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오 또는 삼우라고 말을 하는데요 고인이 돌아가신 후 3일 또는 5일에 장례를 치룹니다
우선 장례식 절차에 대해 설명 드릴게요
3일장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첫째날 운구(장례식장으로 고인을 운반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치 (장례식장 안에 있는 안치실에 고인을 모시는 것으로 유가족이 동행하여 시신을 모십니다) -> 분향실차림 -> 문상객을 맞이합니다. 입관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에 상주복은 입을수 없으며 입더라도 걸쳐서 입고 있어야 합니다
두째날 입관 (입관의 시간은 원하는 시간에 하면 되는것입니다 입관전까지 사망진단서나 사체검안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입관은 고인의 시신을 염하여 관에 안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 입관이 끝나면 상주는 상복을 갈아입고 상주됨을 표시합니다
세째날 발인(장례식장에서 고인이 묻힐 곳으로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 장지로의 이동(장지란 고인이 미리 정해둔 산소를 말하며 보통 선산이나 고향으로 정합니다)
보통 세째날이 지나고 상주는 의복을 벋고 평상복으로 갈아입는 경우가 있는데 현대에 와서 간소하게 하기 위해 이렇게 하나 실제적으로 49제를 지내고 탈상을 하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3일장을 치르고 평상복을 입더라도 상주임을 표시하는 것을 몸에 착용하게 되는 것이죠
아직도 49제동안 상복을 입는 경우가 있으며 고인이 안전히 떠나시기전까지 상주나 그가족은 차분한 마음으로 49제 동안 경건하게 고인을 위해 정숙한 시간을 보내는게 좋습니다
또한 안장하고 3일째 되는날 무덤을 찾아가 제를 지내는데 이를 삼오제라 합니다 날짜는 꼭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삼오제는 본래 삼우제(三虞祭)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삼오제란 산소를 쓰고 난 뒤에 날짐승들이 산소를 파서 시신을 훼손하지 않게 하기 위한 의식이므로,
화장을 근본으로 하는 불교의 장례에 있어서는 본래 삼오제가 없고 유교사상에서 유래된 유교적 예입니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초우(初虞),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三虞)라 합니다
따라서 삼오제란 장례후 2-3일이 지나면 유가족들이 산소를 찾아가 산소를 돌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꼭 3일만에 가는 것이 아니고 어느 날이든 온 가족이 모이기 좋은 날로 정하여 성묘하시면 됩니다
추가로 삼오제를 할경우 49제를 생략해도 무방하며 간단하게 49제때 제를 지내지 않고 묘소를 찾아가 성묘만 해도 됩니다 |
[출처] 삼오제지내는방법|작성자 vhim97