적 건강, 물질적 풍요, 다양한 성인역할의 수행, 자아 만족감이라고 하였다.
또한 Brolin(1992)은 생활중심 진로교육을 제시하며 전환기를 과정 지향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성인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기능, 행동, 태도를 가르치는 학교, 가정, 지역사회 중심의 교수법이라고 하였다.
특수교육에 있어 전환기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IDEA(1990)의 전환기교육에 대한 정의는 이러한 전환기교육의 발전 방향을 반영하고 있다.
"전환기 서비스는 학교에서 졸업 후 활동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결과 지향적인 과정으로 중등학교 이후의 교육, 직업훈련, 지원고용을 포함하는 통합 형태의 고용, 평생교육, 성인교육, 성인서비스, 독립생활 혹은 지역사회 참여 등의 종합된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의 욕구, 선호도와 흥미에 기초하며, 교육내용과 지역사회 활동 참여, 직업 개발, 졸업 후 성인생활 목표 그리고 필요하다면 일상생활 기술과 기능적 직업평가를 포함하기도 한다(601(a)조, p. 19)."
1990년 미국 연방정부는 특수아동협의회(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의 진로개발분과(Division on Career Development)를 진로개발 및 전환기교육 분과(Division on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DCDT)로 개편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부터 모든 장애아동에게 진로개발과 전환기교육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DCDT(1994)의 정의는 전환기교육의 가장 최근의 정의로 전환이란 주로 학생으로서 행동
하던 것에서 지역사회에서 성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지위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성인으로서의 역할은 취업, 중등교육 후 교육, 가정 관리, 지역사회 활동에의 적절한 참여, 만족스러운 대인관계 형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전환기를 지원하는 과정은 학교 프로그램, 성인 기관 서비스, 지역사회 내 지원 서비스에의 참여와 협조로 이루어진다. 전환기교육의 기초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시기에 다양한 진로개발의 개념을 중심으로 14세 이전에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학생들은 전환기교육 계획 수립에 자신의 최대한의 능력에 따라 최대한의 책임을 지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Ⅱ. 외국의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1. 공립학교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Sitlington(1996)은 현재 미국 내 공립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6가지 유형의 전환기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장애학생이 특수교사로부터 받는 교수와 일반교육과는 다른 특별한 교과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1) 새로운 교과과정 중심 리소오스 룸 모델 - 기초 기능에 대한 치료, 생존 기술 혹은 학습 전략에 대한 교수 혹은 세 가지 모두를 교수한다.
2) 개인교수 중심 리소오스 룸 모델 - 장애 학생을 통합된 환경에서 지원한다 . 교수 목표 와 자료는 일반교육과 같다.
3) 새로운 교과과정에 기초한 학생 중심 모델 - 장애 학생이 졸업 후 사회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교수하는 기능적 교과과정이다.
4) 표준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기초한 학생중심 모델 - 교과과정이나 학습자의 능력을 변화 시키는 것이 아닌 학습 조건과 상황을 변화시키는 교과과정이다. 이 모델은 동등한 대안 적 교과과정(parallel alternate curriculum)이라고도 불리 운다.
5) 자문 모델 - 통합환경에서 학습장애 학생의 학업 성취를 증대시키기 위해 일반교사에게 자문 서비스가 제공된다.
6) 근로/학업 모델 - 학교생활의 일부로 감독자의 지도 아래 직무경험을 쌓게 하며 직무 기능에 대한 교수를 제공한다.
2. 과정 모델(Process Model)
Rojewski(1992)는 장애아에게는 보다 다양한 졸업 이후의 훈련과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환기교육을 서비스가 아닌 중등학교에서부터 중등학교 이후의 환경에 이르는 하나의 '과정(process/pathway)'으로 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유용한 "과정모델"을 제시하였다.
1) 고등학교에서 취업으로의 직접적인 과정 모델 -고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취업하는 것 을 의미하기 때문에 졸업 이전에 진로, 직업, 교육, 훈련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2) 고등학교에서 졸업 후 교육/훈련 과정 모델 - 졸업 이후의 교육과 훈련은 다양한 형태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환기교육은 개인에게 적합한 졸업 후 교육/훈련을 판별하고, 참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과 성인 서비스 제공자에게로 공식적인 책임이 전이되는 것을 말한다.
3) 고등학교에서 졸업 후 교육/훈련, 취업 과정 모델 - 고등학교 졸업이전에 졸업 후 예정된 교육/훈련이 시작되어 졸업 후까지 계속되고 이를 기초로 취업으로 이어지는 3단계에 걸친 과정을 의미한다.
4) 졸업 후 교육/훈련에서 취업 과정 모델 - 고등학교 졸업 이후에 학업, 진로, 취업 등에 관한 교육/훈련이 시작되고 취업으로 종료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 모델의 장점은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장애인의 욕구에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졸업 후 훈련과 취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진로교육 및 생활교육 모델
진로교육은 학교, 가정, 지역사회를 개인의 경제, 사회적 잠재력과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개인이 효율적인 활동에 참여하여 자신과 타인에게 최대한의 만족감을 주는 활동을 의미한다.
1) 생활중심 진로교육 - Brolin(1991)이 주장한 전환기교육의 하나로 일상생활, 개인적·사회 적 요인, 진로지도와 준비를 주된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2) 학교중심 진로발달 및 전환기교육 모델 - Clark과 Kolstoe(1990)는 개인의 가치, 태도, 습관을 중심으로 적합한 인간관계 형성, 직업정보의 획득, 취업과 일상생활 기술의 습득이 전환기교육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3) 지역사회중심 교과과정 모델 - Smith와 Schloss(1988)는 소비자 중심의 전환기교육이 제공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활동의 참여를 전환기교육의 목표로 하여 소비자의 직업, 여가활동, 교육과 재활, 이동성 획득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4) 졸업 후 결과 모델 - 전국교육성과센터(National Center on Educational Outcomes)에 서 1993년 제시한 것으로 다양한 활동에의 참여, 신체적 건강, 책임감과 독립성, 사회에의 기여와 시민의식 함양, 학문적·기능적 풍부성, 개인적·사회적 적응력, 그리고 개인의 만족도 등 7개의 영역을 전환기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5) 삶의 질 모델 - Halpern(1993)의 삶의 질 모델은 이전의 취업에만 초점을 두던 전환기 교육 모델에서 벗어나 다양한 성인생활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제시하였다. 그는 삶의질 향상을 위해 신체적·물질적 풍요, 성인 역할의 수행, 만족감이 충족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4. 전환기교육의 실태
|
한 국
|
미국 캘리포니아주
|
지원 체제
(법적 근거)
|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법, 특수교육진흥법
|
IDEA(미국장애인교육법)전환교육 규정,
The California Lanterman Act, ADA, JPTA, 퍼킨스 재활교육법
|
개별화 교육과정(IEP)
|
개별화 전환교육 계획(ITP)
|
1994년 IEP가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시행되나 아직은 초기단계. ITP는 없음
|
1997년 IEP안에 ITP를 포함하도료 규정했고, 연령도 14세로 하향 조정.
|
기관간 협력
|
기관간 연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중복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도 많다
|
특화된 서비스 기관들이 통합되어
협력체를 구성
|
전문가 양성
|
대학의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전환교육 관련강좌가 거의 없고, 최근 국립특수교육원에서 현장교사에게 전환교육에 관한 연수를 실시
|
특수교육학과에 전환교육이 석사과정으로 개설되어 전문가 양성
|
직업교육
|
학교에서 교과로 실시되고, 학교 내 시설을 활용하여 이론과 실습 병행
|
학교 외의 기관과 연계하여 실시
|
직업교육 내용
|
취업과 무관하고 작품전시, 실기대회에만 치우쳐 취업과의 연관성 부족
|
산업체와의 협의에 의해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직접 양성
|
추수 지도
|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
Work Ability에 의해 보장 (60일-3년 )
|
직업담당 교사
|
특수교사
|
전문교사
|
현장 실습
|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
대부분이 지역사회의 현장에서 실습
|
기업의 전환교육 참여
|
거의 없음
|
장애인 고용, 견습의 기회를 주며 기업을 장애인 교육의 장으로 제공
|
- 한국과 미국의 전환기 교육 비교-
Ⅲ. 고등학교 특수학급 전환기교육
1. 특수교육 내 전환기교육의 목표와 경향
현재의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대부분은 교육의 최종 단계를 거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전환기교육의 과정을 통해 아래와 같은 차원에서의 자립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1) 개인적 차원 - 독립적 성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의 신 변처리 능력, 긍정적인 자아인식, 독자적인 생존 기술 등을 알아야 한다.
2) 사회적 차원 - 민주사회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에 대한 준비를 한다. 그러므로 각 종 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기술, 공중도덕 의식 등을 알아야 한다.
3) 직업적/경제적 차원 - 재활의 최종 목표인 직업인으로서의 삶을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 므로 개인의 적성, 흥미, 능력에 맞는 직무를 찾아 이에 대한 준비와 직업적 성공을 담보하여야 한다.
2.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수립에 있어
고려할 점
Dunn(1996)은 학습장애 학생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수립에 있어 다음과 같은 11가지의 고려할 점을 제시하였다.
1) 학습장애인은 각기 독특한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욕구, 흥미, 선호도를 기 초로 종합적이고 개별화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 전환기교육의 주된 목표는 직업에 대한 준비 단계로서 직업훈련과 진로개발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평가와 진로탐색, 직업훈련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체계적인 평가는 합리적인 개별화 계획을 수립하고 학업기능과 사회성 기능, 직업기능을 판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러한 평가는 현재와 미래의 직업 흥미를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습장애인은 매우 제한된 분야의 직업교육과 훈련을 받는데, 비장애인이 종사하는 모든 직종을 포함하는 직업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학습장애인에게는 구조화된 구직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효율적이다. 구직 기술은 이력서 작성, 지원, 취업 면접, 모집공고 탐색 요령 등에 관한 기술을 말한다. 기술을 습득한 후 학습장애인은 개인의 수준에 따라 독립적으로 취업에 성공하거나 직업배치 전문가의 직 접적인 개입을 통해 직업에 배치되기도 한다.
4) 직업에 배치되었다고 해서 모든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은 아니다. 배치된 이후에도 적응 기술, 직업 기술에 문제가 있거나 승진을 위해 재훈련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이 시기에 제공되는 사후 서비스는 독립생활 훈련, 사례 관리, 재활기관에의 의뢰, 교통수단 제공 등이다.
5)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적은 수(약 18.1%)의 학습장애인들이 졸업 후에 직업훈련원 등의 직업관련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데 학습의 문제와 고등학교에서 진로교육을 받는 기 회가 많지 않기 때문에 보다 더 어려움을 겪는다. 학습장애인의 경우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므로 중·고등학교와 그 이후의 전환 계획에 치료적 의미로서 직업배치와 직업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문제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6) 학습장애인에 대한 오해 중 하나는 그들은 독립생활 기술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지 않 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학습장애인들은 도움 없이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 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상생활 기술 습득이 전환기교육 목표에 포함되어야 한다.
7) 학습장애 학생 스스로 자신의 장애에 대하여 이해하고 지식을 갖추는 것은 사회, 학업, 직업 그리고 가정생활에 있어 중요하다. 그럼에도 중등과정 전환기교육에서 이러한 문제 는 대부분 무시되어진다. 장애학생이 자신의 장애를 이해하지 못하고 수용하지 못하면 합리적인 직업과 생활목표를 선택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되며 자신의 능력과 욕구를 표현하지 못하게 된다.
8) 전환기교육의 목적은 성인기의 독립적인 생활이므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많은 전환기교육 프로그램들이 이러한 능력을 개발하고 훈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9) 대학이나 직업학교를 수료하고 실제 직업세계로 나갈 때에도 진로상담, 직업배치, 독립 생활 기술에 대한 서비스는 계속 지원되어야 한다.
10) 여러 연구에서 학습장애인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 무능력함, 부적절성, 좌절, 수줍음, 미 성숙, 사회성 기술 부족, 동기 결여 등 부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 정적인 사회심리적 문제는 상담, 자조집단 등의 중재법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여주고,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며, 자기주장 훈련을 제공하고, 학습과 적응기술을 판별하며, 조직사회에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11) 학습장애인은 문제해결 능력이 부족하므로 학업과 관련된 기초기능 뿐 아니라 성인세계 에 직면하게 될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문제해결 전략이 교육되어 야 한다.
3. 부천정보산업고 특수학급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부천정보산업고의 전환기 교육은 실생활 기능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특수교육의 최종 단계를 거치는 장애아들이 직업적/경제적 자립과 독립적인 성인으로서의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기초 기능을 가르치는 데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다
1) 교수 계획
장애아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기초적 기능을 알고 직업에 대한 올바른 태도와 직업적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학생 개인의 I.E.P를 전환기 교육의 관점에서 구성하여 학교 및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전환기교육의 프로그램은 개인 별 재활 계획 수립 후, 각 프로그램의 과정에 따라 개인 별 장애의 정도와 생활 능력, 사회 적응력, 작업 능력을 고려하여 개인 지도 및 그룹별 지도를 한다.
프로그램의 실시 후에는 각 개인별로 프로그램 실시 과정을 기록하고 각 수행과정을 프 로그램 관련자와 협의하여 평가하고, 이를 개인의 I.T.P(Individual Transition Program) 에 활용한다.
2)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구성 내용
영역
|
의의
|
방법/시간
|
내용
|
기초학습
|
직업생활의 유지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본개념 지도
|
개별지도를 위주로 하고 대상자 1인 주1회 이상 교육
|
수 개념, 주소/이름 쓰기(자기신상
내역 인식), 형태 변별, 시-지각
변별, 색 변별,
시간/날씨/날짜 개념, 금전 개념
|
일상생활
|
남/녀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자립적인 생활
기능 향상을 위한다.
|
개별 및 소그룹 지도를 주로 하고 주 2회 실시
|
용의 단정(개인 위생), 의복관리 및 유지, 가정 생활, 예절, 성교육
|
영역
|
의의
|
방법/시간
|
내용
|
사회적응
|
일상생활 영역의 확대를 위해 생활시설의 자율적인 이용에 목적을 두며 학교와 지역사회를 근간으로 하여 실시
|
개별 및 소그룹 지도를 주로 하고 주 2회 6시간
|
대중교통 이용, 공공기관의
이용, 물건의 구매,
개인-대인관계 행동 적응
|
직업
생활지도
|
직업유지와 작업훈련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식, 작업에 대한
동기 유발
|
소그룹지도, 지원고용 대상자는 주 1회, 그 외 대상자는 격주 실시,
주 3회 3시간
|
작업 태도, 시간의 엄수, 신뢰성,
동료 및 작업관리자와의 관계,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탐색
|
작업훈련1
|
단순조립 작업, 작업의 속도와 정확도, 작업행동들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활용
|
프로그램 시간 외에
작업실에서 계속 실시
|
업체의 하청 물품을
조립/포장 납품
|
작업훈련2
|
직무관련기능의 향상을 위한 지도
|
소그룹 및 개별 지도
주 2회 4시간
|
시각/청각/촉각/언어의 이해,
시각-운동 협응, 시각 변별과 분류, 정위/평형 기능, 소근육/근력 운동, 작업의 속도/습관/정확성/지속성/일관성/생산성/안전성
|
3) 교육 시 수 및 자원 활용 현황
가. 전환기 교육 시 수
교육 내용
|
계
(실시시간)
|
직업준비훈련
|
사회적응훈련
|
컴퓨터
|
종이
접기
|
수영
(헬스)
|
홈패션
|
제과제빵
|
앵글
|
1
|
2
|
2
|
2
|
2
|
2
|
2
|
1
|
14
|
나. 지역사회 자원
전문강사 활용
|
도우미 활용
|
외부 실시 및 협조기관
|
계
|
유료
|
무료
|
학부모
|
지역사회인사
|
동교
학생
17
|
복지관
|
YMCA
|
1(수영)
|
1(종이접기)
2(홈패션)
|
17
|
10
|
1
|
1
|
50
|
4)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예시
가. 직업준비 훈련
(1) 목적
직업준비 훈련은 학생이 필요로 하는 욕구, 필요, 능력, 취미를 잘 개발하여 고등학교 졸업 후 가정과 사회에서 성공적인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직업 준 비 훈련은 이동, 안전한 행동, 일상생활에 필요한 행동 등의 사회적응 능력을 키우고, 작 업 시간 훈련과 체력 및 지구력 훈련을 통하여 노동에 대한 심신의 적응 훈련을 도모하며 작업 태도 및 기초작업 능력 훈련을 통하여 기본적인 작업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
(2) 교육 내용
하 위
영 역
|
구 체 적 지 도 내 용
|
의복의 입고 벗기와 손질
|
혼자서 옷 입기
|
적절한 의복 입기
|
세탁기 사용하기
|
건조기 사용하기
|
손 빨래하기
|
옷 개기
|
다리미 사용하기
|
세탁소에 옷 맡기기
|
의복 수선하기
|
개인 위생
|
차림새 단정
|
손톱과 손 청결
|
얼굴 청결
|
입 냄새 제거
|
치아의 청결
|
몸 냄새의 통제
|
머리 청결
|
보장구 사용
|
손수건 · 화장지 사용
|
하 위
영 역
|
구 체 적 지 도 내 용
|
정서
|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
|
감정의 조절
|
적당한 휴식
|
타인 지향 행동
|
다른사람의 표정 읽기
|
여러 가지 목소리 이해
|
제스츄어 이해
|
사회적 예의범절 지키기
|
의존, 요구 안하기
|
동기
유발
|
노력과 강화의 연결
|
좋아하는 강화재 말하기
|
사회
지향
행동
|
행동과 결과 알기
|
사회 규범에 따른 이성적 행동
|
하 위
영 역
|
구 체 적 지 도 내 용
|
단어
기억
|
시계적인 시각적 치환
|
지시순종
|
교수
기법
|
보조해주면서 사물 조립
|
모방통한 사물 조립
|
언어 지시에 따른 사물 조립
|
반응의 일반화와 대처행동
|
훈련 대상자에게 반응 일반화
|
장면에 대한 반응 일반화
|
대처행동(과제)
|
대처행동(문제 정의)
|
하 위
영 역
|
구 체 적 지 도 내 용
|
시각 ·운동
협응
|
눈과 손의 목표에 대한 추종
|
사물 쥐기
|
구슬 꿰기
|
구멍에 막대 끼우기
|
원 붙이기
|
연필 쥐고 사용하기)
|
가위질 하기
|
그리기
|
견본의 묘사
|
시각
변별 분류
|
형태에 의한 분류
|
색상에 의한 분류
|
크기에 의한 분류
|
수
기능
|
숫자의 이름 말하기
|
숫자 쓰기
|
구체물의 갯수 세기
|
숫자와 물건의 갯수, 숫자와 그 읽는법 연결 짓기
|
조립 기능
|
조합
|
접기
|
레벨 붙이기
|
이음매 조립
|
언어 지시에 따른 물체 조립
|
하 위
영 역
|
구 체 적 지 도 내 용
|
학습 속도
습관
|
내용이 변하더라도 수용
|
시간 제한 없는 단순한 과제의 학습
|
시간 제한 없는 복잡한 과제의 학습
|
허용되는 속도로 복잡한 과제 수행
|
정확성
|
잘못된 것의 인지(자극 특성 변별)
|
잘못이 생기면 고치기
|
불량률 2% 이하의 작업하기
|
작업의
지속성
|
간편하게 앉아서 하기
|
간편하게 서서 하기
|
가벼운 작업
|
무거운 작업
|
작업의 일관성
|
간편하게 앉아서 하기
|
간편하게 서서 하기
|
가벼운 작업
|
무거운 작업
|
생산성
|
생산성
|
안전성
|
위험한 상황의 인지
|
언어의 이해와 반응
|
독극물 주의
|
뾰족한 물체주의
|
화재에 대한 대처법
|
하 위
영 역
|
구 체 적 지 도 내 용
|
작업 태도
|
동기 유발
|
역할이나 요구에 적응
|
자기 할 일 알기
|
시간 엄수
|
근퇴 시간 잘 지키기
|
신뢰성
|
무단 결근 안하기
|
결근시 담당자에게 통지하기
|
지시 ·순종
|
지시의 단시간 기억
|
지시의 장시간 기억
|
타임레코드와 카드의 바른사용
|
생산 실적표의 사용
|
문서상의 지시에 순종
|
관리자
와의
관계
|
관리자 요구에 대한 의지 표명
|
요구 실행
|
요구에 대한 수용적 태도
|
지적에 대한 수용하기
|
거짓말 안하기
|
동료
와의
관계
|
협력적인 동료관계 유지하기
|
재료를 원래 장소에 되돌려 놓기
|
남의 물건 훔치지 않기
|
남에게 방해되는 행동 안하기
|
결과 : 완전수행 ● 불완전 수행 ◎
수행불가 ○
(3) 교수 방법
가) 발표, 토의, 관찰, 조사, 수집, 실습, 견학 등의 직접적인 체험 활동이 이루어지 도록 한다.
나)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한다.
다) 실습 시간에는 공구 및 실습 장비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기본 습관이 길러지도록 지도하고, 안전 사고 예방에 대한 지도를 철저히 한다.
라) 다양한 교육 매체를 활용하여 보상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마) 실습 재료의 경제적 이용을 강조하여 자원을 절약하고 정리 정돈하는 습관을 가지도 록 한다.
바) 다양하고 구체적인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다.
사) 장애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다.
아) 학생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자기 학습의 기회를 많이 줄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제시한다.
자) 환경 보전, 에너지 절약, 근로 정신 함양, 경제 교육 등 현대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사항을 모든 관련 영역에서 적절히 강조하여 지도한다.
(4) 평가
가) 성취 수준을 설정하고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으로 평가하여 학생의 목표 성취도를 확인하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나) 실습의 평가는 평가의 관점 또는 항목을 사전에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실시한다.
다) 평가 항목은 실습을 위한 시설, 학생의 개인차, 사전 준비 등을 고려하여 제시하되 일반적으로 작업 속도, 실습 순서, 공구 사용법, 정확도, 재료의 사용, 미관, 안전수칙 이행, 정리 정돈 등을 포함한다.
라) 평가는 교수·학습 활동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해야 하며 평가 결과 처리와 활동에 관한 지침을 제시한다.
나. 사회적응 훈련
(1) 목적
본 프로그램은 장애인에게는 사회적응에 적합한 사회기술의 습득과 지역사회 이용 훈련 을 통한 적응력을 증진시키고, 비장애인 집단에게는 장애에 대한 바른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통합된 환경 속에서 장애-비장애인이 더욱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생활해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가) 사회적 기능의 훈련을 통해 대인관계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나) 지역사회 내의 각종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장차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알게 한다.
회기
|
실시 장소
|
목표
|
이동수단
|
1
|
상동 우체국
중동 우체국
|
우체국
-우체국의 기능을 이해하고 우편물을 직접 발송할 수 있다.
-우체국에서 통장발급 및 예출금을 할 수 있다.
|
버스
도보
|
2
|
외한은행
한미은행
국민은행
|
은행
-은행의 기능을 이해하고 통장발급 및 예출금을 할 수 있다.
|
버스
도보
|
3
|
백화점
지하상가
시 장
|
상점, 백화점
-상점의 기능을 이해하고 판매 물품의 목록과 구입목록을 비교, 구입할 수 있다.
|
버스
지하철
도보
|
4
|
롯데리아
|
패스트푸드점
- 패스트푸드점 및 음식점에서 음식을 고르고 주문할 수 있다.
|
버스
도보
|
5
|
공단지역
|
산업기관
- 산업기관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며 생산물품과 생산라인을 알 수 있다.
|
버스
도보
|
6
|
부천시민회관
복사골문화센타
|
극장 및 문화공연장
- 문화공연장의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버스
도보
|
7
|
중앙병원
성가병원
|
병원
-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각과 별 특성과 분류를 할 수 있다.
|
버스
도보
|
8
|
원미구 보건소
|
보건소(건강진단)
-보건소의 기능을 이해하고 지시에 따라 건강진단을 직접 받는다.
|
버스
도보
|
9
|
부천소방서
|
소방서
- 소방서의 기능을 이해한다.
|
버스
|
10
|
부천체육관
|
스포츠, 체육시설
- 스포츠 시설의 이용방법을 학습하고 이용할 수 있다.
|
버스
지하철
|
(2) 교육 내용
(3) 교수 방법
가) 주 1회 지역사회 유관 기관과 연계해 사회적응 훈련을 실시한다.
나) 개인별 사회적응 능력 평가를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로 실시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근거로 삼는다.
다) 훈련 과정을 기록하고 초·중·종결 평가서를 작성한다.
라) 역할극 시연과 직접 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학습하고 사회 기술을 습득하는 훈련을 한다.
마) 지역사회 자원을 분석하고, 사회환경에 대한 조사 및 이용 방법에 대한 학습을 선행 한다.
바) 지역사회 적응훈련에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 및 문자/수 개념은 미리 교육한다.
(4) 평가
가)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프로그램 내용의 수정 및 보완을 가능케 하며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학생에게 적절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나) 본 프로그램에 있어서 평가는 초기, 중간, 종결 평가로 3회 실시한다.
다) 초기 평가는 프로그램에 들어가기 앞서 프로그램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라) 중간 평가는 프로그램 진행 3개월 후 실시하고, 프로그램 진행 시 제시된 문제점 및 이에 대한 내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차후 프로그램 적용에 있어서 방향성 설정 및 목표를 수정하는 지침으로 삼도록 한다.
마) 종결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 진행 후 실시하며, 초기 평가와 비교하여 변화된 양상을 조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과 차후 프로그램으로의 수정 / 보완 및 새로운 대 안책을 설정하는 모델로 삼도록 한다.
바) 평가 도구는 사회적응 능력 평가지, 행동 관찰 기록,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한다.
다. 컴퓨터교육
(1) 목적
컴퓨터의 보급이 일반화되므로 해서 장애인들도 컴퓨터에 대한 기초적 기능과 편리성을 알아야 하고, 지식 정보화시대의 필수적 요소인 인터넷을 활용한 정보의 습득과 유통과정을 알도록 한다.
가) 컴퓨터와 친해질 수 있는 기초 과정을 익힌다.
나) 컴퓨터를 통하여 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인터넷의 유용성을 알도록 한다.
(2) 교육 내용
영역
|
내용
|
컴퓨터의 이해
|
-하드웨어의 구성과 기능
-소프트웨어의 종류와 특징
|
컴퓨터 운용
|
-윈도우즈 활용
|
자료 관리와 문서 작성
|
-자료 관리
-문서 작성
|
학습과 여가 프로그램 활용
|
-멀티미디어 감상
-게임 프로그램 활용
|
그래픽
|
-컴퓨터 그래픽 이용
|
컴퓨터 통신
|
-컴퓨터 통신 이용
|
인터넷
|
-인터넷 항해
|
(3) 교수 방법
가) 게임, 애니메이션, 연예인 홈페이지 등을 활용하여 재미있는 정보를 알 수 있는 흥미 위주의 수업을 실시한다.
나) 사용 언어의 선택 시 컴퓨터나 인터넷 전문 용어를 배제하고 이해하기 쉬운 말로 풀어서 설명하여 준다.
다) 기초적인 워드 프로세서 과정 및 인터넷 실습 시간에는 관련 만화나 교육용 CD-Title 을 활용하여 재미있게 과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라) 실습 시간에는 쉽고 재미있는 예제를 주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기대를 갖게 하고, 각종의 멀티미디어 자료(동영상, 음악, 이미지 등)를 보조 자료로 활용한다.
마) 장애 영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보조 학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바) 인터넷을 통하여 직업의 세계를 알고 개인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하게 한다.
(4) 평가
가) 학생 각 자의 능력에 따라 도달 가능한 성취 수준을 설정하고 학생의 목표 성취도를 확인하고 차후 수업 자료로 활용한다.
나) 실습에 대한 평가는 한글 1분에 몇 타라는 등의 구체적인 평가의 관점 또는 항목을 제시하되 실패의 경험이 누적되지 않도록 고려하여 실시한다.
다) 인지적 영역의 평가는 컴퓨터의 기본적 개념이나 올바른 이해에 중점을 둔다.
라) 기능적 영역의 평가는 응용 소프트웨어(워드 프로세서, 메일링, 채팅, 웹 서핑 등) 운용 능력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라. 종이 접기 교육
(1) 목적
종이 접기는 장애아의 시/지각 능력과 협응 운동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것으로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므로서 주위 집중력과 창의력을 길러 준다.
종이 접기의 기본을 이해하고 접기를 통해 눈과 손의 협응 능력 및 손 기능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창조성을 가미한 작품을 만들 수 있는 능력과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며 적성에 맞 는 기능과 소질을 계발하여 직업인으로서 기초적 자질과 능력을 기른다.
(2) 교육 내용
가) 색이 없는 정사각형 종이 한 장으로 기하학적 도형을 접는다.
나) 도구는 일절 사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접는다.
다) 자르거나 찢지 않고 접으며, 펴면 원 정사각형이 되도록 한다.
라) 망가지지 않는 안정된 작품을 만든다.
마) 접기는 재미있게, 마감은 예쁘게 한다.
(3) 교수 방법
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한다.
나) 실습시간에는 도구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습관이 길러지도록 하고, 안전 사고 예방에 대한 지도를 철저히 한다.
다) 다양한 교육 매체를 활용하여 보상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라)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학생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다.
마) 장애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다.
바) 학생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자기 학습의 기회를 많이 줄 수 있는 교수 활 동을 제시한다.
사) 종이 접기의 작업은 학생들의 창의성이 존중되도록 하고, 흥미, 발달 단계 및 개인 차를 고려해 다양한 창작활동이 되도록 한다.
아) 종이 접기를 하는 시간은 학생들의 장애 특성에 따른 접는 속도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지도가 되도록 한다.
(4) 평가
가) 직업적 예비 기능에 대한 판단의 준거로 활용될 수 잇도록 과제에 대한 이해력과 수 행 능력을 평가한다.
나) 결과물에 대한 평가 외에도 작업 시간 내의 과제에 대한 주의 집중력, 도구의 사용, 손 기능, 작업 속도, 처리 과정 등을 면밀히 기록하여 직업 선택의 기초적 자료로 활 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최종 평가의 단계에서는 주어진 시간 내에 성취 가능한 예제를 주어 성취 여부를 판 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개인의 I.T.P Sheet에 기록한다.
마. 수영, 헬스
(1) 목적
지역사회 내의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여가 및 체육 시설을 알고, 찾아가서 그 시설물들 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수영과 헬스를 통하여 신체적 운동 기능을 발달시키고, 직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노동 능 력과 지구력을 키워주며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영장이나 헬스장에서 시설을 이용하는 방법과 사회의 규칙과 공중도덕을 익힌다.
(2) 교육 내용
가) 물놀이를 통하여 물에 대한 공포를 없애고, 물과 친숙해지도록 한다.
나) 물 속에서 움파 호흡법을 통하여 호흡 조절법을 익힌다.
다) 발차기, 킥판 잡고 뜨기, 생존 수영법 익히기 등의 기본 수영법을 익힌다.
라) 헬스 기구의 사용법을 익힌다.
마) 유산소 운동 기구와 기능성 운동 기구를 적절히 사용하여 운동 능력을 향상 시킨다
바) 인내심과 지구력 강화를 고려한다. (3) 교수 방법
가) 적응능력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 내용 및 평가 등은 전문가, 교사, 학생 등 이 협력하여 결정한다.
나) 전문강사가 각 학생의 능력에 맞는 단계별 프로그램으로 지도한다.
다)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 지역사회 인사, 학부모 등의 자원봉사자가 보조교사로서 지도한다.
라) 프로그램 운영 장소는 지역사회 시설을 활용한다.
(4) 평가
가) 장애의 종류와 정도를 고려하여 개인별 성취 수준에 대한 평가 항목을 구성한다.
나) 직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초 근력과 지구력을 평가의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다) 공공 시설에서의 에티켜을 가르치고 이의 실천 여부를 평가한다.
바. 홈 패션
(1) 목적
홈 패션은 장애아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기능인 개인의 의복 입기, 수선하기, 집 안 정리하고 꾸미기, 기초 생활 용품 만들기 등을 배우는 것이다.
여러 가지 재료를 활용하여 하나의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작품의 구상과 디자인, 제조, 장식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일에 대한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을 수 있도록 한다.
(2) 교육 내용
영역
|
내용
|
재봉틀의 종류와 사용법
|
- 재봉틀의 종류 - 재봉틀 다루기
- 문제의 발생과 해결
|
기초 바느질법
|
- 기초 바느질 - 특수 소재 바느질
|
홈 패션 작품
만들기
|
- 여러 가지 커버 - 실내 장식품
- 인형 - 벽걸이
- 앞치마 - 여러 가지 주머니
- 방석 - 쿠션
- 여러 가지 깔개 - 재활용 소재의
활용
|
(3) 교수 방법
가) 지역사회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교육내용을 다양하고 재밉게 한다.
나) 가정에서도 이와 관련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부모와 공동 작업이 필요한 과 제를 제공한다.
다) 독립적인 성인으로서의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숙지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일정 수준의 개인별 목표를 세우고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라) 건전한 소비 생활을 위하여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생활 용품과 아이디어 제품을 만 들어 볼 수 있도록 한다.
(4) 평가
가) 만들기 과정은 능력별로 집단을 나누어 한 단계씩 체계적으로 지도하여 완성품은 실 제 생활에서 이용하도록 한다.
나) 실기 평가는 사전에 평가 기준을 알려 준 후 중간 과정 평가와 완성품 평가를 실시한 다.
다) 작품의 디자인, 적적한 소재 선택, 응용력 개발 등에 비중을 둔다.
사. 제과 / 제빵
(1) 목적
제과/제빵의 기초 이론을 바르게 이해하고 기본 기능을 터득하고 개인의 식생활에 필요한 간단한 조리 용구 및 주방 기구등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과·제빵 교과의 내용은 기초 이론과 기능을 충실하게 선정하고 체계화하여 직업 교육의 기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차의 독립생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2) 교육 내용
영역
|
내 용
|
제과
|
- 과자의 기원과 제품의 종류 - 제과·제빵 기계 기구
- 재료의 기능 - 제과 순서
- 제품별 제과법 - 제품 평가
|
제빵
|
- 제빵의 역사와 제품의 종류 - 기초 과학
- 빵의 제법 - 빵의 노화와 부패
- 제빵의 실제 - 제품 평가
|
(3) 교수 방법
가) 교육 내용 및 평가 등은 적응 능력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하여 전문가, 교사, 학생 등이 협력하여 결정한다.
나)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 지역사회 인사, 학부모 등의 자원봉사자가 보조교사 의 역할을 한다.
다) 전문강사가 각 학생의 능력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지도한다.
라) 프로그램 운영 장소는 지역사회 복지관을 활용한다. (4) 평가
가) 재료의 구성 비율이나 작업 순서에 맞게 결과물이 만들어지는 가를 평가한다.
나) 팀 플레이를 강조하고 각 자의 맡은 역할을 체크하고, 수행 여부를 평가하여 개인 및 그룹별 평가 자료를 만든다.
다) 오븐이나 믹서 같은 위험 용구의 사용 시, 주의 집중도, 보조 용구의 사용 능력, 숙성 과정의 정시성, 빵과 과자의 맛과 모양 등을 종합하여 평가한다.
라) 장차의 개인 식생활에 필요한 조리 기구 및 주방 용구의 적절한 사용을 평가한다.
아. 앵글
(1) 목적
앵글 조립은 인간이 생활하는데 있어 좀더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감각과 직업적인 가 능성을 찾는데 있다.
앵글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직업적 기초 기능과 공구 사용 능력 및 자아 성취감은 물론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업 생활의 기초가 되는 안전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가) 앵글 작업에 관한 기초 개념을 이해 한다.
나) 재단, 절단을 위한 수치 계산의 능력을 기른다.
다) 미적 감각과 일상생활의 효율성, 편리성, 및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라) 기초 작업과 단계별 작업을 통해 올바른 작업 태도를 기른다.
(3) 교육 내용
영 역
|
내 용
|
앵글
|
- 앵글 제작의 일반 이론
- 공구의 종류와 사용법
- 앵글의 종류와 기능
- 앵글 재료의 이해
- 앵글의 재단
- 앵글 조립의 실제
- 제품 평가
|
(3) 교수 방법
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지도한다.
나) 실습 시간에는 공구 및 실습 장비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기본 습관이 길러지도록 지도하고, 안전 사고 예방에 대한 지도를 철저히 한다.
다) 실습 재료의 경제적 이용을 강조하여 자원을 절약하고 정리 정돈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지도한다.
(4) 평가
가) 앵글 작업을 통하여 만들고 싶은 제품을 각자 파악하여 일정 기간 동안 작업 기간을 주고 기간 내에 만드는 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나) 작업 중에 사용되는 각 종 도구의 적절한 사용 방법을 시연하고 평가한다.
다) 장차의 직업 생활에서 요구되는 조립 능력과 눈/손의 협응 운동 능력, 과제의 지속적 수행 능력, 위험 용구로 부터의 안전성 등을 종합하여 평가한다.
Ⅳ. 전환기교육의 실천 방안
장애아들은 특수학급 교육의 최종 목표인 직업적 성취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설령 직업을 가졌다 하더라도 직업 적응의 실패와 이로 인한 좌절로 인해 독립적인 성인으로서의 삶을 유지하는데 문제를 갖고 있다. 장애인을 고용한 고용주들은 장애아들이 작업 의욕이 떨어지며, 과업수행 속도가 느리고, 불결하고, 생산성이 낮다는 이유로 해고하기도 한다. 또한 이들은 직업유지 기술이 낮아 이직률 높고, 직업을 잃는 경우 재취업 기회를 갖기 어려우며, 불완전 고용률도 높고, 동료에 비해 승진에 어려움을 갖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학교 교육에서 장차의 진로에 대한 전환기 서비스가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수는 점차 증가할 것이며 현재 많은 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장애에 대한 인식이 낮아 이들에 대한 진단과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필요한 특수교육 서비스의 대상자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또한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에 관한 전환기교육을 받지 못하며, 취업도 어렵고, 취업 후에도 실패를 경험하게 되어 경제적, 사회적인 독립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반사회적 집단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는 각 개인 다양한 장애특성과 욕구에 알맞은 전환기교육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이들이 성공적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ITP 수립, 교육을 담당할 전환기교육 전문가도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의 양성 또한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전환기교육은 팀 접근법으로 제공될 때 가장 이상적이다. 이를 위해 전환기교육 프로그램 과정에 현재 직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 교사 이외에 교과담당 교사, 일반교사, 직업재활 전문가, 지역사회 자원 및 고용현장 담당자 등이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1. 전환기교육 계획의 수립
우리나라는 아직 개별화 전환교육 계획 수립에 대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적어도 고등학교 교육은 개별화 전환교육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1) 개별화 전환교육의 수립은 특수 교사, 교과 담당교사, 학교 내 인사, 전환교육 참여 전문가, 학부모 등이 참여하여 학교 내 인사는 학생과의 관련정도에 따라 결정하고, 학생 각자의 능력, 흥미, 적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2) 지역사회 내의 재활 기관에서 실시하는 서비스 개별화 전환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영역에 대한 교육 및 평가, 학생 진로에 대한 자문 등을 위임하고 학생이 졸업 후에도 적극적인 재활 서비스를 받도록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3) 전환교육 계획은 직업 기능, 일상생활 기능, 신변처리 기능,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기능, 여가 및 지역사회 시설 이용 능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장/단기 목표를 수립하고 개별화 전환 교육 계획 양식에는 목표 도달 예정일, 서비스 제공 기관, 책임자의 이름 등을 기록한다.
4) 개별화 전환계획의 수정 및 평가에서는 개별화 전환계획의 각 목표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고 각 프로그램 담당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하고, 관련기관에서 필요한 지원 서비스를 받았는지도 평가하여 학생 각자의 최적화된 목표에 잘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2. 전환기교육에서의 학교의 역할
각급 학교가 전환교육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장, 교감, 전환교육 담당교사, 교과 담당교사, 실기교사, 직업교과 담당교사가 각각 자기가 맡은 역할을 원만하게 실천해야 한다.
1) 교과지도 교사의 역할
가) 각 교과와 관련된 직업의 종류를 제시하고 직업의 특성, 직업선택의 준비과정, 장래의 전망과 연계시켜 지도한다.
나) 학생들로 하여금 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 작업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환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한다.
다) 학생들로 하여금 직업인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직업 윤리를 강화시키도록 지도한다.
라) 전환교육 관점에서 각 교과를 통합, 연계해서 가르치고, 학생들로 하여금 학문과 일의 세계가 밀접히 연관된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2) 전환교육 담당교사의 역할
가) 전환교육에 대한 내용, 방법, 자료 등을 개발하여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실시한다. 현재는 전환교육 교사가 없는 실정이므로 진로상담 교사가 담당한다.
나) 전환교육 프로그램 실시를 위해 학교 내 인사와 지역사회의 자원, 졸업생, 학부모 등의 참여를 유도하고, 각 종 프로그램의 연계, 통합, 조정의 역할을 한다.
다) 직업 배치 및 추수지도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 실천한다.
라) 학교 내에 진로정보실을 마련하여 각종 진로 정보를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직업교과 담당교사의 역할
가) 장애에 따른 취업 가능한 직종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직무를 가르친다.
나) 전환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장애 학생들에게 직업과 일의 가치, 직무 능력을 지도한다.
다) 직업 배치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직업재활 기관, 고용 가능한 산업체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 학교장의 역할
가) 학교장은 학교 교육 이외에도 지역사회 내의 장애인 진로와 관련되는 활용 가능한 자원과 정보를 탐색하여 해당 교사들과 함께 학생의 흥미, 욕구, 적성에 최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여 준다.
나) 학교장은 전환교육이 학생에게 실제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과 구성원을 강화하고 시설 환경, 자료 수집과 개발, 교과 활동을 통한 지도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다) 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 인적 자원의 참여 의뢰, 전환 계획과 관련된 내용 및 인사의 조정 및 자문, 지역사회 고용가능 업체의 발굴 및 취업 의뢰 등의 대.내외적인 행사에 주도적인 참여와 행·재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5) 지역사회의 역할
가) 지역사회는 부정적인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제고 및 장애인의 직업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적극 홍보하여야 한다.
나) 장애아들도 일할 수 있는 직종에 대한 분석과 구체적인 직무를 산업 현장에 홍보하고 고용주들에게 의무 고용률 및 고용 시 혜택을 홍보한다.
다) 장애인의 고용에 관련하여 취업 성공 사례나 고용 성공 사례 등을 발굴하여 이를 학교 현장이나 산업체에 홍보한다.
라) 특별활동 시간이나 학교행사 시간에 지역사회에 있는 산업체 견학, 취업 성공 장애인 강연회, 직업재활 전문가 세미나 등을 개최한다.
마) 장애인 종합복지관, 장애인고용촉진공단, 보호작업장, 각 종 직업재활 시설 등의 정보를 공유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통합.조정하고, 장애인의 직업안정 및 장애인 고용 촉진 활동 등을 계획한다.
바) 전환기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지역사회 내의 전문가를 발굴하고 조직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충실을 기한다.
Ⅴ. 참 고 문 헌
강위영, 이상진. (1999). 직업 및 직능평가. 서울: 학지사.
이상진. (1999). 발달장애 학생의 전환기교육에 대한 전망. 한국정서·학습장애아 교육학회 제7회 학술대회.
Benz, M. R., & Halpern, A. S. (1993). Vocational and transition services needed and received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ir last year of high school.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16, 197-211.
Brolin, D. (1992). Transition: Here we go again! In P. Browning (Ed.), Transition in Alabama: A profile of commitment (pp. 11-21). Auburn, AL: Program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and Special Education, Auburn University.
Dunn, C. (1996). A status report on transition planning for individua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9(1), 17-30.
Halpern, A. S. (1993). Quality of life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evaluating transition outcomes. Exceptional Children, 59, 486-498.
Halpern, A. S. (1985). Transition: A look at the foundations. Exceptional Children, 51, 479-486.
Halpern, A. S., Doren, B., & Benz, M. (1993). Job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last two years in school.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16(1), 63-74.
Izzo, M. V., Pritz, S. G., & Ott, P. (1990). Teaching problem-solving skills: A ticket to a brighter future. Journal for Vocational Special Needs Education, 13(1), 23-26.
Kohler, P. D., & Rusch, F. R. (1994). Employment of youths with disabilities: Outcomes, activities, and indicators. 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Transition Research Institute.
Lewis, K., & Taymans, J. M. (1992). An examination of autonomous functioning skills of adolesc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15, 37-46.
Sitlington, P. L. (1996). Transition to living: The neglected component of transition programming for individua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9(1), 31-39.
Wehman, P. (1992). Transition for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Challenges for the 1990'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7(2), 112-118.
Wehman, P., Kregel, J., & Barcus, J. M. (1985). From school to work: A vocational transition model for handicapped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52, 25-37. West, M., & Kregel, J. (1991). Results from the Board for Rights of Virginians with Disabilities Survey of the concerns, needs,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s of Virginia's post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Richmond: Virginia Institute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ll, M. (1984). OSERS programming for the transi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Bridges from school to working life. Washington, DC: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s, U. S. Department of Education.
Zetlin, A. G., & Hosseini, A. (1989). Six postschool case studies of mildly learning handicapped young adults. Exceptional Children, 55(5), 40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